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서울 엑소더스' 3만명 돌파…13년 만에 최고 수준

전셋값 시간당 6351원 오른 탓…최저임금 5580원보다 높아 전셋값 등 주거비용이 치솟는 서울을 벗어나려는 엑소더스(exodus·대탈출) 현상이 1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3분기 시도별 지역경제동향' 자료를 보면 3분기(7~9월) 서울에서는 3만7520명이 도심 외곽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2002년 2분기 4만2078명 이후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서울은 8727명이 순유입됐던 2009년 1분기를 끝으로 6년 넘게 인구가 계속 빠져나가고 있다. KB국민은행이 올 들어 9월까지의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상승폭은 7.49%로 전국 평균 4.76%를 상회했다. 지난해 서울 연간 상승률 4.86%보다도 1.5배 높다. 전국적으로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1년간 시간당 3001원 올랐으며 18개 시도 중 서울이 가장 많이 올랐고 제주 5400원, 대구 5023원 순으로 이어졌다. 오름폭이 가장 적었던 곳은 507원을 기록한 전남이었으며 대전도 625원에 그쳐 오름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18.11%(5563만원) 상승한 3억6271만원을 기록했다. 1년간 오른 전셋값 5563만원을 시간 당으로 환산하면 6351원으로 최저임금 시간당 5580원보다 높다.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높은 지역은 시간당 8106원이 오른 강남권으로 강북권 시간당 3924원보다 오름폭이 두배이상 컸다. 강남권 중에서는 강남3구의 시간당 전셋값 오름세가 가장 컸다. 서초구가 1만6174원으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았고 강남구와 송파구가 각각 1만2359원, 1만729원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반면 중랑구는 시간당 1359원, 도봉구 2719원, 서대문구 2744원 오르는 데 그치며 더딘 상승세를 기록했다.

2015-11-12 13:49:4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10월 전월세거래량 12만2천여건…전년 대비 6.8%↓

10월 전월세거래량이 12만2617건으로 9월보다는 16.7%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6.8% 줄었다. 국토교통부는 9월 말 추석연휴로 거래가 미뤄져 10월 전월세거래량이 늘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거래량이 줄어든 것은 수요자가 주택매매 쪽으로 눈을 돌렸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1∼10월 누적 전월세거래량은 123만881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다. 지역별 거래량은 수도권이 8만1842건으로 9월에 비해 16.5% 증가했고 지방은 4만775건으로 17.1% 늘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전월세거래량이 9월보다 21.2%, 아파트 외 주택이 6만7229건으로 13.3% 증가했다. 임차유형별로 나누면 전세는 6만8784건이 거래돼 전달보다 20.8% 늘어났고 월세거래량은 5만3833건으로 9월에 비해 11.9% 증가했다. 10월 전월세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3.9%로 전달보다 1.9% 포인트 낮아졌다. 다만 작년과 비교하면 5.9%포인트 높았다. 10월까지 누적된 전월세거래량에서 월세는 44.1%로 지난해에 비해 2.9%포인트 늘어났다. 월세는 아파트 전월세 38.2%, 아파트 외 주택 48.8%를 차지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포인트와 1.4%포인트 증가했다. 전국 주요 아파트단지 순수전세 실거래가격은 강남 대치 은마 84.43㎡(1층)가 9월 4억6000만원에서 10월 4억7000만원으로 1000만원 올랐고 개포 주공1차 50.64㎡(2층)이 1억4000만원에서 1억7000만원까지 상승했다. 성북 하월곡 월곡두산위브 59.86㎡ 전셋값은 3억2800만원(11층)에서 3억3000만원(16층)까지 올랐다. 경기 수원영통 황골마을주공1차 59.99㎡(6층)는 2억원에서 2억1000만원까지 상승했고 세종 조치원 죽림자이 84.66㎡(9층)는 9월에 이어 10월에도 1억2000만원에 전세 거래가 이뤄졌다.

