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정치권 "롯데 해외법인도 손보자"

[메트로신문 윤정원기자] 롯데그룹 사태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 내에서는 해외법인도 손보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신규상호출자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해외법인을 만들어 악용하는 사례가 있는 탓이다. 5일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공정거래법을 개정해(일명 롯데 해외법인법) 해외법인까지 상호출자규제를 의무화할 수 있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2014년 국정감사에서도 신 의원은 해외 상호출자규제가 안 되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국감 당시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지적에 해외법인에까지 상호출자 규제를 의무화할 경우 공정위에서 제재수단이 없어 사실상 관리가 어려울 것이라고 답변했다. 현행 공정거래법 제9조와 시행령 제17조에 따르면 상호출자규제는 국내기업에만 해당한다.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는 롯데그룹은 거미줄 방사형 상호출자로 국내 상호출자 459개 중 416개인 90.6%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해외법인 상호출자도 함께 조사할 경우 그 수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 사태에 대해 공정위는 상호출자 규제 법시행 전 9만8000여 개이던 롯데그룹의 상호출자를 416개로 줄이는 등 상호출자 문제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변했지만 해외법인에 대해서는 여전히 손 놓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신학용 의원은 "상호출자 규제가 국내 법인에만 적용된다는 점을 악용해 편법으로 해외법인을 이용한 우회 순환출자가 상당할 것"이라며 "이번 롯데그룹 사태를 계기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해외법인도 상호출자 규제의 범위 안에 넣을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5-08-05 16:02:33 윤정원 기자
기사사진
당정, 재벌 지배구조 개선 착수

[메트로신문 윤정원기자]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당정이 재벌 지배구조 개선책 마련을 추진한다. 김정훈 정책위의장 주재로 열리는 6일 회의에서는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등 정부 당국 관계자들이 롯데 사태로 불거진 문제점을 보고할 예정이다. 더불어 416개에 달하는 롯데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기 위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고 있지만 롯데처럼 기존의 순환출자에 대해선 별도로 금지하고 있지 않다. 김 정책위의장은 5일 당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순환출자 금지를 규정한 공정거래법이 개정된 지 2년이 지난 만큼 대기업 지배구조 문제를 한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당정협의에서 롯데그룹의 지배구조를 비롯한 재벌 그룹에 대한 제도 개선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정 회의에서는 또 재벌 총수 일가가 소수 지분으로 기업을 지배하는 데 대한 견제 장치도 논의된다. 현재 롯데의 경우 신격호 총괄회장의 지분은 0.05%다. 신 총괄회장의 자녀 등 친인척 지분을 모두 합쳐도 2.41%에 불과하다. 김 의장은 "대기업 오너가 미미한 지분과 순환출자로 기업을 개인 회사처럼 좌지우지하는 것은 경제 정의에 부합하지 않다"며 "이번 롯데 사태도 이런 관점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당정은 또 롯데를 비롯한 대기업 유통 계열사들의 문제로 지목된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골목상권 침해 등에 대한 제도적 규제 방향도 회의에서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자사주 취득·매각, 사외이사 제도, 기업 공시 등 경영·승계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의제에 오를 전망이다. 심재철 의원은 "이번 롯데의 집안싸움으로 롯데의 구조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며 "이는 순환출자 때문으로 순환출자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정부는 다음 면세점 허가 때 롯데의 이번 볼썽사나운 싸움을 분명히 반영해야 한다. 롯데에 알짜 면세점 허가를 내줄 이유가 없다"며 "또한 외국 기업이라고 해도 한국에서 주로 매출을 낸다면 지배구조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돈 앞에선 형제도 없고 부모도 없는 이런 추한 싸움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재벌 일가가 그룹을 마음대로 좌지우지하지 못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하고, 공식 절차도 없이 손가락 하나로 기업의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손가락 경영도 근절돼야 한다"며 "세금조사도 철저히 해서 롯데의 세금탈루 여부를 분명히 다뤄야 한다"고 주문했다.

2015-08-05 16:02:10 윤정원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 KT's hierarchy fan is reminiscent of the Joseon Dynasty"

