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동탄·위례 등 신도시 봄철 분양 활발…청약 수요↑

동탄·세종·위례 등 신도시에서 봄철 분양이 활발할 전망이다. 최근 주택 분양 물량이 쏟아진 가운데, 수요자들의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개발호재를 갖춘 데다 꾸준히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일수록 청약 수요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시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동탄의 인구는 30만6165명으로 전년 동기간 25만6520명 대비 4만9645명(19.35%) 증가했다. 인구 급증에 힘입어 인근에서 분양한 단지의 인기도 높았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유림E&C가 화성 동탄 업무복합단지에서 분양한 '동탄역 유림 노르웨이숲' 은 184.6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를 품은 세종도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세종시의 인구는 32만5342명으로 전년 동기간 29만2208명 대비 3만3134명(11.34%) 늘었다. 세종에서 가장 최근에 분양한 단지는 지난해 12월 한신공영㈜ 의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II' 로 72.63대 1의 청약 성적을 거뒀다. 위례신도시의 경우 행정구역상 하남에 속한 지역의 인구성장이 두드러졌다. 하남시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하남 위례동의 인구는 1만9300명으로 1년 전인 2018년 2월 인구 1만7375명 대비 1925명(11.07%) 증가했다. GS건설㈜ 이 지난 1월 이 지역에서 분양한 '위례 포레자이'는 130.33대 1의 청약경쟁률을 보였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주요 건설사들도 동탄 · 세종 · 위례 등지에서 신규 분양에 나서고 있다. 동탄에서는 삼정건설㈜이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967-777에 '동탄역 삼정그린코아 더베스트' 를 이달 중 분양한다. 아파트는 183가구, 오피스텔은 283실로 조성된다. 한신공영㈜과 ㈜금성백조주택은 세종 금남면 집현리 4-2생활권 P1구역 L1블록, L2블록에서 '세종 한신더휴 예미지(가칭·846가구)'를 오는 5월 중 공급한다. 우미건설㈜은 경기도 하남시 학암동 위례신도시 A3-4b블록에서 '위례신도시 우미린 1차'(875가구)를 이달 중 선보인다.

2019-04-10 14:46:57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제2의 제천·밀양 화재사고 막는다…건축자재 화재안전 강화

제2의 제천·밀양 화재사고를 막기 위해 건축자재의 화재안전성능이 강화된다. 국토교통부는 건축자재의 시험, 제조·유통 단계에서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건축자재 화재안전성능 고도화 방안 마련 전문가 자문단(TF)'을 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국토부는 제천·밀양 화재사고를 계기로 건축물 시공 단계에서의 건축물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화재에 취약한 건축물에 대한 화재안전성능보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자문단과 함께 건축물 시공 이전 단계인 건축자재 성능시험, 제조·유통 단계까지 중점 개선해 건축의 전 과정에 거친 건축물 화재 안전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 자문단은 ▲화재 관련 건축자재 품질 관리 강화 ▲실재 화재 환경과 유사한 시험 방식 도입 ▲건축자재 시험성적서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검토한다. 국토부는 건축자재 성능시험을 신청이 들어오면 공장설비 등 품질관리 능력을 함께 평가할 계획이다. 아울러 매년 제조 공장과 시공현장 등을 불시 점검해 불량 건축자재에 대한 감시망을 촘촘히 구축하는 '품질인정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다. 화재에 취약한 샌드위치 패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실제 화재 환경을 재현하고서 붕괴 여부 등을 시험하는 '실대형 화재시험' 방식을 개발해 샌드위치 패널에 대해 적용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시험성적서 위·변조를 건축물 시공자와 감리자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험성적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김상문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건축자재의 성능시험, 제조·유통 단계에 대한 관리방안을 도출하는 즉시 제조·유통업체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해 10월까지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9-04-10 13:42:32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세금 조금이라도 덜 내려면'…3월 신규 임대사업자 전월比 7.1%↑

연초 이후 줄곧 감소세를 보이던 신규 임대사업자 등록자 수가 3월 다시 반등했다. 오는 6월 1일 재산세 부과 기준일을 앞두고 조금이라도 세금을 감면받기 위한 주택 보유자들의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3월 한 달 동안 5474명이 임대사업자로 신규 등록해 전월(5111명) 대비 7.1%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까지 등록된 임대사업자는 총 42만4000명이다. 서울은 신규 등록한 임대사업자 수가 2008명으로 전월(1736명) 대비 15.7% 증가했다. 수도권 전체는 신규 등록자가 4198명으로 전월(3634명) 대비 15.5% 늘었다. 반면 지방에서 신규 등록한 임대사업자 수는 1276명으로 전월(1477명) 대비 13.6% 줄었다. 지난 2월 새로 등록한 임대사업자는 5111명으로 전월(6543명)대비 21.9% 감소해 1년 3개월 만에 월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부터 10년 임대 시 양도소득세 혜택이 줄어드는 등 일부 세제 혜택이 축소돼서다. 하지만 오는 6월 1일 재산세 부과 기준일을 앞두고 조금이라도 세금 감면 혜택을 보기 위해 다시 임대주택 등록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신규 등록된 임대주택 수는 1만1057채로 전월(1만693채) 대비 3.4% 증가했다. 현재까지 등록된 임대주택은 총 139만9000채다. 서울에서 지난달 신규 등록된 임대주택 수는 3839채로 전월(3401채) 대비 12.9% 늘었다. 수도권 전체는 7824채로 전월(7254채) 대비 7.9% 증가했고 지방은 3,233채로 전월(3439채) 대비 6% 감소했다.

