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반도건설, 화성 나래울 복지관 찾아 추석맞이 봉사활동

반도건설은 추석을 앞두고 지난 2일 경기도 화성시 동탄지역에 위치한 나래울 화성시복합복지타운에서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이웃사랑 나눔행복 행사에는 정영모 반도건설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과 이종길 나래울 화성시복지타운 관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반도건설 임직원은 무료 점심식사 600인분·송편 600인분·생활용품 500세트를 전달하고, 복지관 식당을 이용하는 홀몸노인 및 장애우 등 600여 명의 음식배식과 식사수발을 하며 사랑을 전했다. 이들은 또 복지타운에서 진행하는 '2014 나래울 한가위 큰잔치'에 참석해 지역 이웃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하며 웃음꽃을 피웠다. 정영모 반도건설 사장은 "나눔은 결코 어려운 게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반도건설처럼 명절 때 지역의 어려운 이웃들과 맛있는 음식 나눠먹고 작은 성의를 전달하는 게 바로 나눔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종길 복지관장은 "설에 이어 추석까지, 잊지 않고 또 다시 어려운 지역민들을 위해 따뜻한 나눔을 실천을 해준 반도건설에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반도건설은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들에게 지속적으로 사랑을 전달하는 나눔 기업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14-09-03 09:51:57 박선옥 기자
대림그룹,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 실시

대림그룹은 오는 15일부터 2014년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 일정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대림산업 건설사업부·대림산업 석유화학사업부·삼호·대림I&S 등 4개 관계사에서 총 100여명 규모의 신입사원을 뽑으며,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2015년 2월)가 지원이 가능하다. R&D 분야에서는 석사학위 이상 보유자만 지원할 수 있다. 신입사원 지원서 접수는 9월 15일부터 26일까지 대림그룹 채용 홈페이지(http://recruit.daelim.o.kr) 를 통해서 받는다. 서류전형 합격자는 10월 6일 채용 홈페이지와 지원자의 이메일을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 이후 인·적성 검사와 1차 면접(실무·팀장·임원), 2차 면접(사장단 면접), 신체검사를 거쳐 최종 입사가 결정된다. 대림그룹은 기업문화와의 적합성을 바탕으로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팀워크를 제고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 즉 조직친화력을 지닌 인재를 선호한다. 또 창의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업무분야에서 전문가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는 인재를 선발할 계획이다. 특히 대림은 이번 공채부터 기존 전공분야별 모집에서 직무단위별로 모집단위를 변경했다. 이에 따라 신입사원들이 입사 시점부터 본인의 직무분야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세부 모집분야는 대림산업 건설사업부는 ▲토목 일반 ▲건축 일반 ▲플랜트 사업관리 ▲플랜트 설계 등 9개 분야, 대림산업 석유화학사업부는 ▲생산 ▲경영지원 등 4개 분야, 삼호는 ▲건축 일반 ▲전기 일반 ▲토목 일반 등 5개 분야, 대림I&S ▲건설정보 ▲ITO 등 2개 분야로 구성됐다. 아울러 대림은 경북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전남대, 한양대 등 전국 15개 대학에서 학교별 채용 설명회를 실시해 회사 소개, 인사담당자 및 선배사원과의 직무상담 등을 통해 지원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신입사원 채용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확인과 입사지원은 채용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2014-09-03 09:33:56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롯데건설, 베트남 '롯데센터 하노이' 완공

