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국감] 용산 뉴스테이 84㎡ 월세 최고 186만원

[메트로신문 박상길기자]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의 월세로 84㎡ 기준 최대 186만원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희국 의원이 한국감정원(원장 서종대)로부터 제출받은 '뉴스테이 임대료 산정 보고서(1∼3차)'를 보면 서울시 용산구 '뉴스테이 예정지구'의 84㎡ 주택 임대료는 보증금 7000만원, 월세 186만원으로 제시됐다. 용산구는 종전부동산인 국립전파연구원 부지가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될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이다. 김 의원은 "용산 뉴스테이 84㎡의 임대료 산정 근거가 된 주변 월세가 '브라운스톤 용산'은 171만원, '용산 e편한세상'은 202만원"이라며 "시세에 따라서 뉴스테이 월세가 200만원까지 이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용산 뉴스테이 59㎡의 임대료는 보증금 5000만원에 월세 144만원으로 제시됐다. 감정원은 '뉴스테이 예정지구'의 반경 1㎞ 이내에 있는 준공된 지 5년이 안 된 주택의 임대료 평균을 기준으로 이런 임대료를 산정했다. 서울시 영등포구의 '뉴스테이 예정지구'에 지어지는 84㎡ 주택에는 임대료 1억원, 월세 119만원이 제시됐다. 59㎡는 보증금 5000만원, 월세 111만원이 산정됐다. 반경 2㎞ 안쪽에 있는 준공 10년내 주택의 임대료 평균이 기준이다. 이외에도 감정원은 위례·화성동탄·김포한강신도시에 지어질 뉴스테이 84㎡의 임대료로 보증금은 3000만원∼1억원, 월세는 77만원∼94만원을 제시했다. 김희국 의원은 "국토부는 뉴스테이를 서민·중산층 대상 주택정책이라고 홍보하나 임대료를 보면 수긍이 어렵다"며 "일반 근로자 평균 월급이 264만원인데 최고 186만원의 임대료를 부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2015-09-11 10:02:14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택지지구 오피스텔 수익률 기준금리 4배

