롯데부터 삼성까지...재벌총수 국감 증언대 서나
[메트로신문 윤정원기자]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의 후폭풍으로 재벌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재벌 총수의 증인·참고인 채택 요청이 줄을 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는 물론이고 세월호 참사 이상으로 한국 경제에 충격을 줬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와 관련해 이재용 삼성 부회장, 땅콩회항과 관련해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등이 증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국회 정무위 야당 간사인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9일 "롯데는 지배구조 문제의 민낯이 다 드러났기 때문에 여당도 비판 여론을 고려하면 증인 채택을 반대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고령의 신격호 총괄회장은 어렵더라도 그 외 신동빈 회장 등은 소환을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무위에서는 롯데 외에도 재벌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의 불·탈법적인 내부거래, 불투명한 순환출자, 일감몰아주기 등의 문제가 다뤄질 것으로 예상돼 이런 사안과 관련됐던 재벌 총수 일가들이 증인·참고인 대상으로 대거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위도 롯데 사태를 계기로 대형 유통기업의 납품단가 후려치기, 골목상권 침해, 독과점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자살사건과 관련해 경남기업 주요 임직원들도 증인이나 참고인으로 불려 나오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토교통위에서는 조 전 부사장이 증인으로 불러 수감 특혜 의혹을 추궁할지가 관심사다. 검찰은 조 전 사장의 구치소 특혜 청탁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의심되는 브로커를 구속했고, 조 전 부사장의 개입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다. 또 인하대 병원 의료진을 구치소로 불러 치료받은 일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보건복지위에서는 이 부회장과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들을 증인·참고인으로 채택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복지위 야당 간사인 김성주 새정치연합 의원은 "실제 우리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은 결국 돈을 갖고있는 재벌과 대기업"이라며 "국가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돈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유일한 세력은 국회밖에 없고, 국감은 기업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이 증인으로 채택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많다. 메르스 특위 당시 한차례 증인 채택이 불발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