2015-11-12 12:27:53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돈 벌고, 건강도 챙기고…한강변 아파트 '주목'

한강 조망 좋고 공원 가까워 1년새 1억~2억 웃돈도 붙어 한강을 바라볼 수 있는 한강변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한강 조망권은 물론 건강도 챙길 수 있어서다. 특히 서울시가 지난달 한강변 아파트 재건축시 최고 35층 이하로 층수를 제한하는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안)을 발표하면서 한강변 내 초고층 아파트에 대한 희소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마포 한강변에 들어선 고급주상복합 메세나폴리스 전용면적 142㎡(57평)는 15억7900만원으로 분양됐지만 현재 시세가 더 올라 16억5000만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메세나폴리스는 한강과 가깝다. 한강 선유도공원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암 월드컵공원과 평화의 공원,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이 인접해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단지는 지하 7층~최고 39층, 3개동, 617가구 규모다. 전용면적 122~148㎡ (49~59평형)로 구성됐다. 지하철 2·6호선 합정역과 바로 연결되는 더블 역세권단지다. 30분 내외로 시청과 종로, 강남 출퇴근이 편리하다. 지하철로 한 정거장만 가면 2호선과 경의중앙선, 공항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홍대입구역이 나온다. 당산역(2호선, 9호선)도 한정거장 거리다. 계약금 5000만원 정액제이며 실 입주금은 3억원부터 가능하다. 이자 지원과 함께 잔금 유예도 가능하며 입주 후 3년간 추가 비용부담과 이자부담 없이 살 수 있다. 또한 하우스키핑 서비스 2년간 무상 지원 등의 혜택도 주어진다.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 1차 아파트를 재건축해 10년 만에 강남 한강변에 공급한 반포 아크로 리버파크 전용 84㎡A 분양가는 15억5000만~16억5000만원으로 지난해 9월 14억2000만원에서 1억~2억원 이상 올랐다. 전용 84㎡E는 13억~15억4000만원에서 1년 새 16억~17억5000만원까지 상승했다. 전용 129㎡도 평균 21억원 정도에 분양되다 최근 22억원 정도로 시세가 형성돼 있다. 단지는 한강을 끼고 있어 한강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와 서래섬, 반포종합운동장이 가까우며 센트럴시티와 신세계백화점, 뉴코아백화점, 국립 중앙도서관, 예술의 전당, 서울성모병원, JW메리어트호텔 등도 인접해 있다. 자사고인 세화여자고등학교와 강남유일 사립초등학교인 계성초등학교 외 세화고등학교, 반포초등학교, 반포중학교 등도 주변에 위치해 있다. 도보 5분 거리의 9호선 신반포역을 비롯해 3·7호선 환승역인 고속터미널역이 근처에 있으며 반포대교와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경부고속도로 반포I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말 아파트 분양 시장에서도 한강변·한강조망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높다. 대원은 이달 경기도 하남미사강변도시 A3블록에 '미사강변 대원칸타빌'을 분양한다. 하남 미사강변도시에 마지막 남은 한강조망 아파트다. 단지는 지하2층~지상 29층 5개동, 전용 92~143㎡, 550가구로 구성된다. 이 중 126~143㎡ 15가구는 펜트하우스로 꾸며진다. 한강 조망이 좋고 단지 바로 앞에 7만8755㎡ 규모의 근린공원이 조성될 계획이다. 단지는 연말까지 공급이 이어지는 한강조망·한강변 아파트 중 유일하게 일반분양 아파트다. 일반분양 물량이 적은 재건축 아파트에 비해 청약 당첨확률이 높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 아파트인만큼 분양가는 서울 젠셋값 수준인 1100만원대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건설이 미사강변도시 지난해 분양한 '미사강변 푸르지오 2차' 분양가는 3.3㎡당 1300만원대였다. 서초·강남 재건축 분양가 4000만원선에 비하면 부담 없는 가격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한강변·한강조망 아파트는 주거환경과 조망권 등 프리미엄으로 지역에서 아파트값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 내 랜드마크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며 "앞으로 초고층 아파트가 제한되고 한강변 새 아파트 공급이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희소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IMG::20151112000049.jpg::C::480::한강조망·한강변 아파트 연내 분양 일정./각 사}!]