"KT's hierarchy fan is reminiscent of the Joseon Dynasty" As part of a highly controversial internal program to promote and streamline employee interactions, KT has recreated hierarchical, society-themed fans which hearken back to the Joseon Dynasty. These fans serve to distinguish KT's executive officers as part of a "noble class," which in turn rules over the company's other "subjects", the lower-spectrum employees. Such a program is considered retrogressive, especially in light of the new wave egalitarianism being championed by industrialized nations all over the world. The deeply discriminatory, and potentially divisive nature of such a program is evident by the fact that executive officers' fans boast copy reading "Executive," and "Empowerment Number One," embossed on their sides. As such, this issue has been formally denounc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 well as several other civic groups. In light of KT's decisio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has issued a warning to the company about the potential lasting divisive repercussions of intentionally entrenching such a deeply hierarchical system in the day-to-day workings of the company. /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KT 조선시대 연상케 한 '계급 부채'논란 KT가 임원을 '왕'에 비유하고 사원을 '일당백'이라고 표현하는 등 조선시대 같은 계급사회를 강조하는 내용이 담긴 부채를 전국 KT 직원에게 배포해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소통을 중시하는 근대 사회에 역행하는 '양반과 천민' 같은 계급 사회를 조장하는 모습이다. 국가인권위원회와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부채의 그림을 면면이 살펴보면 임원용 부채는 임원을 임금으로 표현하고 '임파워먼트 넘버원'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부채에 임금복장을 한 그림의 얼굴 부위에 임원이라고 큰 글자로 인쇄해 계급을 구분짓고 있다. 이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와 시민단체 등은 굴지의 대기업인 KT가 계급 사회를 조장에 앞장서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805000162.jpg::C::480::}!]

2015-08-05 16:01:04 김서이 기자
기사사진
'썰전' 카카오택시 "300만 이용자" 인기 요인 전격 분석

'썰전' 카카오택시 "300만 이용자" 인기 요인 전격 분석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썰전'이 300만명이 이용 중인 '카카오택시'를 전격 해부한다. 6일 방송되는 JTBC '썰전'의 2부 경제 이슈 코너 '썰쩐'에서는 출시 4개월 만에 콜택시업계를 평정한 '카카오택시'의 흥행과, 택시업계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MC 김구라, 최진기, 서장훈, 장도연, 신동헌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기사와 승객을 연결해주는 택시 호출 서비스인 '카카오택시'가 빠른 시간 내에 300만 이용자를 끌어 들일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했다. 김구라는 목적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택시에 탔을 때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는 점을 '카카오택시'의 장점으로 꼽았다. 이에 서장훈은 "술에 취한 친구들을 집에 보낼 때 미리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어 편리하다"며 공감했다. 장도연은 "택시를 호출했을 때, 택시 기사의 사진과 이름이 뜨고 친구에게 안심메시지를 보낼 수 있어 늦은 밤에 술을 마셨을 때에도 안심하고 탈 수 있다"며 '카카오택시'가 특히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밖에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새로운 산업의 물결 'O2O서비스'와 '카카오택시'에 앞서 우리나라에 진출했던 '우버택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밤 11시 방송된다.

2015-08-05 15:55:13 하희철 기자
기사사진
'밤을 걷는 선비' 김소은 "1인2역 첫 도전 빠져드는 중"

'밤을 걷는 선비' 김소은 "1인2역 첫 도전 빠져드는 중"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배우 김소은이 첫 1인1역 도전에 빠져든다고 밝혔다. 5일 MBC측은 수목미니시리즈 '밤을 걷는 선비'(극본 장현주, 연출 이성준)에서 120년 전 수호귀 김성열(이준기 분)의 정인 명희 역과 현재는 비정한 아버지 영의정 최철중에 의해 흡혈귀 귀에게 바쳐져 야망을 품게 된 양반집 냉규수 최혜령 역으로 강렬한 연기를 펼치고 있는 배우 김소은의 인터뷰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된 인터뷰에서 김소은은 "1인2역 역할이 많이 생소했지만 각각 다른 캐릭터이기 때문에 잘 풀어낼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항상 밝은 역할을 하다가 처음으로 냉소적인 인물에 도전하게 돼 어려웠지만 지금은 점차 역할에 빠져들고 있는 중이다"고 덧붙였다. 김소은은 극중에서 주로 최혜령 역을 연기하고 있다. 초반에는 김성열에 맞서 귀의 편에 서게 되지만 차츰 전생의 기억을 되찾아 김성열에게 마음을 열게 된다. '밤은 걷는 선비'는 매주 수, 목요일 밤 10시에 방송된다. ◆인터뷰 전문 Q. 밤선비 김성열(이준기 분)의 과거 정인 명희와 현재는 야망 가득한 양반집 냉규수 최혜령 역을 맡았는데, 극명한 분위기로 1인 2역의 진가를 발휘했다. A. 1인 2역이라는 역할이 많이 생소했지만 명희와 혜령이 각각 다른 캐릭터이기 때문에 잘 나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좋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Q. 비정한 아버지 영의정 최철중으로 인해 귀에게 바쳐진 뒤 그의 수하로 움직이고 있다. '냉미녀 혜령' 캐릭터로 서늘미와 조소, 냉랭한 분위기까지 '냉미녀' 향취를 제대로 뿜어내고 있다. 비주얼적인 면이나 연기에 공들인 부분이 있다면? A. 항상 밝은 역할을 하다가 처음으로 냉소적인 캐릭터에 도전하게 된 것 같아요. 처음엔 어떻게 연기를 해야 하나 고민도 많이 하고 어려운 부분도 있었는데 지금은 혜령 역할에 점차 빠져들게 되어 자연스럽게 나오게 되는 것 같습니다. Q. 귀 이수혁과 연기하는 장면에서 케미가 돋을 뿐 아니라 묘하게 섹시한 분위기를 풍겨내 '귀령커플'이란 애칭으로 불리며 팬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극에서 두 사람을 이어달라는 요청들도 상당수 있는데, 알고 있었는지? 귀령커플 포함해 '밤선비'의 '베스트 커플'은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A. 잘 몰랐어요^^ 모든 커플들이 다양한 매력이 있고 인기가 많지만 저에게는 초반에 공을 많이 들이고 캐릭터 공부를 많이 했었던 명희-성열 '은애커플'이 가장 인상이 깊어요. Q. 함께 연기하는 이수혁이 흡혈귀 '귀'로 변신해 본인의 향취를 맡을 때 어떤 기분이었는지, 진짜 무섭지는 않았는지 궁금하다. 옆에서 본 이수혁의 흡혈귀 연기 어떤지?(촬영 에피소드 연관시켜주셔도 됩니다) A. 분장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무섭지는 않아요^^ 촬영할 때에는 귀가 굉장히 카리스마가 있는데.. 한 번은 불을 사용하는 씬이 있었는데 불길이 너무 쌔서 귀가 도망갔던 적이 있어요. 그때 많이 재미있었고 많이 웃었던 것 같아요. 반전 매력이 있는 배우에요. Q. '밤을 걷는 선비'를 사랑해주시는 시청자 여러분께 한 마디. A. 다들 열심히 고생하며 촬영하고 있습니다. 더욱 좋은 연기와 좋은 이야기 보여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사랑 부탁 드리고 예쁘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5-08-05 15:54:58 하희철 기자
기사사진
'막돼먹은 영애씨' 방송 분량만 11850분…숫자로 본 기록 '눈길'

