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상승…규제완화 효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으로 수도권 법원 경매 아파트에도 다시 투자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7월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두달 연속 떨어졌던 낙찰가율이 이달 들어 오름세로 돌아서고 응찰자수도 증가하는 등 규제완화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21일 법원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감정가격 대비 낙찰가격 비율)은 84.5%로 지난달(84.0%)에 비해 높아졌다. 이는 7월 통계로는 2009년 7월(86.5%)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며, 지난해 7월(78.5%)에 비해선 6.0%포인트 오른 것이다.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4월 86.2%로 정점을 찍은 뒤 2·26 임대소득 과세 방침으로 기존 주택시장이 약세를 보이자 경매 낙찰가율도 5월 이후 두달 연속 하락했다. 그러나 이달 들어 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존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자 경매 낙찰가율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 영등포구의 경우 89.3%로 낙찰가율이 90%에 육박했고 서초구는 88.8%, 강남구 88.4%, 노원구는 86.3%로 평균 이상이었다. 경기도 군포시(99.6%), 화성시(94.9%), 광명시(93.1%) 등의 낙찰가율도 90%를 웃돌았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이 89.6%, 85㎡ 초과 중대형이 81.1%로 각각 지난달(88.9%, 80.9%)에 비해 높아졌다. 경쟁률도 치열해졌다. 물건당 평균 응찰자수는 7.5명으로 지난달(6.7명)에 비해 0.8명 증가했다. 서울 송파구 방이동의 올림픽선수기자촌 62㎡ 아파트는 지난 14일 9명이 응찰한 가운데 감정가(5억5000만원)의 104%인 약 5억7400만원에 낙찰됐고, 17일에 입찰한 시흥시 하상동 연꽃마을 태평2단지 84.8㎡ 아파트는 총 15명이 응찰해 감정가(2억1700만원)의 119%인 2억5800만원에 낙찰됐다. 경기도 수원구 매탄동,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의 소형 아파트에는 각각 23명이 응찰해 각각 감정가의 105%, 103%에 낙찰됐다.

2014-07-21 15:46:29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한토신, '원주혁신도시 코아루시티' 24일 분양

한국토지신탁이 강원도 원주혁신도시 9-2블록 '원주혁신도시 코아루시티' 오피스텔 모델하우스를 오는 24일 오픈한다. 지하 6층, 지상 18층, 전용 22㎡, 전체 330실 규모다. 원주혁신도시는 13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수만 약 4500명에 달하며, 직·간접적 고용 효과를 추산하면 약 3만여 명이 거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경기 광주~원주를 잇는 제2영동고속도로(2016년 개통 예정)와 원주~강릉 고속철도(2017년 말 개통 예정)가 계획돼 있어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진입이 보다 편리해질 전망이다. 오피스텔이 위치한 9-2블록은 중심상업지구에 위치, 이전 공공기관의 접근성이 높고 각종 생활편의시설도 밀집한 것이 특징이다. 또 주변에는 약 63만㎡에 달하는 근린공원과 10만㎡ 규모의 수변공원과 체육시설 등이 있어 가벼운 산책과 조깅 등을 즐기기 수월하다. 분양 관계자는 "원주혁신도시는 전국 혁신도시 중 서울과 가장 인접했으며, 광역교통망 확충 시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진입이 보다 수월해질 것"이라며 "견본주택 개관 전임에도 하루에 수십 여 통의 문의전화가 오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 분양가는 1억원 미만(부가세 별도)으로 책정됐으며, 견본주택은 원주시 단구동 1597-4번지에 마련됐다. 입주는 2016년 12월 예정이다.