2015-11-12 11:54:43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킨텍스' 분양

현대건설이 이달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지원활성화단지 내 C1-1블록에 '힐스테이트 킨텍스'를 분양한다. 현대건설이 일산신도시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힐스테이트 브랜드 아파트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최고 49층 4개동, 1054가구 규모이며 전용면적 84㎡의 단일 면적으로 공급된다. 주택유형별로 ▲84㎡A 351가구 ▲84㎡B 351가구 ▲84㎡C 176가구 ▲84㎡D 176가구다. 단지 지상은 주차장을 없애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조성하며 기존 주차장보다 가로구획 폭이 20cm 넓은 광폭 주차장(전체 주차대수 중 34%)이 확보됐다. 지하주차장에는 조명의 밝기를 컨트롤해 전기에너지를 절감하고 보행자를 안전하게 인도하는 Smart-IT LED 조명시스템과 지하 비상벨 기능을 포함한 지능형 주차위치 시스템 UPIS,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등이 적용된다. 단지 중앙에 잔디마당과 운동시설(체력단련시설) 등이 있는 중앙광장이 들어서며 왕벚나무 길, 단풍나무 길 등도 조성된다. 커뮤니티시설로는 휘트니스 시설과 GX룸, 실내골프연습장(스크린골프장 포함) 등의 체육시설, 동호회실, 힐스 맘스카페 등이 마련된다. 단지 주변으로 현대백화점과 원마운트, 롯데 빅마켓, 이마트타운 등이 들어서 있다. 단지 바로 옆에는 킨텍스 제1·2전시장이 있으며 전체면적 99만4756㎡ 규모의 한류월드도 조성 중이다. 광역급행철도인 GTX 3개 노선 중 가장 먼저 추진되는 A구간(일산 킨텍스~삼성~화성 동탄)이 개통되면 서울 접근성이 좋아진다. 힐스테이트 킨텍스는 이 구간의 출발역인 GTX킨텍스역(예정)이 도보권이다. 홍보관은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61번지길 77 메트로폴리스 704호에 있으며 견본주택은 이달 개관될 예정이다.

2015-11-12 11:53:14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LH, 내년 대학생 전세임대 5천가구 공급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내년 신학기 전 입주할 대학생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16년도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입주자 모집에 나선다. 모집 규모는 5000가구로 9월 발표한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강화방안에 따라 올해 4000가구에서 1000가구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3060가구, 5대 광역시 870가구, 기타 지방 1070가구 등이다. 신청 자격은 대학 소재지가 아닌 다른 시·군 출신 대학생이며 경쟁이 있을 경우 소득수준 등을 고려해 입주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내년 입학 예정자와 복학 예정자, 편입 예정자 등이 대상이며 수료생과 내년 졸업예정자는 제외된다. 입주자 선정은 기초생활수급자와 보호대상 한 부모 가정, 아동복지시설 퇴소자가 1순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50% 이하인 가정과 장애인 가구 중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인 자가 2순위, 그 외 나머지가 3순위다. 전세 보증금은 국민주택기금에서 수도권은 7500만원, 광역시 5000만원, 지방은 4500만원까지 지원되며 이 가운데 1·2순위 입주자는 임대보증금 100만원과 월 임대료 7만∼12만원, 3순위 입주자는 보증금 200만원과 월 임대료 11만∼18만원을 각각 부담해야 한다. 재학생(복학생·편입예정자 포함)은 이달 23∼25일 신청받아 12월 29일 당첨자를 발표하고 수시합격 신입생은 12월 16∼18일 신청받아 내년 1월 15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정시합격생은 내년 2월 3∼4일 신청 받아 3월 9일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2015-11-12 11:33:04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올해 전국 아파트 거래량 68만건 돌파…9년 만에 최대치