'막돼먹은 영애씨' 방송 분량만 11850분…숫자로 본 기록 '눈길'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케이블 최장수 시즌제 드라마 tvN '막돼먹은 영애씨'(이하 '막영애')가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10일 밤 11시 시즌 14로 돌아오는 '막영애'는 지난 2007년 4월 20일 첫 방송한 이후 8년 동안 꾸준히 사랑받아왔다.대한민국 대표 노처녀 '이영애'(김현숙 분)를 중심으로 직장인들의 애환과 30대 여성들의 삶을 현실적으로 담았다. '6' 극중 영애의 공식적인 남자친구 및 썸남 수 첫사랑 김치국(김치국 분), 곱상한 꽃미남 도련님 최원준(최원준 분), 완벽주의 나쁜 남자 장동건(이해영 분), '응당'이라는 유행어를 남긴 바 있는 영애의 파혼남 김산호(김산호 분)가 영애의 남자친구 계보에 이름을 올렸다. 시크하지만 영애를 향한 순정을 보여줬던 연하남 한기웅(한기웅 분), 철 없는 낙원사 사장 이승준(이승준 분)은 시즌 13에서 영애와 '썸'을 타며 삼각 관계를 이뤘다. 이번 시즌에서는 영애의 남자 중 가장 큰 인기를 얻었던 캐릭터인 김산호와 이승준이 영애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불꽃 튀는 경쟁을 벌인다. '19' 강렬한 존재감을 남긴 카메오 첫 시즌부터 지금까지 정준하, 김영희, 강유미, 유민상, 정경호, 문영미, 김세환, 심신, 박소현, 김진표, 정가은, 구준엽, 김미화, 장동민, 에이미, 박휘순 JK김동욱, 김대희, 이미도 등 수많은 배우들이 카메오로 출연했다. '52' 출연배우 숫자 강소라, 손성윤, 양정원, 성지루, 하연주, 강예빈, 김나영 등 주요 연기자 수만 해도 52명에 이른다. 이번 시즌에는 김현숙, 이승준, 라미란, 정지순 등 기존에 출연해 오고 있는 배우들과 조덕제, 박두식, 레인보우 현영, 박선호 등 새롭게 합류한다. '237' 시즌1부터 13회까지 방송된 에피소드 회차 1995년부터 2004년까지 방송해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미국 NBC 시트콤 '프렌즈'의 에피소드 수인 235개를 뛰어넘었다. '11850' 전체 방송 분 수 시즌 13까지 '막영애'가 방송된 전체 분 수는 무려 11850분에 이른다. 그간 주 1회 방송됐던 '막영애'는 이번 시즌 14에는 월화드라마로 편성돼 주 2회 시청자를 찾을 예정이다.

2015-08-05 15:46:14 하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