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Global Korea]Samsung, Is it true that the foldable Galax S7 is going to be released?

[Global Korea]Samsung, Is it true that the foldable Galax S7 is going to be released? It is expected that Galaxy S7, the next generation phone, is going to be released in February next year, earlier than expected, and many guesses are being made about it.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markets on the 8th, the flagship model Galax S7 is going to be released in February next year. The Samsung's mass media such as Sam-Mobile and Phone-Arena foresaw that the Galax S7 is to be out on the market next January. They also insisted that the Galax S7 will be the world's first foldable smart phone. The Samsung electronics has shown one of the newest flagship models, Galax S, in the MWC which is the biggest mobile phone exhibition that is held every February, and they draw a lot of attentions from the world's mobile markets. The actual sale of the product was initiated at the end of April. But the release of the Galaxy S7 is going to be 2 months faster. This is to increase the sales of the premium phones against the Apple's iphone 6. In the past, Samsung released the Galaxy note 5 in the last August which was a month faster than the previous year. And it was evaluated so much better because the faster release got the attention of the market before the iphone which was released in October./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삼성, 접히는 스마트폰 갤S7 출시설의 진실은? 삼성전자의 차기 스마트폰 '갤럭시 S7'이 내년 2월 조기 출격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제품에 대한 다양한 추측들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8일 휴대폰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차기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S7'을 내년 2월 출시할 것이라는 설이 또다시 제기됐다. 앞서 해외 삼성 정보기술(IT) 전문매체 '샘모바일'과 '폰아레나' 등은 갤럭시 S7이 내년 1월에 출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갤럭시 S7이 세계 최초의 접히는 스마트폰이 될 것이라는 추측까지 제기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매년 2월 열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월드모바일콩그레스(MWC)' 사전행사에서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S' 신제품을 공개하며 세계 이동통신 업계의 관심을 집중시킨 바 있다. 이후 제품의 출시는 통상 4월 말에 이뤄졌다. 그러나 갤럭시S7부터는 출시를 2개월 가량 앞당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최근 출시된 애플의 아이폰6S에 대응해 프리미엄폰 판매를 늘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앞서 '갤럭시노트5'도 예년보다 1개월 빠른 지난 8월에 출시, 10월에 출시된 애플 아이폰6S에 대응해 상당한 시장 선점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았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1109000105.jpg::C::480::}!]

2015-11-09 16:22:18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한미약품, 비만·당뇨 신약 美얀센에 1조원 규모 기술수출

한미약품, 비만·당뇨 신약 美얀센에 1조원 규모 기술수출 [메트로신문 유선준 기자] 한미약품이 5조원대 기술수출 계약(라이선스 아웃)으로 국내 제약업계 사상 최대 계약 수출 기록을 수립한 데 이어 또다시 1조원 규모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한미약품은 자체 개발 중인 옥신토모듈린 기반의 당뇨 및 비만 치료 바이오신약 'HM12525A'(LAPSGLP/GCG)를 미국 제약회사 얀센에 총액 9억1500만달러(약 1조원)에 수출했다고 9일 공시했다. 계약금이 1억500만달러(약 1160억원)에 이르고 임상 개발, 허가, 상업화 등 단계별로 별도로 총액 8억1000만달러(약 9300억원)를 받을 예정이다. 제품 출시 이후에는 두자릿수 퍼센트의 판매 로열티도 받는다. 얀센은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HM12525A에 대한 개발·상업화 등의 독점 권리를 한미약품으로부터 확보했다. 앞서 한미약품은 지난 5일 프랑스 제약사 사노피에 당뇨 치료제 포트폴리오 '퀀텀 프로젝트' 기술을 5조원 규모에 수출했다. 이 수출 계약이 이뤄진 지 나흘 만에 또다시 1조원이 넘는 초대형 수출 계약을 성사시킨 것이다. 한미약품은 올해 대형 수출 계약 소식을 연이어 전하고 있다. 3월에는 항암 신약 '포지오티닙'을 수출했고(스펙트럼·금액 미공개), 같은 달 면역질환 치료제 'HM71224'를 총액 7800억원(일라이릴리)에, 7월에는 내성표적 항암신약 'HM61713'을 8500억원(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 수출한 바 있다. 이번에 얀센과 수출 계약을 맺은 'HM12525A'는 인슐린을 분비하고 식욕 억제에 도움을 주는 GLP-1과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을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이중 작용 치료제다. 반감기를 늘려 약효를 오래가게 해주는 한미약품의 기술 '랩스커버리'를 적용, 1주일에 1번만의 투약으로도 당뇨·비만을 치료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고 한미약품은 설명했다. 이관순 한미약품 대표는 "임상개발부터 마케팅까지 축적된 노하우를 보유한 얀센과 협력해 HM12525A가 당뇨와 비만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5-11-09 16:19:37 유선준 기자
기사사진
평창의 진미 '올림픽 특선메뉴 10선'

