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코레일, 미래 성장동력 확보 위한 조직 개편

코레일이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코레일은 IT 기반의 경영 고도화와 기술 활성화를 통한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일자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의 핵심은 첨단 IT기술을 접목해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혁신과 미래 신성장 사업을 통한 운송체계의 획기적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사업부서의 기능을 강화해 혁신적이고 목표 지향적으로 조직의 체질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그동안 태스크포스(TF) 조직으로 운영되던 IT서비스혁신단을 부사장 직속의 'IT경영실'로 확대·정규 조직화해, 사업부서에서 개발·수립한 마케팅전략, 신사업모델을 IT시스템으로 구현하는 등 기술 발전과 마케팅 지원기능을 강화했다. 전산 업무를 담당하는 정보기술단도 'IT운영센터'로 개편하고 IT경영실 아래 둬 실행력을 강화하고 업무 시너지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여객사업본부는 관리·운영 중심에서 마케팅 중심으로 혁신하기 위해 산하의 여객운영단을 '여객마케팅단'으로, 운전기술단은 '열차운영단'으로 각각 바꾸고 업무 강화에 맞춰 관련 조직도 재편했다. 특히 본부장 직속의 '여객신사업단'을 신설하는 등 서비스 혁신에 속도를 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전사 기획 기능 강화를 위해 경영지원본부를 '경영기획본부'로, 인사노무실은 기업문화 개선과 인재육성 중심의 역할과 기능을 반영해 '인재경영실'로, 재무관리실은 경영적 마인드를 갖출 수 있도록 '재무경영실'로 각각 변경하고 기능 강화에 맞춰 하부 조직도 재편했다. 기술본부는 '기술융합본부'로 변경하고, 산하에 '철도과학기술연구원'으로 명칭을 바꾼 연구원 조직을 둬 협업을 강화했다. 차량·시설·전기기술단은 각각 '차량·시설·전기기술혁신단'으로, 철도차량정비단은 철도차량 정비품질 향상과 융합기술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차량융합기술단'으로 명칭을 바꿨다. 이와 함께 코레일은 본사 처장과 팀장 등 주요 보직에 1급이 아닌 3급 직원을 전격 발탁하는 등 연공서열을 탈피한 파격적 인사쇄신도 단행했다.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코레일은 ▲마케팅 강화로 비즈니스 영역의 획기적 확대 ▲미래 신사업 발굴을 통한 수익다각화 ▲철도 미래 기술 발전을 통한 생산성 제고 등의 조직체질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순만 코레일 사장은 "4차 산업 부상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비즈니스 시장 선점을 위해 조직과 체질 개선에 나선 것"이라며 "세계 최고의 철도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조직, 서비스, 안전 등 각 분야의 경영혁신에 가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2017-02-21 08:39:39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현대엔지니어링, 내달 '용인·일산'서 올해 분양 스타트

현대엔지니어링이 내달 경기도 용인 및 일산 등 2개 지역에서 올해 첫 분양에 나선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오는 3월 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자사 최초 뉴스테이 사업인 '힐스테이트 용인' 1950가구, 경기도 고양시에 '힐스테이트 킨텍스 레이크뷰' 299가구를 분양한다고 20일 밝혔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일원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용인'은 전용 59~84㎡, 1950가구다. 전용면적별로는 전용 ▲59㎡ 784가구, ▲84㎡ 1166 규모로 조성된다. 이 단지는 용인시 첫 기업형임대주택(이하 뉴스테이)인 동시에 현대엔지니어링이 추진하는 첫 번째 뉴스테이사업이다. 이 단지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의 주거서비스 예비인증에서 '우수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단지에서 용인경전철(에버라인) 시청·용인대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용인(신갈~대촌)고속화 우회도로와 GTX 용인역, 제2경부고속도로, 제2외곽순환도로 등이 개통하면 교통여건은 더욱 좋아질 전망이다. 단지 옆으로 삼가초·중학교 부지가 있고, 영인 행정타운, 이마트, 용인 세브란스병원 등도 가깝다. 입주는 2020년 상반기다. 이어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고양관광문화단지 도시개발구역 M4블록에선 주거복합아파트 '힐스테이트 킨텍스 레이크뷰'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전용 59~153㎡, 299가구다. 전용면적별로는 전용 ▲84㎡A 125가구 ▲84㎡B 72가구 ▲84㎡C 72가구 ▲104㎡ 26가구 ▲137㎡(펜트하우스) 1가구 ▲153㎡(펜트하우스) 3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일산 호수공원 및 한류천 수변공원을 조망할 수 있다. 또 채광과 통풍에 유리한 4~5베이 남향 판상형 맞통풍 구조로 설계하고, 조망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동간거리를 넓혀 배치했다. 실내에는 알파룸, 베타룸 등을 제공해 공간활용성도 높였다. 단지 맞은편에 한류초교(2019년 3월 개교 예정)가 들어서고, 현대백화점, 이마트타운, 빅마켓, 고양원마운트, 킨텍스전시장 등 편의문화시설도 가깝다. 입주는 2019년 10월이다. '힐스테이트 용인'와 '힐스테이트 킨텍스 레이크뷰'의 견본주택은 각각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동에 마련되며 3월 중 개관한다.

