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대형 건설사, 봄 분양 활발…4~5월 3만 가구 공급

대형 건설사들이 올 봄 전국에서 3만여 가구의 브랜드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공급할 예정이다. 17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4~5월 두 달간 도급순위 10위 내 대형 건설사는 전국 41곳에서 4만9758가구(임대 제외)를 공급한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3만1682가구로, 올해 1~3월 분양물량(1만6612가구)의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공급 물량(2만7009가구)과 비교하면 17%(4683가구)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1만9108가구로 가장 많으며 지방광역시 8699가구, 세종시 1200가구 기타시도 2685가구 등이다. GS건설은 강남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양에 나선다. 이달에는 방배경남아파트 재건축으로 '방배그랑자이'(758가구)를 공급한다. 5월에는 경기도시공사와 함께 경기도 광주시 역동 광주역세권 도시개발구역 A1블록 '광주역자연&자이'(1031가구), 과천에서는 과천지식정보타운 S9블록 '과천제이드자이'(647가구)를 분양한다. 포스코건설은 지방 분양 물량이 많다. 5월에는 전북 군산시에서 더샵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조촌동 디오션시티 A4블록에서 '디오션시티 더샵'(973가구)을 선보인다. 5월엔 대구 동구 신천동에서 아파트 전용면적 84~101㎡ 445가구와 오피스텔 84㎡ 50실의 '동대구역 더샵 센텀시티'(아파트 445가구·오피스텔 50실)를 공급한다. 대림산업은 지난 5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 'e편한세상 일산 어반스카이'(552가구)를 분양한 데 이어 이달에는 하남 감일지구 B9블록에서 '감일 에코앤 e편한세상'(866가구)를 선보인다. 대우건설은 서울 동작구 사당동에서 사당3구역 재건축 '이수 푸르지오 더 프레티움'(153가구)을 이달 분양한다. 내달엔 남양주 지금지구 A-4블록에서 '다산신도시 자연앤푸르지오'(1614가구)를 공급한다. 삼성물산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부산 부산진구 연지동 등 2곳에서 5월 분양에 나선다. 삼성동에서는 상아2차 아파트 재건축인 '래미안 라클래시'(1475가구)를 분양한다.

2019-04-17 08:54:59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인천공항 구본환 사장 취임…"초(超) 격차 공항시대 선도할 것"

"세계 유수 공항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초(超) 격차 공항'을 만들어 나가겠다." 구본환 인천국제공항공사 제8대 사장이 16일 오후 2시 인천공항공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구 사장은 "인천공항을 연간여객 1억명이 이용하는 메가허브 공항이자, 초격차 공항시대를 선도하는 격이 다른 공항으로 발돋움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인천공항의 안정적 운영 및 혁신성장 ▲인천공항경제권 조성을 통한 신(新)성장 거점 확보 ▲인천공항·항공산업 간 상생발전을 위한 산업생태계 구축 ▲사람중심 경영 및 사회적 가치 확대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특히 인천공항을 '3세대 공항'으로 만들어 '인천공항경제권'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구 사장에 따르면 최근 공항산업의 패러다임은 여객과 화물운송이 중심이 되는 '1세대 공항' 에서 호텔, 리조트, 물류 등 배후지역을 개발하는 '2세대 공항'을 넘어, 글로벌 교역과 생산의 중심이자 항공·관광·물류·스마트 융합 경제권을 구현하는 '3세대 공항' 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는 "인천공항은 '3세대 공항'을 목표로 영종도, 송도, 강화도 등 인천공항 주변지역을 아우르는 인천공항경제권을 구축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비즈니스 허브, 첨단산업 허브, 항공지원 허브, 물류관광 허브를 조성함으로써 인천공항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항경제권이자 글로벌 경제활동의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구 사장은 공항 주변지역에 경박단소형 산업과 첨단 물류 시스템을 갖춰 도시 전체에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미국 멤피스 공항을 성공 사례로 들었다. 인천공항에 공항경제권이 조성되면 멤피스 공항처럼 인천공항이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그는 내다봤다. '원 에이포트(One Airport) 생태계' 구축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 사장은 "인천공항과 항공산업 주체들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원 에어포트 생태계를 구축해 인천공항의 발전이 대한민국 항공산업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공사는 ▲지속적 혁신성장 ▲미래도약 ▲상생협력 ▲사람중심을 바탕으로 핵심가치를 설정하고, ▲글로벌 허브공항 경쟁력 강화 ▲스마트공항 등 혁신성장형 공항산업 육성 ▲인천공항경제권 조성을 통한 글로벌 신성장 거점 구축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등 인프라 확장과 운영 효율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가치 확대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경영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 밖에 '사람중심'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고용안정, 근무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등도 약속했다. 구 사장은 "일평균 20만명의 여객이 이용하는 인천공항은 7만명의 공항상주직원을 포함해 하루에만 30만명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소도시"라며 "다함께 힘을 모아 인천공항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가자"라고 했다. 한편, 구 사장은 행정고시 33회로 합격한 뒤 28년간 국토교통부에서 재직하며 국토부 국제항공과장, 서울지방항공청장, 항공정책실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한 바 있다.