평창의 진미 '올림픽 특선메뉴 10선' 에드워드 권 개발…10일 최종 시연회 9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는 평창군(군수 심재국)과 함께 평창동계올림픽을 기념해 만든 '올림픽 특선메뉴 10선'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평창 지역의 특산물을 식재료로 사용한 '특선메뉴 10선'은 메밀파스타, 메밀가스, 비빔밥, 황태칼국수, 송어덮밥, 송어만두, 한우불고기, 사과토르티야, 굴리미, 천혜향디저트다. 강원도 영월 태생의 유명 요리사 에드워드 권(㈜이케이푸드 대표)이 지난 9월부터 개발에 참여한 결과다. 지난달 15일 1차 시연회를 하고 평창요식업체 등 음식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개발한 '특선메뉴 10선' 최종 보고회는 10일 앤스페이스(&SPACE, 서울 소재)에서 열린다. '특선메뉴 10선'은 지역음식업체를 대상으로 현장교육을 통해 우선적으로 보급되고, 사후관리를 통해 지역의 대표음식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 대관령 눈꽃축제(2016년 1월), 평창송어축제(2015년 12월) 등 강원 지역 대표축제에서 '특선메뉴 10선' 음식축제를 개최해 국내·외 관광객들에도 소개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특선메뉴 10선' 개발을 계기로 강원도와 협력해서 올림픽 개최지인 강릉, 정선 지역의 특선메뉴 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015-11-09 15:03:11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국회 예결위 재가동…누리과정·주택임대차 보호법 놓고 신경전

쟁점 예산 놓고 대치…10일 본회의 개최 불투명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으로 개점휴업을 거듭한 정기국회가 정상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전체회의와 기획재정위 경제재정소위 등 상임위 및 특위별로 전체회의나 소위원회를 열어 소관 예산안과 법률안에 대한 심의를 재개했다. 이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도 당초 지난 3일 예정됐다가 연기된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어 도덕성과 업무 능력을 검증했다. 아울러 윤리위원회는 지난 대통령선거 결과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상정, 심의에 돌입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확정고시된 지난 3일 이후 국회가 진통 끝에 본연의 기능을 하기 시작했지만 여야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어 국회 정상화가 이날로 그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당장 오는 10일 예정된 국회 본회의 의사일정도 여야가 합의를 보지 못한채 공회전 중이다. 지난 8일 오후 여야가 일정 합의를 위한 회동을 가졌지만 이견만 확인한채 합의는 성사되지 못했다. 누리과정 등 쟁점 예산을 두고 여야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누리과정 예산을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전·월세 상한제, 계약 갱신 청구권을 골자로 한 주택임대차 보호법 통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은 이를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기간 연장과 김태현 중앙선거관리위원 선출안 등과 함께 쟁점이 없는 법안들을 처리할 계획이었다. 이처럼 여야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나흘 앞으로 다가온 총선 선거구 획정안 확정이 법에서 정한 국회 처리 시한을 넘길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오후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를 불러 선거구 획정을 위한 타협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하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지난달 말 발족하기로 했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를 위한 여·야·정 협의체 구성과 노동개혁 관련법,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의 처리 등이 지연되고 있어 애가 타는 상황이다. 모처럼 여야 원내 지도부가 국회에 얼굴을 드러냈지만 각종 현안을 놓고 이견을 보이며 신경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원내대표 협상이 야당 측의 퇴장으로 결렬된 점을 언급한 뒤 "협상 도중 자리를 박차고 나간 것은 민생을 박차고 나간 것"이라며 "반(反)민생이란 여론의 질타를 모면하기 위한 무늬만 국회 정상화로 생색만 내려는 게 아니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원내대표 회동에 대해 "청와대 '어젠다 경호'에만 급급한 모습에 거대한 불통의 벽을 다시 확인했다"면서 "전·월세 대책을 위한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 도입과 누리 과정에 대한 국가재정 지원 명문화 등 시급한 민생 현안 두 가지만 요구했지만, 새누리당이 완강한 입장을 보여 결렬된 것"이라고 탓했다.

