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GS건설, 위례신도시서 '위례자이' 9월 분양

GS건설은 다음 달 청약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위례신도시에서 첫 자이 브랜드 아파트인 '위례자이'를 분양한다고 26일 밝혔다. 지하 2층, 지상 8~19층, 11개동, 전용면적 ▲101㎡ 260 가구 ▲113㎡ 122가구 ▲121㎡ 114가구 ▲124㎡ 12가구 ▲125㎡ 3가구 ▲131㎡?2가구?▲134㎡?4가구 등 전체 517가구 규모다. 평면을 총 12개 타입으로 구성했으며, 테라스하우스, 펜트하우스, 3면 개방형, 5-bay 등의 특화된 설계를 선보일 계획이다. 아파트가 들어설 A2-3블록은 지구 내에서도 입지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 곳이다. 지하철 8호선·분당선 환승역인 복정역, 신설 예정인 지하철 8호선 우남역과 경전철 위례중앙역(가칭)을 모두 도보로 이용 가능한 것은 물론 중심상업시설인 트랜짓몰과도 접해 있다. 또 부지 남쪽으로는 수변공원이 위치해 개방감이 뛰어나고, 북쪽으로는 초·중·고교 예정부지가 계획됐다. 단지는 전 세대 판상형 설계와 남향 위주의 배치로 일조권과 조망권이 우수하고,?169%의 낮은 용적률의 적용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출 전망이다. 또 자이만의 고품격 커뮤니티시설인 자이안센터에 피트니스센터, 골프연습장 등 다양한 입주민 편의시설도 마련된다. 김보인 GS건설 분양소장은 "위례자이는 위례신도시 안에서도 입지가 좋고, 특화된 신평면이 대거 도입됨에 따라 그동안 아껴둔 1순위 통장을 꺼내겠다는 직원들의 문의도 많을 정도로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모델하우스는 성남시 복정동에 지어지며, 테라스하우스 121㎡ 타입과 101㎡ 타입의 유닛이 마련된다.

2014-08-26 18:25:05 박선옥 기자
LH, 임대주택 부적격 입주자 최근 4년간 723% 급증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임대주택의 부적격 입주자가 해마다 크게 증가해 임대주택과 관련한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김윤덕 의원이 LH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 6월까지 총 부적격 입주사례(주택 소유, 소득·자산기준 초과 등)가 7445건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319건, 2011년 1249건, 2012년 1704건, 2013년 2624건. 2014년(6월 기준) 1549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특히 2010년에서 2013년 말까지 최근 4년간 증가율은 723%에 달하며 급증했다. 유형별로는 주택소유가 3678건(49.4%)으로 가장 많았고 자산초과 1965건(26.4%), 소득초과 1802건(24.2%) 순이었다. 임대주택별로는 국민임대가 6600건으로 전체의 88.7%를 차지했고 영구임대 672건(9%), 공공임대 173건(2.3%) 순이었다. 입주자격 상실에 따른 퇴거 건수를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1273건 17.1%로 가장 많았고 전남 852건(11.4%), 서울 764건(10.3%), 충남 722건(9.7%) 순으로 집계됐다. 임대주택법은 영구 및 국민 임대주택의 거주자 중 주택소유 또는 소득·자산의 증가로 입주자격을 상실한 경우 임대차계약을 해지하고 퇴거조치하도록 하고 있다.

2014-08-26 16:35:22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지금이 기회…재건축 수주전, 닻 올랐다