2019-04-10 13:26:16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포스코건설, AI기술 적용·디자인차별화…'스마트컨스트럭션' 나선다

포스코건설이 스마트컨스트럭션(Smart Construction) 내재화를 통해 주거문화를 한 차워 높였다. 포스코건설은 최근 주택분야의 스마트기술 브랜드인 '아이큐텍(AiQ TECH)'을 론칭하고, 포스코그룹의 철강신제품인 '포스마블(PosMarble)'을 아파트 단지 공용부의 내장재로 적용해 디자인 차별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아이큐텍'은 인공지능 기술인 'Ai'와 지능지수인 IQ, 감성지수인 EQ의 'Q'가 더해져 '고객을 위해 스스로 학습하는 지능적이고 감성적인 스마트기술'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오랜 기간 고객의 니즈(Needs)와 기호를 파악·개발해 온 스마트기술을 ▲AiQ Convenience(편리) ▲AiQ Safety(안전) ▲AiQ Health(건강)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눠 '아이큐텍'에 담았다. AiQ Convenience는 음성과 카카오톡을 통한 조명, 난방, 환기와 같은 홈 컨트롤과 승강기 호출 기능 그리고 고객의 생활패턴을 반영해 외출시간대의 교통상황을 알려 주는 편리기술이다. AiQ Safety는 단지 내 CCTV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우리아이 안심 지킴이'기능과 승강기의 이상현상을 자동 감지해 경비실에 상황을 전송하는 안전기술이다. AiQ Health는 세대 내 미세먼지 등 공기질 환경을 분석해 그 농도에 따라 청정환기 시스템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건강기술이다. '아이큐텍'의 편리ㆍ안전ㆍ건강기술 등 뉴(New) 스마트기술들은 이달 분양하는 '남양주 더샵 퍼스트시티'에 처음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게 포스코그룹의 고급 철강재를 주요 내외장재에 적용해 디자인 차별화도 추진한다. 포스코건설은 그동안 포스코가 개발한 고급 철강재인 포스맥(PosMAC)에 세계적인 디자이너 알렉산드로 멘디니와 공동 개발한 '멘디니 패턴'을 프린팅 해 아파트 단지 외장마감재로 적용해 왔다. 여기에 포스코그룹이 최근 신제품으로 내 놓은 '포스마블(PosMarble)'을 아파트 부대시설 내장마감재로 도입해 한층 업그레이드 된 디자인을 새롭게 선보일 계획이다. 포스마블은 포스맥에 일반 프린트 보다 해상도가 월등한 잉크젯 마블 프린팅을 적용해 실제 고급 천연석이나 외국산 고급 타일, 인조대리석 등과 동일한 패턴과 질감 구현이 가능하다. 이는 오는 7월 입주 예정인 '서동탄역 더샵 파크시티' 부대복리시설인 '샤피스퀘어'의 로비 및 공용화장실에 처음 선보인다.

2019-04-10 10:59:19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삼한사미' 걱정 그만…실내외 공기질 정화 나선 오피스텔