롯데건설은 2일(현지시간)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65층 규모의 초대형 건축물인 '롯데센터 하노이'의 완공식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김치현 롯데건설 사장을 비롯한 그룹 계열사 대표단, 웅웬 티 조안 베트남 부주석, 전대주 주베트남 한국대사 등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롯데센터 하노이는 2009년 공사를 시작한 이래 1800만 시간 동안 단 한 건의 인명사고도 없는 무재해 현장으로 5년 만에 완공됐다. 1만4000여㎡ 부지에 지하 5층~지상 65층으로 지은 센터에는 롯데마트(지하1층), 롯데백화점(지상1~6층)이 들어서며, 고층부에는 오피스(8~31층)와 258실 규모 서비스레지던스, 318실 규모의 롯데호텔이 문을 연다. 최상층인 65층에는 전망대와 스카이워크, 베트남 하노이 최고층 옥외 레스토랑 '탑오브 하노이'가 자리 잡았다. 건물 외관은 베트남 전통의상인 아오자이를 입은 듯 한 모습으로 멋을 냈다. 건물 하부에는 경관 조명을 설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롯데건설의 고도의 기술력과 치밀한 계획이 집약된 현장"이라며 "롯데센터 하노이를 성공적으로 완공함으로써 해외 초고층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014-09-03 09:20:19 박선옥 기자
그린벨트 전매제한 등 단축, 강남3구에 수혜 집중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지역 내 전매제한 및 거주의무 단축에 따른 수혜 단지 2채 중 1채는 강남3구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지역의 전매제한·거주의무 기간 단축의 혜택을 받는 아파트는 총 20개 단지, 1만3859가구로 집계됐다. 이중 강남구 강남지구와 세곡2지구, 서초구 내곡지구와 서초지구, 송파 위례지구에서 전체의 45%를 차지하는 6270가구가 수혜를 받는다. 특히 입주 5년 이내 인근 아파트 3.3㎡당 매매가와 전매기간 단축 수혜 단지의 분양가 차액을 비교해보면 강남3구 수혜 단지의 평균차액이 759만원으로 경기·인천 수혜 단지 평균차액 89만원보다 8.5배가량 큰 것으로 조사됐다. ◆최초 분양가 시세의 70% 미만 단지=공공주택은 전매제한 기간이 8년에서 6년, 의무거주 기간은 5년에서 3년으로 준다. 또 민영주택은 전매제한 기간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된다. 민영주택은 거주의무 조건이 없다. 이에 따른 수혜 단지는 2012년~2013년 입주한 공공주택인 강남 세곡동 강남지구 ▲LHe편한세상(809가구) ▲세곡LH푸르지오(912가구)를 비롯해 서초구 서초지구 ▲LH스타힐스(1082가구), 송파구 위례지구 ▲위례신도시LH꿈에그린(1810가구) ▲위례신도시LH비발디(1139가구) 등으로 2015~2016년이면 전매가 가능해진다. 민영주택 중 수혜 단지는 경기도 성남시 여수동 여수지구 센트럴타운3단지(1039가구)와 안산시 신길동 신길지구 안산IPARK(441가구)다. 이들 단지는 2013년에 입주를 마친 상태로, 즉시 전매된다. ◆최초 분양가 시세의 70~85% 미만 단지=종전 기준에서 1년 단축돼 공공주택 전매제한 기간은 6년에서 5년, 거주의무 기간은 3년에서 2년으로 완화된다. 민영주택 전매제한 기간은 3년에서 2년으로 줄어든다. 수혜단지는 강남 세곡2지구 ▲강남한양수자인(1304가구)와 ▲자곡포레(1070가구), 서초구 내곡지구 ▲서초포레스타1단지(1264가구) ▲서초포레스타3단지(482가구) ▲서초포레스타5단지(547가구) 등이 2016년부터 매매가 가능해진다. ◆최초 분양가 시세의 85% 이상 단지=공공주택은 전매제한 기간 4년과 거주의무 기간 1년 기준이 변동 없이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시세 100% 초과시 거주의무 기간 1년 제한을 받지 않는다. 민영주택은 전매제한 기간 2년에서 1년으로 줄어든다. 민영주택 수혜단지 중 제도 시행 후 올해부터 거래가 바로 가능한 단지는 경기도 고양시 삼송지구 ▲삼송2차IPARK(1066가구), 남양주시 별내지구 ▲별내2차아이파크(1083가구), 의정부시 민락2지구 ▲의정부민락푸르지오(943가구)를 꼽을 수 있다. 이미윤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9·1부동산대책에 따른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지역의 전매제한과 거주의무 기간 단축으로 강남3구가 최대 수혜지역으로 꼽힌다"며 "다만 2016년부터 전매제한이 대부분 풀리기 때문에 바로 거래량 증가 효과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경기·인천 지역의 수혜 단지는 올해부터 전매제한이 대부분 풀려 거래 시장 회복세가 지속된다면 실수요자 매매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나 서울 접근성이 떨어지는 입지적인 약점으로 거래량 증가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14-09-02 18:36:02 박선옥 기자
9·1대책 발표에 강남·목동 문의 늘고 호가 뛴다