2017년까지 추가 택지지구지정 안해…희소성 높아 일부 단지 1천만원 이상 프리미엄 형성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1.5%를 지속하면서 오피스텔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대규모 택지지구 지정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기존 택지지구 내 오피스텔이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10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8월 기준 서울과 경기, 인천의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각각 5.49%, 5.99%, 6.98%다. 이는 현재 기준금리(1.5%)보다 4배가량 높은 수익률이다. 이중에서도 희소성이 높은 택지지구 오피스텔의 경우 수요가 높다. 지난 2월 분양한 '힐스테이트 광교' 오피스텔은 172실 모집에 7만2639건이 접수돼 오피스텔 사상 최고인 422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7월 분양한 '광교 아이파크'는 216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위례 역시 지난해 말 공급된 '위례 오벨리스크'가 평균 56.3대 1을 기록했고, 부천옥길지구에서는 '부천 옥길자이' 오피스텔이 계약 4일만에 완판됐다. 택지지구 오피스텔 분양권에는 웃돈도 붙었다. 지난해 광교에서 분양된 '광교센트럴 푸르지오시티'의 전용면적 31㎡는 1000만원의 프리미엄 붙어 거래되고 있다. 위례에 공급된'위례 효성해링턴 타워' 24㎡도 1000만원 웃돈이 붙었다. 올 하반기에도 택지지구 내 막바지 오피스텔 물량이 대거 쏟아질 전망이다. 신영은 이달에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 업무개발 3지구에 '광교 지웰홈스'를 공급한다. 이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59~84㎡ 196실 규모다. 인근에 위치한 광교테크노밸리로 통근이 수월하다. 도보거리에 새빛초교를 비롯해 상현중, 상현고가 위치해 있다. 같은 달 동아토건은 강릉 유천지구 C6-4블록에 '강릉 유천 올림피아'를 공급한다. 단지는 전용면적 20~39㎡ 총 274실 규모다. 강릉 IC가 약 10분대에 진입 가능하며, 오는 2017년에는 KTX강릉역도 들어선다. 강릉시청이 가깝고, 롯데주류 강릉공장 등의 업무지도 인근에 위치해 있다. 효성은 오는 10월 경기 하남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 2블록에 '미사역 효성해링턴 타워 The First'를 분양할 예정이다. 미사강변도시에 최초로 공급되는 이 오피스텔은 지하 6층~지상 29층, 전용면적 20~84㎡ 1420실로 구성됐다. 강동첨단산업단지, 유니온스퀘어(2016년 예정), 엔지니어링복합단지(2017년 완공예정)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임대 수요가 풍부하다. 2018년 개통 예정인 5호선 미사역이 도보 5분 거리에 들어선다. 올림픽대로와 서울춘천간고속도로, 외곽순환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도 인접해 있다. 선동IC와 미사IC, 강일IC를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한강과 수변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우미건설은 오는 11월 경기 화성 동탄2신도시 C17블록에 '동탄린스트라우스2차'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총 332실로 구성된다. 태봉산이 단지와 맞붙어 있고, 왕배산도 가깝다. 자연친화적 환경에서 쾌적한 주거 생활을 누릴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택지지구 오피스텔의 경우 도로와 학교, 편의시설 등 체계적으로 개발되는 인근의 인프라를 누릴 수 있고 대부분 업무·산업단지와도 가까워 공실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수익률이 높다"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9월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대책에 따라 2017년까지 택지지구 지정을 미룬 만큼 희소성도 높아져 당분간 택지지구내 오피스텔의 수요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2015-09-10 16:52:27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롯데건설 '창원 롯데캐슬 더 퍼스트' 1순위 청약에 3만명 이상 접수…전주택형 마감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롯데건설이 경남 창원에 공급하는 '창원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1순위 청약에서 평균 73.96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전 주택형이 마감됐다. 10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이 단지는 지난 9일 실시한 1순위 청약에서 총 467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3만4537명이 몰렸다. 창원시에서 1순위 청약자가 3만명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용면적 100㎡의 경우 4가구 모집에 599명이 청약 신청해 최고경쟁률인 149.75대 1을 기록했다. 84㎡B는 244가구 모집에 1만7998명이 청약해 73.7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84㎡A(66대 1)과 59㎡(109.68) 등 총 4개 주택형이 모두 1순위 당해지역에서 마감됐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11개동, 전용면적 59~100㎡ 총 1184가구 규모다. 마산삼성병원, 사화협동화단지가 가깝고 차로 마산자유무역지역까지 10분, LG전자 창원공장과 STX중공업이 있는 창원국가산업단지까지 20분내에 이동할 수 있다. 분양 관계자는 "대형 브랜드 아파트 공급 가뭄에 시달려 오고 있던 창원시 내 첫 롯데캐슬 브랜드 아파트인 만큼 대기수요자가 많아 분양 전부터 문의가 끊이지 않았다"며 "마산시 상권과 창원시 상권을 모두 아우르는 핵심입지와 대단지 커뮤니티, 자사의 차별화된 설계와 조경이 호평을 받아 많은 수요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첨자 발표는 오는 16일이며, 계약은 21~23일이다. 견본주택은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 71-8번지에 마련됐다.

2015-09-10 16:49:41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금호' 청약경쟁률 18대 1…1순위에 전주택형 마감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현대건설이 서울 성동구 금호 20구역을 재개발하는 '힐스테이트 금호'가 최고 81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에 전 주택형이 마감됐다. 10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이 단지는 지난 9일 진행된 1순위 청약접수 결과 68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227명이 몰렸다.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84㎡C 타입의 경우 7가구 공급에 568명이 접수했다. 이 밖에 84㎡D타입은 37.0대 1의 경쟁률(5가구 공급, 185명 청약)을 기록했다. 114㎡A·B타입의 경우 각각 7.07대1(27가구 공급, 191명 청약)과 4.43대1(14가구 공급, 62명 청약)을, 141㎡타입은 1.27대1의 경쟁률(15가구 공급, 19명 청약)을 보였다. 이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최고 15층, 15개동, 전용면적 59~141㎡ 총 606 규모(일반분양분 73가구)다. 인근 응봉산과 한강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더블 조망권 단지다. 동호대교와 성수대교, 3호선 옥수역을 통해 강남으로 이동이 수월하다. 분양관계자는 "한강과 응봉산의 더블 조망권과 넓고 고급스러운 평면 구성이 높은 청약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며 "기대 이상의 호응에 힘입어 곧 있을 계약접수에서도 조기마감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추후 분양일정은 오는 16일 당첨자 발표가 진행된다. 계약접수는 21~23일이다. 계약조건은 1차 계약금 1000만원(1개월 내 10% 잔액 납부)이며, 중도금 60%는 이자후불제다. 견본주택은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힐스테이트 갤러리 내(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914-1) 마련됐다. 입주는 2018년 2월 예정이다.