2014-07-21 15:35:38 박선옥 기자
여름 분양시장 비수기는 옛말…분양열기 '폭염' 수준

7~8월은 장마와 휴가철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분양 비수기로 꼽히지만 올해는 폭염 수준의 뜨거운 열기를 내뿜고 있다. 정부가 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등의 대출규제 카드를 꺼내든 데 대해 수요자들의 반응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20일까지 전국에서 공급된 25개 단지, 1만1907가구(특별공급 제외)에 총 7만1609명의 청약자가 몰렸다. 이는 지난달 분양된 34개 단지에 접수한 6만6874명을 넘어선 숫자다. 위례신도시, 김천혁신도시, 원주혁신도시 등 인기 지역에서의 공급이 이달 말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분양 성수기로 불리는 5월의 청약자 수 8만7459명도 넘볼 수 있을 전망이다. 분양성적도 좋았다. 25개 단지 중 15곳이 순위 내 마감에 성공했고, 총 청약자 중 85.8%에 해당하는 6만1501명이 '진성 고객'으로 꼽히는 1순위 청약통장 보유자였다. 특히 지방에 비해 분위기가 좋지 않았던 수도권에서 6곳 중 4곳이 순위 내 마감을 이룬 점이 눈에 띈다. 이 중 대림산업이 경기도 광주에 분양한 'e편한세상 광주역'에 무려 2386개의 1~2순위 청약통장이 몰리며 뜨거운 반응을 나타냈다. 업계 관계자는 "7월에는 대구·경북, 부산, 천안, 세종 등 소위 잘 나간다는 지방을 비롯해 서울에서는 강남세곡2보금자리, 용산 등 알짜 입지에서 분양이 많아 결과가 좋았다"며 "다음 달에도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8월 위례신도시를 비롯해 인기 지역에서의 분양이 줄을 이을 전망이다. 호반건설은 위례신도시 A2-8블록에서 '위례신도시 호반베르디움' 1137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 가구 98㎡ 중형으로 구성됐고, 트랜짓몰과 위례~신사선 '위례중앙역'이 가깝다. 한화건설은 서울 성북구 정릉동 일대를 재건축한 '정릉 꿈에그린'을 공급한다. 전용면적 52∼109㎡, 349가구 가운데 145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1299만원 수준으로 인근 돈암동·길음동과 비교해 저렴한 편이다. 우남건설은 경기도 용인시 행정타운 인근에서 분양전환 임대아파트 '용인 역북 우남퍼스트빌'을 공급한다. 임대 기간은 10년이며 5년이 경과하면 임대인과 임차인의 합의 하에 분양전환이 가능하다. 전용면적 67~84㎡, 전체 914가구 규모다. 롯데건설은 경남 양산시 주진동 일대 '양산 롯데캐슬'을 선보일 예정이다. 총 623가구, 전용면적 59~84㎡의 중소형으로 이뤄져 있다. 양산에서는 EG건설이 '양산신도시1차 EG the1' 도 공급한다. 전용면적 59㎡, 415가구 규모다.

2014-07-21 14:47:12 박선옥 기자
LH, 하반기 전국 48개 지구 2285필지 용지 공급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하반기 전국 48개 사업지구에서 2285필지, 전체 627만6000㎡에 이르는 용지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토지유형별로 공동주택지가 22개 사업지구에서 74필지 315만7000㎡로 가장 많고, 단독주택용지는 14개 지구 1580필지 63만6000㎡, 상업·업무시설용지가 27개 지구에 338필지 61만㎡가 공급된다. 또 산업·지원시설용지는 6개 지구에 159필지 116만㎡, 기타시설(주차장, 종교시설 등)용지가 14개 지구에서 134필지 71만4000㎡가 공급될 예정이다. 상반기 LH는 8조6000억원의 토지판매 실적을 기록하며 상반기 토지판매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공동주택용지는 일반공급 이외 대행개발 등 판매방식을 다각화해 공급함으로써 판매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고 LH는 설명했다. 용도별로 살펴보면 공동주택용지가 전체 판매실적의 58%, 상업업무용지 21%, 단독주택용지가 7%의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상반기 공동주택용지의 판매실적은 2012년 2조원에서 2013년 2조4000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올해는 5조원으로 2013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지구별로는 화성동탄2와 아산탕정, 미사강변, 고양향동 등 공동주택용지의 판매량이 양호한 사업지구가 전체적으로 판매실적도 좋았다. LH는 하반기에도 상반기 판매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화성동탄2와 행정중심복합도시, 위례, 미사강변도시 등에서 많은 우량토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2014-07-21 14:38:41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아파트 '유명 디자이너 건축물' 대열 속속 합류