"이전에는 부동산대책이 나오면 집값이 어떻게 되겠느냐, 집이 팔리겠느냐 등의 집주인들 문의가 많았어요. 그런데 어제는 매물은 있느냐, 가격은 얼마냐, 싸게 구할 수 있느냐 등 구체적인 매수 문의가 대부분이었어요. 확실히 분위기가 달라졌다니까요."(강남구 개포동 K부동산) "7·24대책 나왔을 때만 해도 사람들이 다 강남 재건축단지에나 해당되는 얘기라고 생각하고 문의조차 없었는데, 어제는 20~30통 전화가 온 것 같아요. 최근 몇 년 사이 이렇게 전화가 많이 걸려온 게 처음이에요."(양천구 목동 B부동산) 7·24대책, 기준금리 인하에 이어 9·1대책까지 전방위적 부동산규제 완화가 이어지면서 금융위기 이후 꽁꽁 얼어 있었던 주택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호가 위주이긴 하지만 가격도 오르고, 무엇보다 물건을 찾는 사람이 늘었다. 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485건으로 작년 같은 달(3142건)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중랑구가 3.5배 늘어난 391건이 거래됐고, 다음으로 서초구 336건(3.2배), 강남구 442건(3배). 송파구 443건(2.8배), 용산구 103건(2.7배) 순으로 집계됐다. 매매가 상승률도 높아졌다. 한국감정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7월 0.03% 하락했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8월 들어 0.12%로 상승반전됐다. 특히 재건축 상승세에 힘입은 강남권이 강세를 보였다. 강동구가 한 달 만에 0.67% 올랐고, 강남구도 0.51% 뛰었다. 강남구 개포동 K부동산 대표는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달 개포 주공1단지의 경우 2000만~3000만원 오른 가격에도 거래가 됐다"며 "가격 상승세나 거래량이나 부동산경기가 최고조였던 시절과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물건을 내놔도 팔리지도 않던 때에 비하면 분위기가 정말 좋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대치동 삼성공인 관계자는 "9·1대책이 나오자마자 은마아파트 호가가 2000만원 껑충 뛰었다"며 "주민들은 안전진단 완화의 최대 수혜 아파트가 은마아파트라고 생각하고 추석 이후로 거래를 미루면서 그때 추가적으로 2000~3000만원은 더 오를 것 같다"고 내다봤다. 대출규제 완화에도 꿈쩍 않던 목동도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에는 즉각 반응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재건축 연한 단축으로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아파트 1∼14단지 2만6629가구가 혜택을 보는 것으로 집계됐다. 용적률이 단지별로 110~160%대로 낮은 데다, 목동 재건축 기본계획도 수립된 상태라 높은 사업성이 기대된다. 양천구 B부동산 관계자는 "목동 신시가지단지는 용적률도 낮고 주거여건도 좋아 강남권 못지않은 재건축시장의 블루칩"이라며 "집주인들이 내놨던 매물을 회수하거나 추석 이후 거래를 원하고 있어 문의는 많지만 가격 상승 및 계약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신도시 추가건설 중단 및 청약1순위 자격 완화 등 분양시장의 대변화도 예고되면서 신규공급 아파트에 대한 관심도 늘었다. 이달 분양을 앞둔 강북구 미아4구역의 신건영 꿈의숲 롯데캐슬 분양소장은 "분양문의가 9·1대책을 계기로 2배가량 늘었다"고 말했다. 김근옥 부동산플래너 팀장은 "정부가 돈줄을 풀어주고 동시에 각종 규제들도 완화하면서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호가와 거래도 증가한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예전과 같이 집값이 오르기 힘든 상황에서 많은 대출을 받아 거래에 나서는 것은 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2014-09-02 15:29:20 박선옥 기자
'다가구주택'도 준공공임대사업 가능

