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포스코건설, '초고층 중량물 인양자세 제어장치' 개발

포스코건설(대표 황태현)은 제어모멘트 자이로(CMG, Control Moment Gyros)를 이용한 '초고층 중량물 인양자세 제어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현장 테스트를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건물의 초고층화로 크레인을 이용한 자재 인양 과정에서 바람 또는 관성의 영향으로 자재가 갑자기 회전하는 사고가 늘고 있다. 이 경우 유도선으로 안정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일부 자재가 날리거나 줄이 꼬이는 등의 2차 피해도 발생하곤 해 개선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번에 포스코건설이 선보인 제어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인위적인 힘을 일으켜 크레인에 매달려 있는 자재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는 작업단계에 따라 ▲제어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자유모드' ▲바람에 의한 회전을 막는 '자세유지모드' ▲자재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자세제어모드'까지 총 3가지로 구성된다. 제어장치의 조작은 무선송신기를 통해 최대 200m까지 가능하다. 포스코건설은 인천 송도 아트센터 현장에서 엔지니어링 전문업체인 티이솔루션과 함께 중량물 인양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해외에서는 일본의 오바야시社가 최근 세계에서 가장 높은 전파탑인 동경 스카이트리 타워(634m)에 'Sky Juster'라는 명칭으로 이 장치를 적용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시대복 포스코건설 건축사업본부 부사장은 "이번에 개발한 제어장치로 초고층 건물의 시공 시 안정성 확보와 양중(Lifting) 작업의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됐다"며 "향후 초고층 건물 수주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민 R&D센터 전무는 "국내 최초로 개발 및 실용화에 성공해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향후 노무비 절감 및 공기 단축에 기여해 초고층 건물의 필수 시공 기술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4-08-28 15:50:56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2만원대 하이패스 단말기 나온다

2만원대 하이패스 단말기 나온다 다음달 1일부터 가격을 2만5000원으로 낮춘 자동차 하이패스 단말기가 판매된다. 한국도로공사는 보급형 하이패스 단말기 개발과 공인인증시험을 마치고, 9월1일부터 100만대 한정으로 판매한다고 28일 밝혔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단말기 가격은 5만원 이상이지만, 보급형 단말기는 요금 정산에 필요한 기능만 있어 가격이 낮아졌다. 하나SK카드와 우리은행의 하이패스 연계 금융상품 고객은 신용카드 발급 ·이용 조건에 따라 최대 2만5000원의 단말기 구입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 단말기는 제조업체 대리점과 인터넷 쇼핑몰, 우리은행·하나SK카드 지점, 고속도로 휴게소 등지에서 살 수 있다. 단말기 제조사는 아이트로닉스, SD시스템, AITS, 에이치비, 테라링크커뮤니케이션스 등 5개사다. 도로공사는 저렴한 하이패스 단말기 100만대를 보급하는데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김희중 부장은 "개발단가가 대당 3만5000원인데 도로공사가 대당 1만원을 제조업체에 지원해 가격을 2만5000원으로 책정했다"면서 "이용자에게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로공사는 장기적으로 현재 50% 수준인 하이패스 단말기 보급률을 높여 80%대에 이르면 고속도로 요금소를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2014-08-28 15:16:20 김두탁 기자
지난해 건설 공사액 242조원…전년比 4.2% 증가

지난해 전체 건설업계의 공사액이 242조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은 '2013년 기준 건설업조사 잠정결과'를 통해 이같이 발표하고 이 가운데 건설업 상위 100대 기업(시공능력평가 토건업종 순위 기준)의 공사액은 93조원으로 전체 공사액의 38.3%를 차지했으며, 공사액 비중은 전년(38.8%)에 비해 0.5%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상위 100대 건설사의 국내공사액은 48조원(1.7% 증가), 해외공사액은 45조원(3.7% 증가)을 각각 기록했다. 2013년 기준 건설업 공사실적이 있는 기업체수는 6만5679개로 전년(6만5249개)에 비해 0.7%(430개) 증가했으며, 기업체수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은 2만3867개로 36.3%를 차지했고, 수도권 이외 지역은 4만1812개로 63.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 지역은 전년대비 1.0% 감소했으나, 수도권 이외 지역은 1.6% 증가한 수치다. 전체 건설공사액 242조원 중 국내공사는 193조원(79.8%), 해외공사는 49조원(20.2%)으로 나타났다. 공사종류별 공사액(국내 기준)은 건축이 121조원(9.7% 증가), 토목 45조원(11.9% 감소), 산업설비 22조원(22.2% 증가), 조경 5조원(3.0% 증가)을 기록했다. 산업설비부문의 큰 폭 증가는 전력부족 등에 따른 발전설비공사의 증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발주자별 공사액을 살펴보면 공공 73조원(4.3% 증가), 민간 120조원(5.1% 증가), 해외 49조원(2.3% 증가)으로 집계됐다.