건설사들이 '삼한사미'(3일은 춥고 4일은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다는 뜻의 신조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실내외 공기질 정화 수준을 높인 오피스텔을 내놓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건설사들은 주거 쾌적성이 뛰어난 입지에 오피스텔을 짓거나 미세먼지 관련 특화 시스템, 공기질 센서를 적용해 실내외 공기질 정화에 나섰다. 대우산업개발이 시공해 현재 분양 중인 '이안 테라디움 광안'은 실내 공기 상태에 맞게 자동으로 환기시스템을 제어해주는 실내공기질 센서를 적용했다. 이 센서는 일정 수치 이상 오염시엔 알람을 울려 쾌적한 주거생활을 누릴 수 있게 돕는다. 호반건설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분양 중인 '호반써밋 송도'에는 단지 내 IoT(사물인터넷) 공기질 측정기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물론 온도, 습도, 소음 등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측정값은 스마트폰 앱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화건설이 이달 분양하는 '수지 동천 꿈에그린'은 단지 뒤쪽으로 광교산 자락이 이어지는 숲세권에 위치한다. 또 손곡어린이공원, 동천체육공원, 수지체육공원 등 다양한 녹지시설이 인근에 마련돼 도심 속에서도 쾌적한 주거 생활을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새천년종합건설이 이달 공급하는 '천년가 골든뷰'는 금촌역 일대에서 희소한 녹지공간인 학령산 산림공원 바로 앞에 위치한 숲세권 입지에 속해 있다. 이처럼 입지가 쾌적하거나 공기질 정화 수준을 높인 오피스텔을 청약 수요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포스코건설이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일대에서 공급한 '분당 더샵 파크리버' 오피스텔은 불곡산, 정자공원, 탄천 등 녹지공간이 자리한 숲세권 입지라는 점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평균 56.8대 1의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호반건설이 짓는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의 '더 라움 펜트하우스'는 자동청정환기시스템과 실내 초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인 퍼펙트 에어 솔루션(Perfect air solution)을 적용해 미세먼지 차단과 공기정화에 힘썼다. 이 단지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원하는 수요자를 끌어 모으며 청약을 마감했다.

2019-04-10 10:59:10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4~5월 강남·강남권 택지지구서 8300여 가구 분양

-강남3구서 3009가구 일반분양…"강남권 청약결과가 부동산시장 영향 미칠듯" 올 봄(4~6월) 강남과 강남 주변 택지지구에서 아파트 분양이 쏟아진다. 10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 2분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강남권에서 총 8385가구가 분양된다. 강남3구에서 10개 단지 총 7502가구 중 3009가구가 일반분양된다. 강남권으로 분류되는 성남 고등지구와 과천지식정보타운, 하남 감일지구 등의 택지지구에서도 5376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된다. 업계에선 대출 규제 등으로 기존 아파트 특히 강남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줄고, 하락 폭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분양물량이 많아 청약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강남 주요지역 아파트의 청약결과에 따라서 올해 아파트시장과 분양시장의 흐름을 판가름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남 아파트 값은 지난해 9.13대책 후 소강상태다. 올해 들어서도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평균 0.53% 하락했다. 분기 기준으로 2013년 1분기(-0.83%) 이후 최저치다.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는 1.18% 하락하며 평균치를 크게 밑돌았다. 그러나 분양 시장의 열기는 여전히 뜨거운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분양한 서초구 반포동 '디에이치 라클라스'는 210가구 모집에 1순위 통장 5028건이 접수돼 23.94대 1로 청약을 마쳤다. 이에 앞서 11월에 나온 서초동 '래미안 리더스원'은 41.69대 1의 경쟁률로 마감했다. 올해 들어서도 1분기 강남 유일한 분양 아파트이었던 강남구 역삼동 '시티프라디움 더 강남'도 1순위 평균 5.21대 1로 전 주택형 청약을 끝냈다. 강남 일대 아파트 공급이 적다 보니 인근 지역인 광진구 자양동 '호반써밋 자양', 자양동 '테라팰리스 건대2차' 등도 1순위 청약마감했다. 올 초 GS건설이 위례신도시에서 분양한 '위례포레자이'가 1순위 평균 13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 4일 청약접수를 받은 위례신도시 '힐스테이트 북위례'는 1순위 939가구 모집에 7만2570명이 신청했다. 올 들어 최다 청약통장이 몰렸는데 평균 경쟁률은 77.28대 1, 최고경쟁률은 126대 1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팀장은 "지난해 말부터 강남을 중심으로 줄곧 아파트 값이 떨어지고 있지만 '대세 하락기'로 접어들었다라고 보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라며 "최근 강남과 주변 아파트 분양시장에 청약자가 몰린다는 건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높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올 봄 강남 주요지역과 인근 성남 고등지구, 하남 감일지구 등의 청약결과가 올해 전반적인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 예의 주시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올 2분기 강남에서는 '방배그랑자이', '래미안 라클래시', '서초그랑자이', '디에이치 포레센트' 등이 공급된다. 강남 인근 지역에서는 '성남고등자이', '위례 리슈빌 퍼스트클래스', '감일 에코앤 e편한세상', '과천제이드자이' 등이 분양에 나선다.