정부는 '9·1 부동산 대책'으로 준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을 통해 민간임대사업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규제합리화를 통한 주택시장 활력회복 및 서민 주거안정 강화방안' 발표했다. 준공공임대주택은 지난 2013년 4·1대책에서 처음 도입 됐고 12월 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올해 발표된 2·26대책에서는 준공공임대주택 사업 활성화를 위해 미분양 및 기존주택에서 신규분양까지 지원이 확대됐고 재산세 및 소득ㆍ법인세 감면이 확대된 바 있다. 이번 9·1대책에서는 준공공임대주택 제도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이 또 마련됐다. 신규 분양주택을 매입해서 준공공임대로 등록하는 경우 최대 5가구까지만 기금 대출을 허용하고 있던 것을 최대 10가구로 확대한다. 준공공임대 사업자의 대형화ㆍ전문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가구주택도 준공공임대로 등록할 수 있도록 면적제한이 폐지된다. 현재 전용 85㎡ 이하만 준공공임대주택(오피스텔 포함)으로 등록할 수 있게 돼 있어 대부분 85㎡를 초과하는 다가구주택은 대상에서 제외됐었다. 다가구주택을 준공공임대로 등록한 경우 세제 혜택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참고로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당시 다가구주택은 전체 주택 1467만7419가구 가운데 약 6%인 88만6109가구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다세대ㆍ연립주택 기금 대출시 복성식 평가를 폐지하고 감정평가 방식으로 담보가액을 평가해 대출한도를 확대한다. 한편 지난해 12월부터 도입된 준공공임대주택 등록실적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공임대주택은 6월 말 기준 총 123가구 정도에 불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 64가구, 서울 37가구, 인천 20가구로 수도권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번 9·1대책을 통해 지원대상이 확대되고 등록조건이 완화됨에 따라 준공공임대주택의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다만 임대기간이 길고 임대료 및 인상률이 제한되는 점은 여전히 준공공주택임대사업의 참여를 제한하고 있다. 준공공임대주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가구주택을 활용한 지원대책 등과 함께 10년 의무임대기간 등의 조정도 다시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2014-09-02 15:14:22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추석 귀성 6일 오전·귀경 8일 오후 혼잡 극심"

올 추석 연휴 귀성길은 추석 이틀 전인 6일 오전에, 귀경길은 추석 당일인 8일 오후에 고속도로 혼잡이 가장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국토교통부는 귀성·귀경길 최대 소요시간이 서울→부산·광주 8시간, 부산→서울 7시간 40분, 광주→서울 5시간 50분 등 지난해보다 귀성길은 30분∼1시간 가량 감소하고 귀경길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추석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인 5∼11일 7일간 전국 예상 이동인원은 총 3945만명으로, 추석 당일(9월 8일)에 최대 741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총 이동인원은 작년 추석(3482만명) 대비 13.3%(165만명) 증가, 하루 평균 이동인원은 564만명으로 작년(580만명) 대비 2.9%(16만명) 감소, 평시(329만명)보다는 71.4%(235만명)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추석연휴 기간 고속도로 교통량은 하루 평균 405만대로 예측되며, 이용 교통수단은 승용차가 84.4%로 가장 많고 버스 11.2%, 철도 3.3%, 항공기와 여객선이 각각 0.6%와 0.5%로 조사됐다. 귀성 때에는 주말이 포함돼 교통량이 분산되지만 귀경 때에는 추석 당일과 다음날 교통량이 집중돼 고속도로 혼잡이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도로공사 예측 결과 고속도로를 승용차로 이용할 때 귀성길은 작년보다 1시간가량 덜 걸리지만 귀경길은 소요시간이 10분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예상 소요시간은 귀성의 경우 고속도로 요금소 기준 서울→대전 4시간 20분, 서울→부산 8시간, 서울→광주 8시간, 서서울→목포 9시간 30분, 서울→강릉 4시간 30분이다. 귀경길에는 대전→서울 3시간 30분, 부산→서울 7시간 40분, 광주→서울 6시간, 목포→서서울 6시간 50분, 강릉→서울 4시간 30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고속도로별로는 경부선(34.2%)을 가장 많이 이용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안선 14.2%, 남해안선과 호남선 각각 8.6%, 영동선 8.2% 순이었다. 정부는 추석 특별교통 대책기간에 하루 평균 철도 535량, 고속버스 1884회, 항공기 21편, 여객선 170회 등 수송력을 늘릴 계획이다. 국토부는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시간 교통 혼잡상황, 주요 우회도로 등 교통정보를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연휴 기간 교통안전 제고를 위해 감시카메라를 탑재한 무인비행선 2대가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갓길차로 위반 차량을 계도·적발하며, 대체휴일인 9월 10일에도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한다.