2015-09-10 16:49:00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대림산업, '브루나이 템부롱 교량 3구간' 공사 2100억원에 수주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대림산업은 10일(현지시간) 브루나이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에 위치한 도로국 본부에서 2100억원 규모의 템부롱(Temburong) 교량 3구간 공사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계약식에는 발주처인 브루나이 국토개발부 장관과 조원명 주브루나이 대사, 김동수 대림산업 사장이 참석했다. 이 사업은 브루나이 만(Brunie Bay)인 무아라 지역과 템부롱 지역을 연결하는 공사다. 전체 공사비는 2조원으로 브루나이 역사상 가장 큰 교량 건설 사업이다. 대림산업이 수주한 3구간은 탑이 하나인 1주탑 사장교와 주탑이 두 개인 2주탑 사장교 등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1주탑의 높이는 107m, 2주탑은 110.5m로 설계됐다. 공사기간은 약 41개월이다. 김동수 대림산업 사장은 "이번 수주는 대림의 해상 특수 교량 기술력을 해외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며 "서해대교와 이순신대교 건설을 통해 완성한 해상 특수 교량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림산업은 현재 브루나이 최대 규모의 사장교인 순가이 브루나이 대교를 시공 중이다. 지난 2월에는 템부롱 교량사업 중 하나인 13.65km의 해상교량을 건설하는 2공구 공사를 4830억원에 수주했다.

2015-09-10 16:48:19 김형석 기자
강남 재건축아파트 분양가 급등

올해 분양경기가 호전되고 집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분양가가 급등하고 있다. 재건축 조합들이 너도나도 일반 분양가를 올리고 있는 것이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일반 분양을 하기로 했던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는 조합과 시공사 간 분양가 합의 등이 지연되면서 9월에서 10월 하순으로 2차례 분양 연기됐다. 분양가 상한제 대상이던 이 아파트는 지난해말 조합 관리처분 당시 일반분양가가 3.3㎡당 평균 2515만원으로 책정됐으나 올해 4월부터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면서 상반기 분양을 포기하고 일반분양가 인상을 추진해왔다. 조합측은 분양가를 3.3㎡당 2700만∼2800만원에 책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관리처분 당시 금액에 비해 3.3㎡당 200만∼300만원 올린 것이고 분양가 상한제 폐지 전 송파구의 일반분양가 권고안(3.3㎡당 2300만∼2400만원)에 비해선 3.3㎡당 300만∼400만원 이상 높아진 것이다. 현재 가락동 일대 새 아파트 시세(3.3㎡당 2300만∼2400만원 안팎)와 비교해도 3.3㎡당 400만원 가량 높다. 가락 시영의 일반분양분은 1550가구로, 분양가를 3.3㎡당 100만원씩 올리면 총 530억원의 수입이 발생한다. 시공사의 한 관계자는 "분양가를 관리처분 계획보다 평균 200만원 정도만 올리면 추가부담금 없이 전체 조합원(6583명)이 대략 1인당 평균 1600만원을 추가로 돌려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삼성물산,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시공사는 전용 85㎡ 초과 중대형 일반분양분이 많아 미분양이 생길 수도 있다면서 중대형 분양가를 3.3㎡당 2500만원대로 낮춰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그러나 사업의 주체가 조합인 점을 감안하면 결국 조합 측의 의견이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지난달 말 1순위 청약을 받은 강남구 대치동 대치 SK뷰는 일반분양분 39가구의 3.3㎡당 분양가를 평균 3927만원에 책정했다. 이는 지난해 펜트하우스의 분양가를 3.3㎡당 최고 5천만원, 1·2차분의 평균 분양가를 4046만원에 책정한 서초동 아크로리버파크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대치동 국제아파트를 재건축하는 이 아파트는 지난 4월 관리처분 당시 조합에서 일반분양가로 3.3㎡당 3500만원대를 책정했으나 분양가 상한제 폐지와 주변 시세 상승 분위기를 틈타 3.3㎡당 400만원 이상 가격을 올린 셈이다. 다음달 분양 예정인 반포동 삼호가든4차의 재건축 아파트 조합과 시공사(대우건설)도 일반분양가를 3.3㎡당 4천만원 선에서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건설[047040] 관계자는 "조합 측에서 대치 SK뷰를 비롯한 인근 새 아파트 분양가와 비슷한 가격대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건축아파트의 이같은 상승세는 지난 4월 시행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이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조합이 자유롭게 분양가를 책정할 수 있게 되면서 일반 분양가를 높여 조합원 수익을 극대화하려 한다는 것이다.

2015-09-09 17:39:55 차기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