2019-04-10 10:59:05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4~5월 분양시즌...7만2700가구 랜드마크단지 주목

분양 시즌을 맞아 아파트 분양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10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오는 5월까지 전국에서 7만2700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지난해 동기(4만7928가구) 대비 51.7% 증가한 물량이다. 4~5월 분양이 크게 늘어난 이유는 올 초 분양을 미룬 업체들이 많아서다. 9·13대책 이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 보증승인 등이 어려워졌다. 미뤄왔던 분양 물량이 쏟아지면서 분양 성수기가 열렸다. 지역을 대표할 만한 분양단지들로 부산에서는 삼성물산이 부산진구 연지동에 '래미안 연지2구역'에서 2616가구 중 51~126㎡ 1360가구를 5월 공급한다. 중소형에서 테라스하우스까지 다양하다. 부산진구는 지역 경제의 중심인데다 일대에 대규모 정비사업이 예정돼 있어 대규모 브랜드 아파트 타운으로 탈바꿈 중이다. 부산진구는 조정대상지역에서 제외돼 대출 규제와 청약 1순위 자격 요건이 완화된 점도 특징이다. 대구에서는 포스코건설이 중구 대봉동에 '대봉 더샵 센트럴 파크' 1339가구, 동구 신천동 동대구역 인근에 442가구 규모의 주상복합 아파트를 각각 4·5월 분양한다. 전북에서는 태영건설이 에코시티 14블록에 짓는 '전주 에코시티 데시앙 14블록' 75~125㎡, 878가구를 분양한다. 에코시티 내 상업시설과 CGV(예정), 롯데마트, 농수산물시장, 전북대학교 병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울에서는 GS건설이 이달 서초구 방배동 경남아파트를 재건축해 '방배그랑자이' 758가구 중 59~84㎡ 25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우면산과 매봉재산이 단지를 둘러싸고 있는 '숲세권' 단지로 4베이(BAY) 설계가 도입된다. 강북권에선 동대문구 청량리역 일대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한양이 동대문구 용두동에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192' 1152가구 중 84~162㎡ 1120가구를 일반분양 중이다.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 등이 지나는 청량리역 역세권이다. [!{IMG::20190410000045.jpg::C::540::}!]

2019-04-10 10:30:06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LH, 올 상반기 300명 신규 채용…15~19일 지원서접수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415명의 신입직원을 채용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신입직원 300명(5급 270명, 6급 30명)을 채용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채용은 '주거복지로드맵'과 '도시재생 뉴딜' 등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를 완수하는데 필요한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충원·육성하기 위해 진행된다. 채용일정은 이달 10일 모집공고를 시작으로 15~19일 입사지원서 접수, 5월 12일 필기시험, 5~6월 중 1·2차 면접, 6월 중순 최종합격자 발표 후 채용형 인턴으로 임용 예정이다. 5급 공채의 경우 사무직은 일반행정·지적·전산·문화재 분야, 기술직은 토목·도시계획·조경·환경·교통·건축·기계·전기·화공 분야에서 채용한다. 6급(고졸)공채는 일반사무·토목·조경·건축·기계·전기 분야를 모집한다. LH는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에 따라 채용 전 과정에서 일체의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직무역량을 중심으로 인재를 선발한다. 블라인드 채용을 위반한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지원자들은 입사지원서 작성 시 학교나 출신지역 등을 특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박상우 LH 사장은 "LH는 최근 2년간 신입직원 1000여 명 채용과 비정규직 3000여 명의 정규직 전환을 비롯해 일자리 종합계획 굿잡플랜(Good Job Plan) 시즌1, 2를 추진하면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적극 지원해 왔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해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공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2019-04-10 09:52:29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소형아파트가 대세…광주 중위가격 반년만에 28% 상승

광주 소형 아파트 중위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6개월 만에 5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부산 소형 아파트 가격을 뒤쫓고 있다. 10일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현황을 분석한 결과, 광주 소형 아파트 매매 중위가격은 올해 3월 9648만원으로 지난해 9월(7500만원) 대비 28% 상승했다. 이는 5대 광역시 평균(6.74%)에 4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대전 소형 아파트 중위가격은 7327만원에서 7600만원으로 4.55% 상승했고, 울산도 7824만원에서 8102만원으로 3.56% 상승했다. 이처럼 소형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주택 다운사이징 현상과 1~2인 가구 증가로 주택시장에서 유망한 투자처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라고 경제만랩은 설명했다. 특히 적은 자본으로 임대수익뿐만 아니라 시세차익까지 얻으려는 투자수요까지 더해지면서 소형 아파트의 몸값도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광주의 경우 소형 아파트 미분양 물량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의 미분양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2월 광주의 전용 60㎡ 이하의 미분양 물량은 145가구 수준이었으나, 올해 2월에는 14가구로 전년 대비 90%나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대구 소형아파트 중위가격은 지난해 9월 9511만원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9235만원으로 오히려 2.90% 하락했다. 부산도 0.14% 하락한 1억499만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광주 부동산의 경우 부동산 규제를 비껴간데다 재건축·재개발의 정비사업 등이 풍부한 상황"이라며 "하지만 단기간 가격 급등의 피로감과 거래 절벽 등으로 가격 조정기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2019-04-10 09:49:49 채신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