2019-04-16 16:03:47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강북아파트 10억시대?…청량리 청약결과 열어보니 "아직 아냐"

-청량리 한양수자인 등 분양가 9억 이상 청약경쟁률 한자릿수…'강북 거품' 반응 강북에도 '아파트 분양가 10억 시대'가 도래했다. 분양가 9억원을 초과하면 사실상 중도금 대출이 막히는데도 청량리 등 주요 지역에서 분양가 10억원 전후의 아파트가 속속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를 받아들이는 수요자의 반응은 아직 싸늘하다. 16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청량리역 한양수자인192'는 1순위 청약에서 1046가구 모집에 4391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 4.2대 1 수준에 그쳤다. 9억원을 초과하는 분양가 10개 타입이 청약 경쟁률을 끌어내렸다는 분석이다. 이 단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2570만원. 전체 1046가구 중 945가구(90.3%)가 분양가 9억원이 넘는다. 타입별로 보면 총 16개 타입 중 분양가가 9억원 미만인 타입(6개)은 모두 청약경쟁률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9억원을 초과하는 나머지 10개 타입은 2가구만 공급하는 전용면적 124.47㎡(경쟁률 119대 1)만 제외하곤 모두 한 자릿수 경쟁률을 보였다. 분양가 9억3500만~10억2800만원에 책정된 전용 84㎡K 타입의 청약경쟁률이 1.66대 1로 가장 낮았다. 이어 ▲84㎡M 타입(9억3500만~10억2800만원) 1.77대 1 ▲84㎡A타입(9억5900만~10억8200만원) 1.99대 1 ▲84㎡C 타입(9억2200만~9억6500만원) 2대 1 ▲162㎡타입(20억6900만원) 2.5대 1 순으로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분양가가 8억4800만~8억9900만원에 책정된 84㎡G 타입과 84㎡I 타입은 각각 27.29대 1, 21.43대 1로 청약 경쟁이 치열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선 '분양가 9억원 허들'을 뛰어넘지 못한 결과라고 보고 있다. 분양가가 9억원이 넘으면 사실상 중도금 대출이 막혀, 자금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이 청약을 포기한 것으로 분석된다. 집단대출을 받으려면 입주할 아파트에 대한 보증이 필요하다. 통상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보증한다. 그러나 국토교통부가 지난 2016년 하반기부터 분양가가 9억원이 넘는 고가주택을 HUG 보증대상에서 제외하면서, 건설사의 분양가 책정 고심이 깊어졌다. 중도금 대출이 안 되면 분양가의 60~70%에 달하는 계약금·중도금을 현금으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자금 부담이 커진다. 특히 강북에선 '분양가 9억원'이 청약 흥행의 성패를 가르는 커트라인으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실제로 청량리역 한양수자인192 인근에서 이달 초 분양한 '청량리역 해링턴 플레이스'의 경우 평균 경쟁률은 31.08 대 1을 기록했다. 해링턴 플레이스는 전용 150㎡ 대형 평형(13억8500만원)만 제외하곤 전 타입의 분양가가 9억원 미만이었다. 이에 따라 최근 건설사들은 분양가가 9억원을 웃도는 가구에 대해 자사 보증을 서 중도금 대출을 지원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추세다. 그러나 자사보증 시 대출 이율이 조금 더 높아 예비 청약자들이 꺼리는 분위기다. 청량리역 한양수자인192도 9억원 초과 물량에 대해 자사보증을 통한 중도금대출을 약속했으나 예비 청약자들의 발길을 사로잡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공사 보증과 HUG 보증의 대출 이율은 크게 차이나진 않지만 대출 원금이 워낙 높기 때문에 가구별로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중견건설사의 경우 이율이 4%가 넘어가기도 한다. 수요자 입장에선 조금이라도 이율이 낮은 HUG 보증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요자들 사이에선 강북에서 분양가 10억원 아파트가 나오기엔 아직 시기상조라는 반응도 나온다. 대형 부동산 커뮤니티에 글을 남긴 한 수요자는 "아파트 중위 가격이 10억원이 넘는 강남도 아니고 강북에서 분양가 10억원에 달하는 건 거품이라고 본다"며 "건설사들도 수요자들이 분양가에 부담을 느낄 것이란 걸 예상하고 무순위청약을 시도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9-04-16 15:24:16 채신화 기자
LH, 올해 공사·용역 발주계획 확정…총 12조3000억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총 12조3000억원 규모의 공사·용역 발주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LH는 주거복지로드맵과 일자리 창출 등 정부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올해 토지사업에 2조8000억원(15.9㎢), 주택사업에 9조5000억원(7만5000가구) 규모의 공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월 발표한 잠정운영계획 규모인 10조1000억원에 비해 2조2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주거복지로드맵 등 주택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주택 1만8000가구 발주계획이 추가 확정되면서 주택사업 규모가 7조3000억원에서 9조5000억원으로 증가하게 됐다. 유형별로 공사부문에서 ▲종합심사 79건 7조1000억원 ▲적격심사 594건 3조8000억원, 용역부문에서 ▲적격심사 208건 1000억원 ▲설계공모 61건 1000억원을 발주할 계획이다. 공종별로 살펴보면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건축·토목공사가 각각 7조8000억원, 1조6000억원 규모로 전체 금액의 약 76%를 차지한다. 그 외 전기·통신공사 1조8000억원, 조경공사 6000억원 규모를 발주할 예정이다. LH 관계자는 "주거복지로드맵·일자리 창출 등 정부정책 이행에 차질 없도록 올해 발주계획 일정관리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국가 경제활력 제고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2019-04-16 13:45:39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올해 수도권 10개市 지하공간 통합지도 생긴다