올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200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후 9년 만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올들어 1월부터 10월까지 68만7771건으로 2006년 52만116건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는 34만8899건으로 2006년 30만8297건보다 13.2%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6만8782건보다는 29.8% 늘었다. 지역별로 서울은 11만2465건 거래돼 2006년 10만637건보다 12% 정도 늘었다. 경기도의 올해 거래 건수는 19만1012건으로 2006년 17만5223건에 비해 9% 증가했고 인천은 4만5422건으로 2006년 3만2437건에 비해 40% 증가했다. 올들어 1~9월까지 수도권에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1만9214건이 거래된 고양시였다. 이어 용인시가 1만8644건, 수원시 1만7613건, 남양주시 1만2341건, 부천 1만1298건 순이었다. 거래 증가는 저금리기조와 전세난에 실수요들이 주택 구입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방은 33만8872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1년 거래량 37만1288건 수준을 넘지 못했다. 지방은 2011년 한해 공급부족 등의 이유로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10%를 넘어서면서 거래량이 늘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상환기간과 방법, 대출금액 등에 문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돼 향후 대출을 이용한 내 집 마련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라며 "여기에 금융 당국이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신규분양 집단대출 실태를 점검하고 은행들도 자율적으로 대출심사를 강화하고 있어 분양시장 역시 심리적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2015-11-12 11:21:40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현대산업개발, 13일 송파헬리오시티 견본주택 개관

현대산업개발이 13일 서울 송파구 송파 헬리오시티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돌입한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송파구 가락동 497번지 일원 가락시영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단지로 지하 3층 ~ 지상 최고 35층 84개동 9510가구 규모로 구성된다. 일반분양 물량은 1558가구이며 전용면적별로 ▲39㎡ 201가구 ▲49㎡ 23가구㎡ ▲59㎡ 174가구 ▲84㎡ 560가구 ▲110㎡ 516가구 ▲130㎡ 84가구다. 가장 많은 물량이 배정된 전용 84m² 560가구는 13가지 주택형으로 구성됐다. 판상형 4베이 구조와 타워형 평면 등이 혼합돼 설계됐다. 전용 39·49m²는 신혼부부 등 1·2인 가구에 적합한 투룸형 구조로 설계됐다. 전용 59m²는 전통적인 판상형 3베이가 적용됐다. 단지 안은 주거와 휴식, 쇼핑 모두가 해결 가능한 '원스탑(One-Stop) 생활공간'이 조성된다. 단지 중앙을 가로로 관통하는 전체 폭 40m, 길이 약 1km의 중앙공원을 비롯해 녹지공간만 전체 부지의 31%인 12만7000㎡에 달한다. 편의시설로는 지하 3층~지상 5층 규모의 쇼핑시설을 포함해 5개의 쇼핑 시설이 들어서며 학교 2곳과 보육시설 7곳, 도서관 5곳 등 교육시설도 들어선다. 이외에도 수영장과 사우나, 게스트하우스, 연회장, 영화감상실 등의 커뮤니티 시설이 마련된다. 다목적 실내체육관에는 피트니스센터와 실내 골프연습장, 테니스장 등이 설치된다. 지하철 8호선 송파역이 걸어서 약 5분 거리에 있고 지하철 3·8호선 환승역인 가락시장역도 가깝다. 내년에는 인근에 지하철 9호선 석촌역이 개통된다. 평균 분양가는 3.3㎡ 당 2626만원으로 책정됐다. 견본주택은 단지가 들어설 현장 내 부지인 서울 송파구 가락동 483 일대에 있다. 송파역 3번 출구 또는 가락시장 북문 방향이다. 17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8일 1순위 청약, 19일 2순위 청약 신청을 받는다. 25일 당첨자 발표 이후 12월 1일에서 3일까지 계약이 진행된다. 입주 예정일은 2018년 12월이다.

2015-11-12 09:33:43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