2014-08-28 15:15:49 김두탁 기자
대구·부산 등 상반기 이어 하반기 분양시장도 '후끈'

상반기 청약마감률 상위 5개 지역에서 하반기에도 신규분양이 대거 쏟아질 예정이다. 상반기의 청약열기를 이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상반기 순위 내 마감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로, 85.71%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부산이 77.78%롤 뒤를 이었고, 대전·경북·광주 순으로 상위 5위권 내 이름을 올렸다. 이들 대부분 자족 기능을 갖춘 신도시·혁신도시 등의 대단위 개발이 진행되면서 청약이 집중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근로자들이 직장과 가까운 새 아파트를 찾는 과정에서 그동안 아껴뒀던 청약통장을 꺼내든 것이다. 이 같은 풍부한 배후수요를 바탕으로 이 지역들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좋은 성적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과잉 공급 여파로 최근 미분양 물량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점은 부담이다.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7월 말 기준 대구지역 미분양 주택은 총 1754가구로 전달(367가구)보다 1387가구나 늘었다. 같은 기간 ▲부산 2640→2822가구 ▲대전 531→590가구 ▲경북 720→1138가구 ▲광주 117→657가구 등 다른 곳에서도 미분양 물량이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분양이 늘다보니 자연스럽게 미분양도 증가한 것으로 아직 위험수준은 아니지만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상반기 분양이 잘 됐던 지역이라도 수요자들은 개발호재가 있는 대단지·브랜드 아파트 위주로 관심을 가져보는 게 좋다"고 말했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9월 경북 경산시 중산지구 C3블록에 '펜타힐즈 더샵'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면적 63~113㎡, 총 1696가구로 이뤄졌다. 중산지구는 7000여 가구의 아파트와 주거·상업·문화·레저기능이 복합된 콤팩트시티로 개발될 예정으로, 특히 '펜타힐즈 더샵' 주변으로는 대형마트, 중산호수 위치해 편의성이 높다. 대림산업은 경북 구미 교리2지구에서 'e편한세상 구미 교리'를 9월 공급한다. 총 803가구, 전용면적 59~84㎡로 구성됐다. 단지 북측으로 구미국가산업단지 5공단이 조성 중이고, 2018년까지 생곡~구포간 왕복 4차선 자동차 전용도로가 완공되면 구미시청·국가산단1~5공단을 10분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같은 달 반도건설은 대구 달성2차산업단지에 '대구 국가산단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813가구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68~84㎡로 구성됐다. 대구국가산업단지는 대구 최초의 국가산업단지로 2018년까지 2조221억원이 투입된다. 전자·통신·첨단기계·미래형자동차·신재생에너지·로봇산업·첨단섬유산업 등의 업종이 입주할 예정이다.

2014-08-28 14:57:29 박선옥 기자
9~11월 전국 6만1496세대 입주 예정…전년동기대비 3.2% 증가

국토교통부는 오는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전국의 입주예정 아파트를 28일 공개했다.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6만1496세대(9~11월, 조합 물량 제외)로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고, 9월 1만7177세대, 10월 2만968세대, 11월 2만3351세대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은 6303세대로 4.4% 감소, 수도권 전체는 1만9595세대로 25.0%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11월까지 올해 누계로는 서울은 37% 증가한 2만9266세대(2013년 2만1411세대),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1% 증가한 8만1801세대(2013년 8만981세대)로 지난해 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지방은 전년동기대비 25.3% 증가한 4만1901세대로, 특히 세종지역은 중흥S클래스(M2·M3블럭, 1831세대), 호반베르디움(L2·L8·M6블럭, 2129세대) 등 같은 기간 지방에서 가장 많은 7528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규모별로 살펴보면, 60㎡이하 2만5030세대, 60~85㎡ 3만1441세대, 85㎡초과 5025세대가 입주예정으로, 중소형(85㎡이하)주택은 전년동기대비 11.7% 증가, 대형(85㎡초과)주택은 44.0%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공공 1만6766세대, 민간 4만4730세대로 민간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4.9% 소폭 증가했으나, 주로 지방위주의 증가세(수도권 △23.6%, 지방 20.6%)를 나타냈다.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4-08-28 13:52:45 김두탁 기자
올해 건설사업관리 능력평가 결과, 한미글로벌 6년 연속 1위