2017-02-20 14:20:33 김형준 기자
네이버랩스, IT업계 최초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획득

'네이버랩스'가 IT 업계 최초로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를 획득했다. 앞으로 국내 정보통신기술 업체들이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개발에 적극 참여해 국내 IT기술이 자율주행 개발에 접목될 것으로 기대된다다. 국토교통부는 네이버의 기술연구개발 별도법인인 '네이버랩스'가 개발 중인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임시 운행하는 것을 허가했다고 20일 밝혔다. IT 업계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것은 처음으로, 그동안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서울대와 한양대, 현대모비스, 교통안전공단, KAIST 등이 12대의 임시운행 허가를 받았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전통적 자동차 산업과 인공지능·정보통신 등 IT 산업이 융합된 미래기술로,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요구된다. 해외의 경우 구글 등 IT 업계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적극 참여해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앞으로 IT 분야의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이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에 접목되어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 '레벨 3' 기준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목표로 정하고 제도 개선과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레벨 3' 기준은 고속도로 등 정해진 구역 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유사 시 운전자 개입 필요)한 단계이다. 국토부는 올해 무인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현재 구축 중인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 '케이-시티(K-City)'의 고속주행로를 우선 개방하며 내년에는 전체를 개방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 업계와 서울대학교 등 학계를 중심으로만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이뤄져 왔다"며 "향후 국내 IT 산업과의 협력이 이뤄진다면 오는 2020년 자율주행차 레벨3 상용화와 인프라 구축 등도 문제없이 이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2017-02-20 11:31:43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드론으로 실시간으로 지도 그린다… '라이브 드론맵' 시연회 개최

드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공간정보 지도를 구축하고 전송할 수 있는 '라이브 드론맵 기술'이 소개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1일 한강 광나루 드론공원에서 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자동지도구축 기술(이하 '라이브 드론맵 기술')을 테스트하는 시연회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라이브 드론맵 기술'은 재난 발생 등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 드론을 띄워 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장에 띄운 드론을 통해 공간정보를 취득·자동 매핑(mapping)해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현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시연회에서는 드론이 수집한 위치·영상정보를 3차원 공간정보 포털로 실시간 전송해 촬영된 지역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과정을 시연한다. 먼저 고정밀 위치센서를 부착한 드론이 지정경로를 따라 자동 비행(약 5km)하면서 촬영한 영상과 센서 정보를 전송하면 '드론 기반 자동지도구축 통합 소프트웨어(SW)'가 정보를 보정해 공간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공간정보를 3차원(3D)으로 가시화해 사용자가 지역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라이브 드론맵 기술은 국토교통 연구·개발(R&D)로 추진 중인 '공간정보 SW활용을 위한 오픈소스 가공기술 개발' 연구의 일부 성과로서, 국토연구원을 비롯한 대학·민간 회사 등 8개 기관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유엔(UN)에서도 이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유엔 초청을 받아 오는 4월에 이탈리아 브린디시에 있는 유엔 물류기지센터에서 유엔 고위급·평화유지 현장사령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라이브 드론맵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외 시연을 통해 우리 기술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고 외국산 소프트웨어가 독점하는 국내외 공간정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대체재로 활용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7-02-20 11:26:26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3~5월 전국 아파트 6만6642가구 입주… 전년비 20%↑