최근 몇 년간 침체일로를 걷던 재건축·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이 올 들어 잰걸음을 보이면서 조합과 건설사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시공사를 선정하려는 조합, 정비사업을 수주하려는 건설사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것이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7월까지 28개 도시정비사업 조합이 시공사 선정총회를 진행했다. 주택시장 특히 재건축아파트의 회복세가 뚜렷한 데다 조합원이 2주택 분양을 받을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면서 사업성이 높아진 덕분이다. 이에 수도권에서는 과천 주공7-1단지, 대치동 국제, 서초동 삼호가든4차, 서초구 방배5구역, 잠원동 신반포6차 등 강남권 알짜 사업장을 비롯해 사업성이 떨어져 몇 차례나 시공사 선정에 실패했던 공릉동 태릉현대아파트까지 시공사를 찾았다. 한때 수주한 시공권마저 포기한 건설사가 속출했을 정도로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았던 부산은 올해 분위기가 180도 달라졌다. 벌써 7개 조합이 시공사 선정을 완료했고, 대연4구역과 명장1구역은 오는 30일 대우건설과 롯데건설, 대림산업과 삼한종합건설이 승부를 가린다. 하반기 수주전도 치열할 전망이다. 당장 이달 말 수도권에서만 6곳에서 시공사 선정총회 및 입찰에 들어간다. 이 중에는 삼성동 상아3차와 목동 목1구역 등 소위 노른자위라 평가되는 곳에서 주민총회가 이뤄진다. 도시정비사업 조합들의 시공사 선정총회가 잇따르다보니 건설사들의 수주전도 덩달아 활발해지고 있다. 대형건설사 상당수가 재개발·재건축 부문 수주 목표액을 1조원 이상으로 설정한 가운데, 대림산업은 이미 1조원이 넘는 실적을 올렸다. 또 GS건설이 미아3구역, 방배5구역(컨소시엄), 신반포6차의 사업을 따냈고, 롯데건설은 사당2구역, 방배5구역(컨소시엄), 사당2구역, 광명철산주공7단지(컨소시엄)의 시공권을 수주했다. GS건설은 상아3차, 롯데건설은 목1구역에서 추가 수주를 노리고 있는 상태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회복 및 재건축 규제 완화 등으로 수익률이 크게 개선되면서 정비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며 "일감도 줄어든 터라 사업성이 좋다고 판단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무분별한 정비사업 수주가 향후 건설사들의 발목을 잡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조합사업의 경우 조합 내부 분쟁에 따른 사업 지연이 잦고, 강남권과 대구·경북, 부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사업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건설사들이 예전에 수주했던 재건축·재개발 사업장도 당시에는 잘 될 줄 알고 수주했지만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면서 천덕꾸러기 신세가 된 것 아니냐"며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 올 들어 정비사업 수주 실적이 전혀 없는 점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귀띔했다.

2014-08-26 14:41:27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7월 미분양 주택 5만1287가구…3개월째 증가

신규분양 아파트가 늘면서 덩달아 미분양 가구수도 증가하고 있다.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미분양 주택이 3개월째 증가세를 나타냈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1287가구로, 전달(5만257가구)보다 2.0%(1030가구) 늘었다. 수도권 563가구, 지방 6262가구 등 전국적으로 6825가구의 신규 미분양이 발생했지만 기존 미분양은 5795가구 줄어드는 데 그친 탓이다. 이로써 작년 9월부터 8개월간 감소했던 미분양 주택은 4월 이후 석 달 연속으로 증가했다. 다만 미분양 물량이 크게 증가한 지방과는 달리, 수도권은 상당부분 해소되며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띠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전달보다 11.3%(3415가구) 줄어든 2만6797가구로 집계됐다. 김포·파주·평택 등 경기와 인천에서 미분양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김포에서는 1045가구, 파주에서는 649가구, 평택에서는 625가구, 인천에서는 652가구의 미분양 아파트가 팔려나갔다. 이에 반해 지방에서는 대구·광주·세종·경북 등에서 미분양이 늘면서 전달 대비 22.2%(4445가구) 증가한 2만4490가구로 집계됐다. 대구와 세종에서 절반이 넘는 1400가구와 1042가구의 미분양이 각각 발생했고, 광주 548가구, 경북 454가구로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이 전달보다 4.6%(1415가구) 증가한 3만2121가구, 85㎡ 초과 중대형이 3.4%(680가구) 줄어든 1만9166가구를 기록했다. 미분양 중에서도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후 미분양은 전월에 견줘 791가구 감소한 2만312가구로 파악됐다. 이 같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및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08-26 11:57:58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우남건설 '용인 역북 우남퍼스트빌' 견본주택 29일 오픈