국토교통부는 올해 건설사업관리자 CM(건설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능력을 평가한 결과, 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가 374억 원의 수주실적으로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28일 밝혔다. 2위는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293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두단계 상승했고, 3위는 삼안이 215억 원의 실적으로 지난해보다 9단계나 상승했다. CM은 건설사업관리자가 발주자를 대신해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설계, 시공관리, 감리, 사후관리 업무를 시행한다. 올해 CM능력 평가·공시는 CM사업 수행업체 158개사 중 평가를 신청한 53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2013년 CM실적은 3236억 원으로 2012년 4886억 원보다는 줄었지만, 초대형 국책사업(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을 제외하면 다소 증가한 수준으로서 건설경기 침체 속에서도 CM확산 추세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CM능력 평가·공시제도는 발주자가 공사비절감, 공기단축, 품질확보 등을 위해 적정한 건설사업관리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년도 CM실적, 건설공사실적·엔지니어링사업실적·감리용역실적 및 건축설계실적, 인력보유현황, 자본금 및 매출액순이익률 등 재무상태 현황 등 9가지 항목에 대한 정보를 매년 8월 말에 공시한다. 지난 2013년의 구체적인 CM 실적은 지역별로 국내 2804억 원(87%), 해외 432억 원(13%)으로 주로 국내에서 건설사업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야별로는 민간 분야 2039억 원(63%), 공공 분야 1197억 원(37%)으로 민간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공종별로는 건축 부문 2948억 원(91%), 토목 및 환경산업설비 등 기타부문 288억 원(9%)으로 건축 부문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M관련 전문인력 보유현황(2013.12.31 현재)을 살펴보면, 100명 이상 업체가 41개사(77.4%)로 대부분의 CM사들이 CM서비스 고급화를 위해 전문인력을 많이 갖추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업체별 자산규모는 100억 원 이상 업체가 37개사(69.8%)로 주로 대형용역업체 및 건설업체들이 CM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4년도 CM능력 평가·공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는 29일부터 한국CM협회 홈페이지(www.cmak.or.kr)나 건설산업종합정보망(www.kiscon.net)에서 볼 수 있다.

2014-08-28 13:35:53 김두탁 기자
'국토교통통계누리' 사용자 중심 기능으로 새 단장

국토교통부는 28일 이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원하는 통계를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통계포털(국토교통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을 새롭게 단장해 오는 9월 1일부터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방문자 수 연 14만 명 이상인 국토교통통계누리는 국토, 주택, 토지, 수자원, 도로, 교통, 항공, 철도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192종의 국토교통부 관련 통계를 한 곳에 모아 서비스하는 공간이다. 이번 개편에서는 통계자료에 대한 이용자 접근성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었고, 주요화면은 최신 트랜드에 맞춰 디자인을 단순화했다. 국토·도시, 주택·토지 등 7개 분야를 주요화면 중앙에 배치하여 원하는 통계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으며, 접근경로를 단순화하여 한 번의 클릭으로 원하는 통계자료를 쉽게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 중심의 기능으로 개선했다. 특히, 활용도가 높은 주 메뉴 통계마당의 서브메뉴인 '분야별통계, 부서별통계, 명칭별통계, 지역별통계, 영문통계, 통계연보'도 주요화면에 별도 아이콘으로 배치해 한 번 클릭으로 해당 콘텐츠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올해 하반기에는 국토교통통계포털에 사용자가 제안한 의견을 담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해 사용자들과 더욱 가깝게 소통하고, 국토교통부 소관 통계활용 자료 등을 소개하는 코너를 신설하는 등 포털 이용 활성화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2014-08-28 13:19:41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삼성물산, 싱가포르 LNG터미널 3단계 공사 수주

삼성물산이 싱가포르 LNG터미널 1·2단계에 이어 3단계 공사까지 따내며 글로벌 LNG 분야 최강자임을 재확인했다. 삼성물산(대표 최치훈)은 싱가포르 LNG 공사(Singapore LNG Corporation Pte. Ltd.)가 발주한 싱가포르 LNG터미널 3단계 EPC 공사의 단독계약을 최종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달부터 싱가포르 주룽산업단지에 세계 최대 용량의 26만㎥ LNG 탱크 및 기화송출설비를 짓기 시작해 2018년 2월 완공할 계획이다. 전체 공사금액은 5억4209만 달러(약 5500억원)이다. 싱가포르 LNG터미널 3단계 공사는 싱가포르가 국책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허브 전략을 위해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공사가 마무리되면 싱가포르의 LNG 기화송출용량은 현재의 6Mtpa에서 11Mtpa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물산은 이번 수주를 통해 2010년부터 시작한 싱가포르 LNG 터미널 공사 전 단계를 단독으로 시공하게 됐다. 앞서 지난 3월 총 3개의 LNG 저장탱크와 부대시설을 짓는 1·2단계 공사를 50개월 만에 마무리했으며, 이 과정에서 1700만인시 무재해를 달성하며 발주처의 신뢰를 쌓았다. 특히 삼성물산은 1·2단계 싱가포르 LNG터미널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Full EPC(설계·조달·시공·시운전을 포함한 일괄공사) 역량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글로벌 LNG 터미널 분야에서 최고로 자리매김했다. 싱가포르 LNG 공사는 측은 "싱가포르 LNG터미널 3단계 공사를 통해 싱가포르 에너지 자급뿐만 아니라 글로벌 LNG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게 됐다"며 "삼성물산이 이번에도 성공적으로 공사를 마무리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은 "싱가포르 국민들의 에너지 수급과 아시아 에너지 허브전략에 삼성물산이 기여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며 "발주처인 싱가포르 LNG 공사에서 준 믿음과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최고의 품질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책임 있게 공사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물산은 지난해 3월 세계적인 LNG 저장탱크 및 인수기지 설계회사인 웨소(Whessoe)를 인수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이어 7월부터 13만 톤 저장 용량 규모의 LPG 기지를 25만 톤 규모로 넓히는 태국 카오보야 LPG 인수기지 확장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2014-08-28 11:28:20 박선옥 기자
7·24대책 발표 '한 달'…서울 전셋값은 꺾이지 않아