세계적인 디자이너를 영입, 아파트 설계에 나서는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 수요자들의 집을 고르는 안목이 높아진데다, 도시 미관을 고려하는 지자체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는 건설사간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아파트도 디자인 시대를 맞게 된 것이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 도심 최고급 랜드마크 주상복합아파트에서나 볼 수 있던 유명 디자이너의 설계가 일반아파트는 물론, 지방의 상가에도 속속 적용되고 있다. 세종시 1-4생활권 H1블록에서 반도건설이 분양 중인 '세종 반도유보라'는 세계 3대 산업디자이너로 꼽히는 카림 라시드와 공동으로 단지 상가인 '카림 애비뉴'를 디자인했다. 카림 라시드는 파리바게트, 현대카드 블랙을 비롯해 현대자동차 i40, LG 디오스 냉장고, LG 하우시스 하이막스 등을 통해 국내에서도 인기가 높은 디자이너다. 세종시 최초의 스트리트형 상가에 카림 라시드 특유의 감각적이고 실용적인 디자인을 적용해 눈길을 끈다. 부산 남구 용호동에서 아이에스동서가 선보인 '더블유(W)'의 설계와 디자인은 세계적 건축가이자 프랑스 건축가협회장인 로랑 살로몽 교수가 맡았다. 로랑 살로몽은 부산 국제 설계 공모전 당선을 통해 더블유 설계를 진행하게 됐다. 고층부는 하늘로 열린 게이트를, 각 동은 물결치는 파도를 형상화해 지역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데 역점을 뒀다. 경기도 하남미사지구에서 포스코건설이 분양한 '미사강변도시 더샵 리버포레'에는 이탈리아의 디자인 거장 '알렉산드로 멘디니'가 아파트 외관 색채디자인과 사인물 디자인에 참여했다. 멘디니는 세계적인 명품인 까르띠에, 스와로브스키 등의 디자이너로 활동한 인물이다. 대우건설과 동부건설이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공급한 '김포풍무 푸르지오 센트레빌'은 스캇 사버(Scott Saver)와 협업해 차별화된 외관 설계를 선보였다. 스캇 사버는 코엑스 인터컨티넬탈 호텔, 일산 킨텍스 컨벤션센터, 서울 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업체별 기술력이 평준화된 상황에서 분양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화려한 이력의 디자이너와 협업해 이슈를 만드는 것"이라며 "그만큼 신경 써서 지은 아파트라는 인식 때문에 수요자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다만, 겉모습에만 치중하면서 실용성은 떨어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서울 G주상복합아파트의 경우 안방 욕실 벽 전체가 통유리로 만들어져 초기 입주민들 사이에서 국내 정서와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또 A주상복합아파트는 원통형으로 지어져 차별화된 외관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정작 입주민들은 데드스페이스(Dead Space)가 많고, 가구 배치에도 어려움이 있다며 불만을 호소했다. 김근옥 부동산플래너 팀장은 "이왕이면 다홍치마라는 말처럼 같은 조건이라면 외관이 예쁜 아파트가 경쟁력도 높겠지만 실용성이 떨어진다면 좋은 건물이라고 볼 수는 없다"며 "수요자들은 화려한 겉모습보다는 입지·상품·가격 등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2014-07-21 14:12:43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마곡지구 입주 폭탄에 인근 아파트 전셋값 5천만원 ↓

서울의 마지막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인 강서구 마곡지구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주변 전세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이 전세매물 부족으로 임대인 우위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마곡지구가 속한 강서구는 임차자 우위 시장을 형성하며 전셋값이 하락한 것이다. 최근에는 강서구를 넘어서 인접한 김포한강 신도시나 양천구 전세시장까지 영향을 미치며 물량여파가 나타나고 있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계획된 마곡 도시개발지구 조성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 들고 있으며, 올해 5월부터 마곡엠밸리 14~15단지(총2227세대)를 시작으로 신규 아파트 입주가 시작했고 6월에는 마곡엠밸리 1~7단지(총4283세대)가 입주했다. 또 최근에는 마곡지구 인근 화곡동에 대단지 아파트 강서힐스테이트(2603세대)까지 입주를 시작하며 공급과잉의 우려를 높이고 있다. 