3월부터 5월까지 전국에 아파트 6만6442가구가 입주한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0.6% 증가한 수치다. 국토교통부는 올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전국 입주 예정 아파트는 6만644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약 5만5000가구 증가한 수준이라고 20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서울 7204가구를 포함해 수도권 1만7638가구, 지방 4만8804가구가 각각 입주를 한다. 세부 입주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내달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e편한세상 신촌)과 하남 미사(미사강변센트럴자이 A21)에 각각 1910가구와 1222가구가 집들이를 한다. 오는 4월에는 서울 마곡 1194가구(마곡 도시개발 힐스테이트 13단지)와 영등포 1722가구(신길 래미안 에스티움) 등 5498가구가, 5월에는 서울 중랑 719가구(묵동 e편한세상 화랑대), 고양 삼송 968가구(고양 삼송 동일 스위트 A-7) 등 5073가구가 각각 입주한다. 지방은 다음달 세종시 1480가구(세종 반도유보라 H1·중흥 S클래스 에코시티)와 포항 북구 1059가구(양덕 삼구트리니엔) 등 1만5311가구가 집들이를 한다. 이어 4월에는 세종시 6809가구(더샵 힐스테이트 M3 등)와 양산 물금 1768가구(양산물금 39 EG더원 2차) 등 2만317가구, 5월에는 대구 테크노 1020가구(대구 테크노폴리스 A7 행복주택)와 김해 진영2 1696가구(김해 진영2 B6 국민임대) 등 1만3176가구의 입주가 이어진다. 주택 규모별로는 60㎡ 이하가 1만8670가구로 나타났다. 60~85㎡가 가장 많은 3만9773가구를 기록했으며, 85㎡ 초과는 7999가구에 그쳤다. 85㎡ 이하 중소형주택이 전체의 88.0%를 차지하여 중소형 주택의 입주물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공급 주체별로는 민간 6만2431가구, 공공 4011가구로 각각 조사됐다.

2017-02-20 11:14:15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부울경 無규제 단지 실수요층 몰려… ‘울산송정 금강펜테리움 그린테라스’ 눈길

상반기 분양시장은 정부 규제에서 자유로운 부울경 지역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1.3대책으로 수도권 일부 청약과열 지역에 대한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비교적 규제에서 자유롭고 분양시장 분위기도 좋은 부산, 울산, 경남 지역들을 중심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해부터 대출금리 상승과 대출규제, 국내 경기불황 등 이어짐에 따라 분양시장에서는 미래가치가 높은 영남권 지역들로 수요층이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부울경 지역은 업무지구와 교통 및 생활인프라 등이 잘 갖춰져 있어, 내 집 마련 수요층들이 풍부하다. 또 오래된 주택 비중도 높아 새아파트를 구매하려는 욕구도 강하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대규모 산업단지가 인접해 있는데다 교통이나 생활인프라 등이 잘 갖춰져 있어 실수요층들의 선호도가 높다. 또 택지나 신도시로 개발되는 곳들이 많아 개발에 따른 수혜도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울산광역시의 공공택지인 송정지구에서 금강주택이 분양하는 ‘울산송정 금강펜테리움 그린테라스’가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울산광역시 북구 송정지구 B-7블록에 공급되는 ‘울산송정 금강펜테리움 그린테라스’는 전용 84㎡, 544가구다. 이 단지가 위치한 울산 송정지구는 공공택지로 분양가가 저렴하고 입지여건 및 교통환경이 뛰어나다. 우선 지구 남측으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과 북구모듈화 일반산업단지 등이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 울산공항과 동해남부선 송정역(오는 2018년 개통)이 인접해 있으며, 송정지구 동측으로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과 이어진 오토밸리로가 올해 개통을 앞두고 있다. 특히 지난 12일 국토부가 발표한 ‘고속도로 건설 5개년 계획’ 일환으로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포함됨에 따라 교통인프라는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울산송정 금강펜테리움 그린테라스’가 위치한 울산 송정지구에서 경부고속도로, 울산포항간 고속도로의 이용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 금강주택 분양관계자는 “앞서 송정지구에서 분양한 단지들 중 한라비발디와 반도유보라가 단기간에 계약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던 것은 초·중학교가 인접하고, 수변공원이 가까이 위치한 입지적 장점 때문”이라며 “이를 감안하면 중학교와 수변공원이 접해있는 ‘울산송정 금강펜테리움 그린테라스’도 수요자들의 뜨거운 호응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단지 내 쾌적한 주거환경도 강점이다. 단지 동측으로는 동화산(235m)이 위치했있으며 단지 서측으로는 동천강이, 지구 북측으로는 송정천과 송정박상진 호수공원이 위치해 있다. 금강주택만의 뛰어난 상품설계도 주목할 만하다. 울산송정 금강펜테리움 그린테라스는 544가구 전체가 채광과 통풍이 뛰어난 판상형으로 이뤄져 있다. 주택형은 84㎡A, 84㎡B, 84㎡C로 구성되어 있다. 84㎡A 타입은 4Bay 판상형 구조로 금강주택이 남양주 다산신도시에서 선보여 수요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은 룸 테라스가 적용될 예정이다. 84㎡B 타입은 5Bay 판상형으로 설계해 채광과 통풍이 뛰어나다. 견본주택은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1297-2번지에 위치하며 24일 개관한다.

2017-02-20 11:02:16 김형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