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초과 아파트 용인시에 가장 많아
수도권에서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는 경기 용인시에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총 353만8963가구 중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아파트는 총 79만9813가구다. 이 중 시군구별로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용인시로 모두 7만3393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42만2172가구로 수도권 전체에서 52.8%의 비중을 보였다. 서울은 28만9011가구로 36.1%, 인천은 8만8630가구로 11.1%다. 용인시의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7만3393가구의 동별 분포를 살펴보면 상현동 1만1285가구, 성복동 1만476가구, 죽전동 6366가구, 신봉동 6082가구, 풍덕천동 5203가구 등 순이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2000년대 이후 택지지구 개발로 공급됐고 용인에서도 서울 접근성이 가장 양호한 수지구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용인시 다음으로는 고양시가 총 5만412가구로 뒤를 이었다. 일산신도시를 포함하고 있는 고양시에는 2010년을 전후로 덕이·식사지구에 중대형·대형아파트가 대거 입주하며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가구수가 크게 늘었다. 동별로는 식사동이 6965가구, 주엽동 5344가구, 마두동 5028가구, 행신동 4403가구, 탄현동 4392가구 등의 순이다. 성남시는 총 4만3840가구로 나타났다. 전용면적 85㎡ 아파트는 분당·판교신도시가 위치한 분당구에 집중돼 있는데 동별로는 정자동에 8595가구, 이매동 5818가구, 수내동 5558가구, 서현동 5057가구 등 순이다. 서울에서는 강남구가 3만8660가구로 가장 많다. 수도권 전체에서는 네 번째다. 2000년대 이후 재건축한 새아파트가 대부분으로 동별로는 대치동 9253가구, 도곡동 7662가구, 압구정동 6057가구, 삼성동 3877가구, 청담동 2972가구 등 순이다. 하지만 아직 재건축에 들어가지 않은 압구정동 아파트 6000여 가구가 포함돼 있어 재건축이 진행되면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가구수는 더 증가할 전망이다. 수원시는 총 3만5661가구였으며, 영통동 5388가구, 이의동 4232가구, 망포동 4205가구, 정자동 4085가구, 매탄동 3122가구 등의 순이다. 인천에서는 연수구가 2만1660가구로 가장 많은데 수도권 전체로는 아홉 번째에 해당한다. 동별로는 송도국제도시가 위치한 송도동이 1만1407가구, 동춘동 5769가구, 연수동 2672가구 등 순이다.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는 서울보다 경기에 더 많은 분포를 보였다. 부동산리서치팀 조은상 팀장은 "서울은 신규 개발 가능한 토지가 부족한 반면 경기는 신도시·택지지구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며 중대형·대형아파트 공급이 늘었던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부동산써브는 정부가 대규모 공공택지 지정을 3년간 중단하겠다고 밝혔지만 위례·동탄2신도시·양주신도시·평택국제화도시 등 이미 지정돼 있는 곳에서도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가 꾸준하게 공급될 예정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 같은 양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러나 서울은 재개발·재건축 사업 속도가 더딘 편이고 최근 중소형 선호 현상이 강하므로 강남 일부를 제외하면 전용면적 85㎡ 초과 가구수 증가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