우남건설이 오는 29일 용인시청 인근 역북동에서 '용인 역북 우남퍼스트빌' 견본주택을 개관한다. 용인 역북 우남퍼스트빌은 민간 건설사가 짓는 임대아파트로 10년간 내 집처럼 거주하다가 임대 기간이 절반 이상(5년) 지난 이후 분양 전환이 가능한 상품이다. 전용면적 ▲67㎡ 541가구 ▲ 72㎡ 170가구 ▲ 84㎡ 203가구 등 총 914가구 규모다. 용인경전철 김량장역이 500m 거리로 도보 이용이 가능하고, 영동고속도로 용인IC 및 45번 국도를 통한 인근 지역으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용인시청을 비롯한 행정타운, 용인세브란스병원?등의 편의시설과 용인초·중·고교가 인접했다. 내부 평면은 분양전환 임대아파트임에도 일반 분양아파트 못지않게 차별화했다. 특히 전용면적 67㎡A은 소형이지만 방 3개와 거실이 모두 전면으로 배치되는 4-bay로 꾸며졌다. 용인 처인구 일대에서 소형이 4-bay로 공급되기는 처음이다. 분양 관계자는 "모델하우스 오픈 전 홍보관을 운영해본 결과 퇴직자, 신혼부부 등 다양한 수요층에서 관심을 보였다"며 "대단지이면서도 임대아파트에서는 보기 힘든 평면으로 이뤄져 실수요자 중심으로 문의가 많다"고 설명했다. 견본주택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방동 513-3번지에 마련됐다. 2016년 12월 입주 예정.

2014-08-26 11:26:08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서울 아파트 '재건축' 천하…올해 재건축만 가격 올라

재건축 3.3㎡당 매매가 26개월 만에 3000만원대 회복 올 들어 서울 일반아파트는 더딘 경기회복으로 약세를 이어간 반면, 재건축아파트는 줄곧 상승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소재 일반아파트 3.3㎡당 매매가는 1월 1506만원에서 8월 1489만원으로 17만원 하락했다. 이에 반해 재건축아파트는 2875만원에서 3005만 원으로 130만원 상승했다. 일반아파트의 경우 1월 이후 계속해서 내리막길을 걸었지만 재건축아파트는 단 한차례 하락도 없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26개월 만에 3.3㎡당 매매가 3000만원대를 회복했다. 이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가 올해까지 유예되고, 법 개정으로 조합원이 2주택 분양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사업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DTI·LTV 완화 영향으로 재건축의 상승폭은 더 커진 상태다. 지역별로는 재건축아파트가 밀집된 강남3구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송파구가 1월 3.3㎡당 2845만원에서 8월 3109만원으로 264만원이 올랐고, 이어 강남구가 3874만원에서 4122만원으로 248만원, 서초구가 3062만원에서 3194만원으로 132만원 상승했다. 단지별로는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가 지난해 12월 조합설립승인으로 불확실성이 해소된 이후 급매물 위주로 매수 문의가 이어졌다. 재건축 사업이 1년째 답보상태였던 신천동 미성도 지난 7월 조합설립인가를 받는 등 재건축 추진이 빨라지면서 투자자들의 발길이 잦았다. 1월 10억4500만~10억8000만원에 거래됐던 주공5단지의 전용면적 103㎡가 7월 11억2000만 원에 계약서를 적으며 4000만~7500만원 뛰었다. 미성 전용 72㎡는 1월 6억~6억2000만원에서 7월 6억4900만원으로 2900만~4900만원 상승했다. 강남구는 사업속도가 빠른 개포동 일대 주공아파트로 문의가 꾸준하다. 부동산 규제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 매도자들이 거래를 보류하거나 매물을 회수하며 매도호가를 올리고 있다. 주공1단지 전용 41㎡가 1월 6억5000만원에서 7월 6억8000만~6억8500만원을 실거래가가 올랐고, 이 기간 주공4단지 전용 42㎡도 6억원에서 6억5000만원으로 5000만원이나 올라 거래됐다. 서초구는 지난 1월 반포동 한신1차를 재건축한 '아크로리버파크' 분양이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반포한양, 한신6차 등 인근 재건축 단지들도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부동산 규제완화 발표 후 매도 호가가 너무 올라 거래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반포한양 전용 155㎡가 지난 3월에는 12억5000만원에서 7월 14억원으로 4개월 사이 1억5000만원이나 몸값을 높였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현재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재연장 또는 폐지가 추진 중이고, 국토부에서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 등 후속 조치를 준비하고 있어 당분간 재건축아파트의 상승세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2014-08-26 10:01:10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