주택담보대출의 LTV·DTI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7·24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여전히 강보합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7·24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가 발표된 뒤 한 달 새 서울 전셋값은 0.26%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1월 1.02%, 2월 1.01% 등 작년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초반 1%대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가 겨울방학 이사철이 마무리된 3월 0.58%로 꺾였다. 이후 4월부터 지난달까지 오름폭을 더 줄이며 매달 0.29%, 0.18%, 0.12%, 0.23% 상승하는데 그쳤지만 여전히 강보합장을 연출했다. 또 정부의 규제 완화가 이뤄진 최근 한 달 동안에는 0.26%로 상승폭을 키웠다. 각 구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동작구로 한 달 새 0.82%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광진구 0.49% ▲송파구 0.64% ▲노원·서대문구 0.47% ▲강동·은평·중구 0.38% ▲서초·성동·성북구 0.32% ▲영등포구 0.30% ▲강남구 0.27% 순으로 전셋값이 뛰었다. 한편, 이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도 0.17% 올랐다. 부동산시장에 있어 비수기인 7월 매매가가 상승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써 2010년을 시작으로 4년간 하락세를 보여 왔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통상적으로 매매시장이 활성화되면 전세시장은 주춤하기 마련"이라며 "다만 강남·재건축 위주로 호가가 오르고 일반아파트로는 번지지 않은데다,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수요자가 몰리면서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시에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2014-08-28 11:09:14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전국 공인중개사 69.6% “최경환 경제팀 잘하고 있다”

전국 공인중개사 10명 중 7명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끄는 2기 경제팀의 정책 행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전국 부동산써브 회원 중개사무실 공인중개사 56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취임 이후 부동산 관련 정책 행보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매우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공인중개사는 28.0%(157명), '잘하고 있는 편이다'는 41.6%(233명)로 긍정적 평가가 69.6%(390명)에 달했다. 반면 '별로 잘하는 것 같지 않다'는 6.4%(36명),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2.7%(15명)로 부정적인 평가는 9.1%(51명)에 그쳤다.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는 21.3%(119명)였다. '2기 경제팀 출범 이후 한 달간 매매 관련 문의가 늘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41.8%(234명)가 '평상시와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매도·매수 문의가 모두 늘었다'고 응답한 경우도 24.5%(137명)나 돼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매수 문의만 늘었다' 21.1%(118명), '매도 문의만 늘었다' 7.5%(42명), '오히려 문의가 줄었다' 5.2%(29명) 순이었다. '2기 경제팀 출범 이후 한 달간 매매 거래(계약)가 늘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57.0%(319명)가 '평상시와 비슷하다'고 답해 아직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가 늘었다'는 26.6%(149명), '거래가 줄었다'는 16.4%(92명)로 지역에 따른 편차가 존재했다. '2기 경제팀 출범 이후 한 달간 매매 가격(호가)에 변화가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평상시와 비슷하다' 56.1%(314명), '가격이 올랐다' 40.4%(226명), '가격이 내렸다' 3.6%(20명) 순이었다. 매매가격이 평상시와 비슷하다고 응답한 공인중개사가 가장 많았지만 가격이 올랐다는 응답자도 많아 가격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내 부동산 매매시장 가격 전망을 어떻게 보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오를 것이다'가 55.0%(308명)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그러나 '큰 변화 없을 것이다'라는 답변도 42.7%(239명)로 적지 않게 나왔다. 반면 '내릴 것이다'는 2.3%(13명)로 하락을 예상한 공인중개사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약 부동산 추가 대책을 발표한다면 부동산 경기회복을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은 무엇인가'를 묻는 주관식 질문에는 '금리 인하', '분양가상한제 폐지', '양도세 인하(양도세율 완화)',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라는 답변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편, 이번 설문의 총 응답자는 560명(수도권 358명, 지방 202명)이며, 조사 기간은 지난 8월 21일~8월 27일까지다.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 ±0.47%p다.

2014-08-28 10:55:02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