강서구 아파트 입주물량이 지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1485세대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최근 2달간 아파트 입주물량은 과거 4년간 공급량의 6배가 넘는 수치다. 최근 입주한 마곡지구 아파트의 면적분포를 살펴보면 ▲전용 60㎡이하가 2860세대 ▲전용 60~85㎡이하 2338세대 ▲전용 85㎡초과 1312세대로 구성되어 전용85㎡ 이하가 80% 가량을 차지한다. 강서구 아파트시장은 때 아닌 역전세난이 한창이다. 비수기인 탓도 있지만 단기간 과다 공급된 마곡지구 아파트 입주영향으로 임대인의 세입자 구하기가 난항을 겪고 있다. 잔금일이 다가오면서 아직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임대인들이 경쟁적으로 급매물로 싸게 내놓으면서 전세매물이 쌓여가고 있다. 마곡동 M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마곡지구 아파트 전셋값이 저렴하다는 소문을 듣고 신혼부부 임차인들이 많이 문의는 하고 있다. 하지만 기반시설이 미비하고 전셋값이 계속 떨어지는 추세여서 가을 이사철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는 수요자들은 가격이 더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강서구 역전세난의 불똥은 강서구 내 다른 아파트는 몰론 강서구와 인접한 다른 지역 전셋값 하락으로 번지고 있다. 마곡지구 아파트 입주 시점인 2014년 4월25일대비 2014년 7월11일 기준 전셋값 변동률은 마곡지구가 속한 ▼강서구는 무려 2.38% 떨어졌고 ▼김포한강신도시(-0.77%) ▼양천구(-0.14%)등 인접한 지역의 전셋값도 하락했다. 금천구는 0.01% 올랐으나 같은 기간 서울 전체의 전셋값이 0.33%올랐다는 점에서 마곡지구 아파트 입주폭탄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재계약을 앞두고 있는 임차인들이 저렴한 마곡지구 아파트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강서구 화곡동 화곡푸르지오 전용125㎡는 마곡지구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자 전세가격이 5000만원이나 떨어졌고 내발산동 마곡수명산파크7단지 전용84㎡는 3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강서구와 경계를 같이 하고 있는 양천구는 목동 금호베스트빌 전용84㎡가 5000만원 떨어졌고 김포시 장기동 고창마을EGthe1 84㎡도 2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최근의 공급부담으로 일시적인 전셋값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마곡지구의 전세가격 회복 능력은 충분하다. 쾌적한 주거환경, 편리한 강남 접근성, 우수한 학군, 자족적 기능으로 2기 신도시 가운데 성공작이라고 평가 받는 판교신도시와 마찬가지로 마곡지구도 이런 요소들을 충분히 갖췄기 때문이다. 2015년부터 LG, 코오롱, 롯데와 같은 대기업을 비롯해 100여 개의 기업체가 입주할 예정이고 상주인구가 16만 5000명에 달해 베드타운의 우려 없이 자족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을 통해 여의도(24분)와 신논현(47분)까지 원스톱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 아시아 최대의 생태공원인 보타닉 공원이 여의도 공원의 두 배 크기인 50만㎡의 규모로 조성될 예정으로 주거환경도 개선될 예정이다. 올 가을 저렴한 전셋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면 마곡지구 신규 아파트를 눈 여겨볼 필요가 있다. 비록 지금은 정주여건이 떨어지지만 대기업이 속속 입주하고 생활편의 시설이 갖추어 지면 주거환경은 한층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금의 전셋값 하락이 계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2년 뒤 재계약 시에는 추가되는 전세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2014-07-21 14:09:39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상반기 주택거래량, 작년보다 6.83%↑