올해 고양, 하남 등 수도권 10개 시(市)에서 지하철, 주차장 등 지하 공간정보가 담긴 통합지도가 구축된다. 국토 관측기의 위성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국토위성센터도 설립된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공간정보란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위치·경로·명칭 등을 말한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로 꼽히며 길 안내 서비스, 가상현실 게임 등의 분야에서 활용된다. 올해 국가공간정보사업은 약 3328억원 규모로 778개 사업이 추진된다. 중앙부처는 66개(총2161억원) 사업을 진행하며, 이중 국토부가 42개(약 1653억원)사업을 맡는다. 지자체는 712개 공간정보사업을 총 1167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경기도가 247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국토부는 먼저 지하시설물 등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수도권 10개 시를 대상으로 지하공간 정보 15종을 포함한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제작한다. 10개 시는 고양, 시흥, 광주, 오산, 의왕, 하남, 의정부, 파주, 구리, 군포 등이다. 오는 상반기까지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국토 관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전용위성 2기 발사도 준비한다. 오는 12월까지 위성 1호기 탑재체 시스템 총조립 및 본체와 탑재체 조립을 완료해 오는 2020년 발사할 예정이다. 2호기는 탑재체 시스템 및 구성품을 제작·검증해 2021년에 발사한다. 오는 10월엔 위성정보를 직접 수집·가공할 수 있는 '국토위성센터'도 설립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를 위해 올해 전국 고속도로 등 3340km의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한다. 오는 2030년까지 전국 도로 1만1000km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한 창업기업을 선정해 창업 공간·자금·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패키지 지원도 나선다. 올해 세종에 창업 공간을 짓고 3억원 규모의 창업 자금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손우준 국토정보정책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의 경제적 원천인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반"이라며 "이번 시행계획을 착실하게 추진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민의 생활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9-04-16 13:08:03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도시재생 특례보증' 이달 말 출시…영세사업자 0.3% 저리보증

