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창조경제박람회' 참가…"스마트 농어촌 만나세요"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 SK텔레콤과 대전·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26일부터 4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15 창조경제박람회'에서 농어촌 생산 · 유통 혁신을 불러일으킬 다양한 서비스 등을 선보인다. 창조경제박람회는 미래창조과학부 등 15개 정부부처가 함께 주최하는 행사로, 지난 2년간 정부와 민간의 창조경제 성과를 집대성하는 박람회다. 올해는 지난 2년간 창조농업, 스마트공장 등 분야에서 창조경제 생태계가 이룬 성과와 사례들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행사가 마련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6월 30일 농업과 과학기술이 만나 새로운 혁신을 이루는 '스마트 농업의 메카'를 비전으로 출범했으며, 농업에 ICT를 접목한 ▲'창조마을'의 고도화, 농촌과 도시가 함께 잘사는 ▲'도농상생' 실현, 대덕연구단지와 협업을 통한 ▲'스마트 농업벤처' 육성 등을 중점 추진 중이다. 이번 전시에서 SK텔레콤은 단독 부스 운영을 통해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에 적용 중인 혁신적인 생산 고도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 영농인 정보제공 서비스 '新농사직설'·스마트팜 등 7개 서비스 선봬 SK텔레콤은 이번 전시에서 영농인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新농사직설' 서비스를 최초로 선보인다. 新농사직설은 농림축산식품부와의 협업을 통해 관련 산하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농업관련 정보를 활용해, 작물의 경작계획·생산·판매 등 전 과정에 대해 맞춤형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예를 들어 방울 토마토를 재배하고 싶은 초보 영농인이 작물을 선정하는 단계에서부터 방울 토마토가 적합한 작물인지 알려주고, 나아가 시설물 견적·생육 상태·작목시세·직거래 홍보 채널 등 최종 소비자가 상품을 받아보는 시점까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식이다. 新농사직설은 2016년 말까지 시범서비스 형태로 개발될 예정으로, 향후 스마트팜 현장 적용을 통한 검증 후에 상용화 될 예정이라고 SK텔레콤 측은 밝혔다. SK텔레콤은 세종, 부산, 부여, 평창 등 전국 약 500여 개 농가에 적용 중인 '스마트팜' 솔루션을 비롯해, 해당 솔루션에서 응용, 타 산업 분야에 특화 개발된 '스마트축산'·'스마트양식'·'스마트포레스트' 등도 선보일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의 지중저수열뿐만 아니라 미활용 에너지원이던 해수·오폐수 등을 함께 활용해 냉·온수를 생성해낼 수 있는 '다중열원 제어시스템'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 입주기업 등 5개 업체 혁신 사례 선봬 이번 창조경제박람회에는 SK그룹이 지원하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 업체와 SK텔레콤의 벤처지원 프로그램인 '브라보! 리스타트3기' 선정 업체들도 참여한다. '창조경제플랫폼' 부스에는 ▲자동차나 반도체 부품 등의 하자를 정교하게 걸러내는 산업용 3D스캐너 개발 업체 '씨메스', ▲반려동물과 놀아주고 활동량을 기록해주는 스마트 펫 토이 개발 업체 '패밀리', ▲시선만으로 콘텐츠를 입력·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 업체 '비주얼캠프' 등이 참여해 개발 성과를 공개하고, 국내외 투자자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씨메스는 독일 자동차 부품회사 '콘티넨탈'에 산업용 3D 스캐너 1억 원어치를 수출한 바 있으며, 비주얼캠프는 최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SK텔레콤, 중국의 국영 통신업체인 차이나유니콤이 양국 벤처기업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투자설명회에 참가하는 등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창조경제박람회 관람은 26일 낮 12시부터 가능하며, 입장은 무료이다. [!{IMG::20151126000081.jpg::C::480::SK텔레콤과 대전·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26일부터 4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15 창조경제박람회'에서 농어촌 생산 · 유통 혁신을 불러일으킬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인다. 전시 진행요원들이 경작 환경을 스마트폰으로 원격 관리하는 솔루션 '스마트팜'을 소개하고 있다. /SK텔레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