올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여 가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상반기 전국 주택거래량은 총 47만59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 44만 44만522가구와 비교해 3만69가구, 6.83% 늘어난 수치다. 거래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지역으로, 작년 9만5562가구에서 올해 11만5850가구로 2만288가구 늘었다. 이어 ▲서울 1만2900가구(5만5842→6만8742가구) ▲부산 4916가구(3만6815→4만1731가구) ▲인천 3237가구(2만5981→2만9218가구) ▲울산 2446가구(1만2641→1만5087가구) 순이다. 이에 반해 대구는 작년 상반기 3만1139가구에서 올 들어 2만5912가구로 5227가구 감소했다. 다음으로 ▲경북 4493가구(2만8740가구→2만4247가구) ▲전남 2103가구(1만3652→1만1549가구)씩 줄었다. 올 상반기 작년에 비해 거래량이 늘어난 이유로는 취득세 영구 인하 확정,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공유형 모기지 확대 등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대거 시행됨에 따라 주택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2·26대책에 전·월세 과세 방안이 포함되면서 시장이 위축되기 시작했고, 5~6월 들어서는 다시 감소 추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주택 거래량을 월별로 살펴보면 ▲1월 5만8846가구 ▲2월 7만8798가구 ▲3월 8만9394가구 ▲4월 9만2691가구 ▲5월 7만7754구 ▲6월 7만3108가구로 4월까지 상승 곡선을 그리다 5월부터 하락세로 전환됐다. 건물유형별 거래량은 아파트가 32만9660가구로 가장 많았고, ▲다세대 6만2804가구 ▲단독 4만8483가구 ▲연립 1만5882가구 ▲다가구 1만3762가구 순이었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팀장은 "정부가 전세소득 과세 방침을 철회하기로 결정한 데다, 대출규제 완화가 예정되면서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비해 거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소득 증가 없이 부동산시장만 회복되기는 어려운 만큼, 전반적인 경기 회복이 거래량 증감의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7-21 11:55:54 박선옥 기자
국토면적의 16.58%가 도시지역…국민 91.58%가 거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 상 전 국토의 면적은 10만6106㎢이며, 그 중 도시지역 면적은 1만7593㎢로서 이는 전체면적의 약 16.5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우리나라의 총인구 5114만여 명 중 4683만여 명이 도시지역(91.58%)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국토교통부는 2013년도 도시일반현황, 용도지역·지구·구역현황, 도시·군계획시설현황 등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조사·공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토부가 발표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 지정현황을 보면 전체 용도지역(10만6106㎢) 중 농림지역 4만9403㎢(46.6%), 관리지역 2만7093㎢(25.5%), 도시지역 1만7593㎢(16.6%), 자연환경보전지역 1만2017㎢(11.3%)로 조사됐다. 또 도시지역 1만7593㎢(16.6%) 중 녹지지역 1만2683㎢(72.1%), 주거지역 2580㎢(14.7%), 공업지역 1122㎢(6.4%), 미지정지역 884㎢(5.0%), 상업지역 325㎢(1.9%)로 나타났다. 용도지역 지정면적의 증감현황은 전년(2012년)과 대비해 도시지역은 주거지역(+17㎢), 상업지역(+2㎢), 공업지역(+13㎢) 및 녹지지역(+1㎢)이 증가하고, 미지정지역(-26㎢)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약 6㎢가 증가했다. 관리지역은 71㎢ 증가한 반면,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각각 85㎢, 62㎢ 감소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도 전년보다 45만5660명(경기도 평택시 인구 수준) 증가한 4683만7578명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91.58%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취합, 작성되는 도시계획현황 통계는 도시정책 및 도시계획 수립, 교부세 산정 근거자료 제공, 지역개발계획 구상 등 정책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통계 상세 자료는 인터넷 도시포털(http://www.city.go.kr),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 및 e-나라지표(http://www.index.go.kr)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2014-07-21 11:41:03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