2015-11-09 14:30:55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낙후된 국내 IT 인프라, 선진국형 추진한다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국내 안전한 고집적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장 창출을 주도하기 위해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자와 서버 벤더(중간유통상) 업체들이 함께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고집적 IT인프라 협의회'가 지난 4일 경기도 안양시 LG유플러스 평촌 메가센터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협의회는 LG유플러스, 한국휴렛팩커드, 인텔코리아, 한국후지쯔, 슈퍼마이크로, 한국화웨이 등 서버 업체들이 주축이 돼 결성했다. 초대 회장으로 LG유플러스의 구성현 데이터사업 담당을 선출했고, 부회장으로는 강성익 한국휴렛팩커드 상무를 선임했다. 구 회장은 "협의회 창립을 계기로 고집적 IT 인프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세미나를 열고, 고집적 전환 사례 연구와 기술 협력 등을 전개해 낙후된 국내 IT 인프라 고도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모바일과 빅데이터, 클라우드의 발전 등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환경이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방대한 데이터 처리, 전력과 한정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고집적 IT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고집적 IT 인프라는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전 세계 고집적 서버 시장은 2014년 58억 달러 규모에서 올해 87억 달러까지 약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내에서는 전체 서버 시장에서 고집적 제품 비중이 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5-11-09 14:00:01 정문경 기자
기사사진
SKT,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브라보! 리스타트' 3기 성과 공유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세계 최초의 점자 스마트워치부터 휴대용 디제잉기기까지 SK텔레콤의 지원을 받은 스타트업들이 제품을 속속 상용화하고, 해외 진출과 투자 유치가 가시화되는 등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SK텔레콤은 9일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T-타워에서 자사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브라보! 리스타트' 3기에 참여한 11개 업체의 지난 1년간 보육 성과를 공개하고,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성과발표회(데모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스타트업 11개 업체와 이석준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 캡스톤파트너스 등 국내 주요 벤처캐피털 관계자, SK텔레콤 사업부서 담당자 등 300여명이 자리를 함께해 창업팀의 사업화 가능성을 평가했다. 우선 지난달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맹(ITU) 텔레콤 월드 2015'에서 최우수 기업가상을 받기도 한 dot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스마트워치 시제품(프로토타입)을 선보였다. 기존 시각장애인용 점역기에 비해 작고, 가볍고, 멋스러워진 이 제품은 내년 상반기 중 상용화될 전망이다. 비쥬얼캠프는 시선추적형 특수 안경을 쓰고 안구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시선추적형 솔루션을 개발해 처음으로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브라보! 리스타트' 3기는 지난 1년간 42억원에 달하는 투자유치금을 유치한 것에서 드러나듯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대표적인 벤처창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3기 스타트업 가운데 JD사운드는 휴대용 디제잉 기기를 들고 미국 등 10여개 나라에 진출하고, 비주얼캠프는 이스라엘에 기반을 둔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코이스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등 해외에서의 가능성도 인정받았다. 아울러 뉴스젤리, 반디통신, SNI스퀘어, 비주얼캠프 등 4개 회사는 SK텔레콤과 공동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벤처기업의 가장 큰 애로인 마케팅과 유통·판로 개척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5-11-09 13:28:55 정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