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비율 69.1% … 70% 육박
전국 주택 전세가격이 17개월 연속 상승한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비율이 69.1%를 기록하며 70% 돌파를 눈앞에 두게 됐다. 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4%, 전세가격은 0.59%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각각 0.80%, 5.11% 올랐다. ◆매매가 5개월, 전세가 17개월 연속 상승 이 가운데 매매가는 중소형 주택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들의 매매전환이 지속되면서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177개 지역 중 143곳에서 상승장을 연출했고, 34개 지역만 하락했다. 시·도별로는 ▲대구(1.20%) ▲경북(0.79%) ▲대전(0.32%) ▲충남(0.31%) ▲제주(0.28%) ▲서울(0.23%) ▲충북(0.21%) ▲경기(0.21%) 등의 순으로 상승한 반면 전남(-0.14%)은 하락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정부의 규제완화 기조와 부동산시장 낙관론이 더해지면서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0.20%가 올랐다. 서울 광진구(0.62%), 송파구(0.58%), 동대문구(0.44%), 성동구(0.43%), 강남구(0.35%), 금천구(0.30%)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 지방(0.28%)은 정부부처 이전과 산업단지 등 각종 개발호재가 풍부하고 수요대비 공급물량이 부족한 대구, 경북,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0.37%, 연립주택 0.01%, 단독주택 0.01%를 기록하며 전 유형이 오름세를 유지했다. 다만 아파트는 수도권에 비해 지방(0.44%)이 비교적 강세를 보였으며, 연립주택은 지방(0.22%)은 상승한 반면, 수도권(-0.08%)은 하락했다. 규모별 아파트 매매가격은 ▲60㎡이하 0.43% ▲60㎡초과~85㎡이하 0.41% ▲85㎡초과~102㎡이하 0.31% ▲102㎡초과~135㎡이하 0.22% 등 소형 순으로 상승했다. 이에 반해 135㎡초과 대형은 -0.08%로 하락세를 지속했다. 한편, 전세가는 ▲대구(1.15%) ▲경기(0.90%) ▲서울(0.81%) ▲경북(0.70%) ▲인천(0.69%) ▲대전(0.64%) ▲제주(0.58%) ▲세종(0.51%) ▲충남(0.48%) ▲경남(0.24%) 등 전 지역에서상향조정됐다. 이 중 수도권(0.84%)은 방학철 학군수요에 봄 이사시즌과 결혼시진이 겹치면서 서울·인천·경기지역이 일제히 오름폭을 확대했다. 특히 서울 구로구(1.58%), 양천구(1.54%), 성동구(1.22%), 금천구(1.09%), 노원구(1.06%), 광진구(0.99%) 등이 평균을 상회했다. 지방(0.36%)은 대구, 경북 등 산업단지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졌으며, 중앙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세종, 대전지역도 강세를 지속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0.87%, 연립주택 0.23%, 단독주택 0.05%를 나타냈다. 아파트의 경우 수도권(1.19%)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연립주택은 수도권(0.24%)과 지방(0.22%)이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규모별 아파트 전세가격은 ▲102㎡초과~135㎡이하 1.06% ▲60㎡초과~85㎡이하 0.94% ▲85㎡초과~102㎡이하 0.84% ▲60㎡이하 0.77% ▲135㎡초과 0.75% 순으로 나타나 일제히 상승했다. ◆전국 주택 전세가비율 62.1%, 아파트는 69.1% 전국의 매매 평균가격은 전월(2억3036만원)보다 소폭 상승한 2억3135만원을 기록했다. 서울이 4억4284만원, 수도권 3억1885만원, 지방 1억4978만원 순이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억5233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단독주택이 2억2441만원, 연립주택이 1억3911만원을 나타냈다. 전국의 전세 평균가격은 1억3834만원으로 파악됐다. 서울 2억5067만원, 수도권 1억8481만원, 지방 9501만원이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1억6556만원, 단독주택 9617만원, 연립주택 8428만원 순이다.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평균가격 기준으로 62.1%를 기록하며 전달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61.5%, 지방 62.6%로 나타나 지역 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격차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또 유형별로는 아파트 69.1%, 연립주택 63.5%, 단독주택 43.1% 순으로 집계됐다. 아파트는 특히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에서는 73.5%, 72.7%로 70%를 넘어섰고, 수도권과 서울은 65.4%, 64.3%를 기록했다. 박기정 한국감정원 연구위원은 "최근 부동산 규제완화로 시장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으며, 취득세 영구인하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에 대한 정책효과로 부동산 거래 정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겨울방학 기간 학군수요 증가, 봄철 예비 신혼부부의 전세수요 증가로 전세가격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며 "특히 임대인의 월세선호로 전세매물부족이 장기화되면서 전세가격 상승세는 수도권에서 외곽지역으로, 소형에서 중대형으로 확산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