2014-09-02 14:43:25 김두탁 기자
행복주택, '주차장·공원' 설치 기준 완화

국토교통부는 2일 철도 부지나 유수지 등 공공시설용지에 짓는 행복주택에는 주차장이나 공원·녹지를 관계법령에서 정한 기준의 절반까지 낮춰 설치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공주택 업무처리지침'을 개정안을 오는 3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행복주택의 입지나 입주자 특성을 고려해 행복주택에 적합한 건설 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개정된 지침에 따르면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을 위한 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은 가구당 주차장 면적을 0.35∼0.7대 확보하면 된다. 전용면적 30㎡ 이상인 주택은 0.7대, 30㎡ 미만은 0.5대를 확보하도록 했다. 대학생용의 전용면적 20㎡ 미만 주택은 0.35대만 확보하면 된다. 또 공원·녹지는 도시공원 또는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한 설치기준의 절반 규모로만 조성하면 된다. 다만 공공시설용지 외의 용지에 건설하는 행복주택은 관계법령에서 정한 기준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 개정 지침은 또 공공주택지구(옛 보금자리주택지구) 안의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 주택을 짓는 분양주택용지를 조성원가가 아닌 감정가격으로 공급하도록 했다. 지금까지는 저렴한 택지 공급을 위해 조성원가 기준으로 공급했으나 주택 시장 안정 등으로 조성원가가 시세보다 높아지면서 분양이 되지 않는 부작용이 있어 이같이 개정했다. 다만 공공이 건설하는 분양주택용지는 택지 가격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감정가격이 조성원가의 110%를 넘지 않도록 했다.

2014-09-02 14:38:07 김두탁 기자
재건축 가능연한 단축으로 '61만 가구' 수혜

정부가 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재건축연한 단축과 안전진단의 기준 등을 개선 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재건축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전망이다. 재건축 연한을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할 경우 1987~1991년 준공아파트 전국 61만4037가구의 수혜가 예상되며, 안전진단의 규제완화로는 '기본계획' 단계의 재건축아파트 5만9755가구의 재건축 추진이 빨라질 전망이다. 2일 부동산114(www.r114.com)의 조사에 따르면 먼저 최장 40년을 적용받았던 재건축연한을 30년으로 단축할 경우 전국에서 1987~1991년 준공된 61만4037가구의 수혜가 예상된다. 서울시를 기준으로 1987~1990년 준공된 아파트는 2~8년 단축되며, 1991년 이후 준공된 아파트들은 10년 단축된다. (최장 40년이 적용되는 첫 대상은 1991년 준공된 아파트임) 정부 발표에 따르면 1991년부터 지하주차장 설치가 의무화된 만큼 그 이전에 준공된 아파트는 주차장 문제와 더불어 층간 소음, 냉난방 설비 노후화 등으로 주민불편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판단이다. 서울에서 1987년~1991년 준공된 총 19만4435가구 중 11만2665가구가 ▲노원구(6만5509가구), ▲도봉(2만6890가구), ▲양천구(2만266가구) 일대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남권은 ▲송파구(1만6486)를 제외하고 1987년 이후 준공된 아파트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상황이다. 노원구에서는 상계동 일대 위치한 아파트의 수혜가 예상되며, 도봉구는 창동일대, 양천구는 신정동 일대의 신시가지 아파트에 수혜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송파구에서는 방이동과 문정동에 위치한 5000여 가구 규모의 올림픽선수기자촌, 올림픽훼밀리타운의 재건축 기대감이 높아질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도 합리화할 예정이다. 재건축 연한이 도래할 경우, 구조 안전에 큰 문제가 없더라도 생활에 불편이 큰 경우라면 재건축을 허용할 계획이다. 또한 연한의 도래 여부와 관계없이 구조적 결함이 있다면 구조 안전성만 평가한다. 안전진단과 관련된 규제들이 다소 완화될 경우 그 수혜는 안전진단 바로 이전 단계의 '기본계획'에 있는 재건축구역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지역 별로 기본계획 단계의 재건축아파트 현황을 보면 수도권은 ▲서울(27개 구역, 1만8031가구), ▲경기(8개 구역, 5214가구), △인천(3개 구역, 985가구)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은 ▲부산(40개 구역, 1만1521가구), ▲경남(25개 구역, 9838가구), ▲광주(14개 구역, 7305가구), ▲대전(7개 구역, 3162가구) 순으로 확인됐다.

2014-09-02 13:37:04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