국토교통부가 이달 말부터 담보나 신용이 부족한 영세사업자에게 낮은 보증료율을 제공하는 '도시재생 특례보증'을 시행한다. 16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날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주택도시기금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통과했다. 도시재생 특례보증이란 주택도시기금을 융자받을 때 융자금액 중 일부를 낮은 보증료율로 보증하는 상품이다. 이번 시행령 개정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에서 소규모 재생사업(코워킹 커뮤니티 시설 조성 등) 을 추진하는 청년창업자 등 영세사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기존 보증상품은 심사 등급에 따라 0.26~3.41%의 차등요율을 적용한다면 특례보증 상품은 0.3% 고정 보증료율을 적용한다. 도시재생 특례보증은 청년창업자,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에서 창업공간을 마련하거나 상가를 리모델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택도시기금을 융자하는 '수요자중심형 융자상품'을 이용할 때 적용받을 수 있다. 이 상품은 창업시설 조성, 상가 리모델링, 코워킹 커뮤니티 시설 조성, 공용주차장 조성, 임대상가 조성 등의 용도일 때 이용할 수 있다. 한도는 총 사업비의 70~80% 이내이며 지원 금리는 1.5%다. 심사기준은 사업 안정성, 사업 전망, 사업 적정성 항목 등이며, 보증료는 일반 보증상품의 평균 보증료율 0.92%에 비해 대폭 인하된 0.3% 보증료율을 적용받게 된다. 주택도시기금의 운용·관리기관인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오는 30일부터 관할 영업점을 통해 융자신청과 동시에 특례보증상품을 취급할 예정이다. 국토부 도시재생경제과 정승현 과장은 "도시재생 특례보증 도입으로 도시재생에 참여하는 청년 창업자, 사회적기업 등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 효과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로 도시재생이 보다 활성화되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04-16 12:43:16 채신화 기자
중소형만 대세? 희소성 높아진 중대형도 강세

-전체 공급량 대비 공급비율 10%대…가격 상승률·청약경쟁률 등 높아 최근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60~85㎡이하)에 가려졌던 중대형 아파트(전용 85㎡초과)가 분양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1~2인 가구 등 소규모 가구가 증가하면서 중소형 아파트 공급량이 늘어난 반면, 중대형 아파트의 공급량이 현저히 줄어들며 '희소 가치'가 높아진 영향이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중대형 아파트 공급량은 전체 41만5644가구 중 단 11.18%인 4만6486가구에 불과했다. 공급이 가장 많았던 평형대는 중소형으로 72.98%(30만3341가구)를 차지했으며, 이어 소형이 6만5814가구로 15.83%를 나타냈다. 그러나 가격상승률은 중대형 아파트가 더 높았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면적별 가격상승률은 중대형 아파트가 16.15%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평균 상승률인 15.46%를 웃도는 수치다. 반면, 소형과 중소형은 각각 14.87%, 15.25%로 평균을 밑돌았다. 중대형 물량이 희소해질수록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수도권 주택시장을 살펴보면 매년 중대형 아파트의 거래 비율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85㎡초과 아파트는 5만9103가구가 거래돼 전체 거래건수(229만5310가구) 중 20.01%를 기록했다. 중대형 아파트가 전체 거래의 20%를 넘어선 건 지난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이 비율은 2015년 17.9%, 2016년 18.7%, 2017년 18.74%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분양시장에서도 강세다. 올해 3월까지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 면적별 청약경쟁률을 분석해 본 결과 상위 10곳 중 8곳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였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거둔 단지는 '위례포레자이' 전용면적 108.81㎡로 무려 242.67대 1을 기록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매년 공급이 쏟아지는 중소형 아파트 대비 물량이 적은 중대형 아파트의 희소가치가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대부분 청약조정지역인 수도권의 경우 전용 85㎡ 초과 타입이 상대적으로 당첨확률이 높은 추첨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가점이 낮은 수요자들은 중대형 타입에 주목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2019-04-16 09:45:38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SK건설, 대전·부산서 재개발사업 2건 '마수걸이 수주'

SK건설은 대전 중앙1구역과 부산 부곡2구역 등 2개 사업장의 시공권을 따내며 올해 재개발사업 수주의 포문을 열었다고 16일 밝혔다. SK건설이 지난 13일 수주한 대전 중앙1구역 재개발사업은 대전시 동구 소제동 299-264번지 일대에 지하2층~지상28층, 6개 동, 618가구의 아파트 및 부대복리시설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오는 2021년 7월 착공 및 분양, 2024년 1월 입주예정이다. SK건설의 총 도급액은 1146억원이다. 중앙1구역은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내 재개발 사업지로, 대전역 일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의 한 축으로 주목받는 곳이다. 대전로와 중앙로를 통해 지역 내 빠른 이동이 가능하고, 대전역 동광장에 인접해 KTX와 SRT를 이용할 수 있다. 김수환 SK건설 도정영업2실장은 "대전역과 인접한 중앙1구역은 뛰어난 입지조건과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으로 향후 미래가치가 높은 곳"이라며 "SK건설의 특화설계와 우수한 시공능력을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아파트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수주한 부산 부곡2구역 재개발사업은 부산시 금정구 부곡동 279번지 일대에 지하4층~지상42층, 13개 동, 2348가구의 아파트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SK건설은 GS건설, 포스코건설과 컨소시엄을 통해 이 사업에 참여했으며, SK건설의 도급액은 1955억원 규모다.

2019-04-16 09:31:40 채신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