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파리 테러에 프랑스 극우정당 1위 돌풍…르펜 '도지사' 당선 가능성

파리 테러에 프랑스 극우정당 1위 돌풍…르펜 '도지사' 당선 가능성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프랑스 극우정당인 국민전선(FN)이 6일(현지시간) 지방선거 1차 투표에서 파리 테러 이후 고조된 반(反)이민, 반 이슬람 정서에 힘입어 역대 최대 득표율로 1위를 기록하며 돌풍을 일으켰다고 연합뉴스가 이날 보도했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달 13일 파리에서 발생한 동시다발 테러의 여파가 국민전선 돌풍의 '기폭제'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치러진 1차 투표의 개표 결과 국민전선은 광역자치단체인 도 단체장과 지방의원을 뽑는 지방선거 1차 투표에서 28%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또 본토 13개 도 가운데 6곳에서 1위에 올랐다. 이 같은 득표율은 지난해 5월 유럽의회 선거에서 국민전선이 얻은 기록적 득표율을 뛰어넘는 것이다. 당시 국민전선은 25% 득표율로 1972년 창당 후 처음으로 전국 단위 선거에서 1위를 기록했다. 여기에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대표와 그의 조카딸인 마리옹 마레샬 르펜은 각각 단체장 후보로 나선 곳에서 40%가 넘는 득표율로 나란히 1위에 올라 도지사 당선 가능성이 크게 점쳐지고 있다. 르펜 대표는 이날 선거 뒤 "대단한 결과"라면서 "국민전선은 논쟁의 여지없이 프랑스 제1정당"이라며 자신감을 표출했다. 이에 비해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대표로 있는 우파 야당 공화당(LR)은 27%,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이 소속된 집권 사회당(PS)은 23.5%로 각각 2,3위에 머물렀다. 국민전선의 압승이 예상되자 집권당인 사회당의 장 크리스토프 캄바델리 제1서기는 르펜 국민전선 대표가 단체장 후보로 나선 북부 노르파드칼레피카르디와 그의 조카가 출마한 남부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에서 사회당 후보를 사퇴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공화당을 이끄는 사르코지 전 대통령은 다른 당과의 연합이나 공화당 후보의 사퇴는 없다며 협력을 거부하고 있어 '극우전선 저지'가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2015-12-07 13:19:51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스타인터뷰] 윤계상 "보잘 것 없어도 괜찮아. 청춘이니까"

[스타인터뷰] 윤계상 "보잘 것 없어도 괜찮아. 청춘이니까" '극적인 하룻밤'서 청춘 대변 한예리와 '최고의 케미' "사랑만은 포기하지 마세요" "미흡하고 보잘 것 없어도 괜찮아. 청춘이니까." 영화 '극적인 하룻밤'(감독 하기호)로 돌아온 배우 윤계상(36)이 현대 사회의 높은 벽에 가로막혀 힘들어하는 청춘에게 보내고 싶은 메시지다. "전작 '레드카펫'의 정우와 이번에 개봉한 영화 '극적인 하룻밤'의 정훈은 비슷한 점이 많아요. 정우가 사회적 편견 때문에 자신의 꿈을 놓칠 뻔하다 주변인들에게 힘을 얻어 성장하는 인물이라면, 정훈은 사회가 정한 기준 때문에 찾아온 사랑을 놓칠 뻔한 위기에 처하는 인물이죠. 하지만 결국 시후(한예리)를 만나면서 한층 성장하죠. 사회의 '벽' 때문에 소중한 무언가를 놓치는 불행한 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작품을 선택했어요." '극적인 하룻밤'은 헤어진 애인의 결혼식에서 만난 남녀가 서로의 인생에 강렬한 하룻밤을 보낸 뒤 '원나잇 쿠폰'을 만들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윤계상은 N포세대를 대변하는 가진 것 없는 30대 기간제 체육교사 정훈을 연기했다. 겉으로 보기에는 밝은 성향에 걱정ㄷ 없어 보이지만 아직도 불안정한 청춘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각자 전 애인의 결혼식에서 만난 남녀가 몸을 먼저 나누고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한다는 내용이 자극적이기는 하죠. 아마 그런 관계를 이해 못하시는 분도 많을 거예요. 하지만 저는 100% 내용에 공감하고 정훈을 이해했어요. 만약 정훈의 의도가 처음부터 불순했다면 공감하기 힘들었을텐데 '극적인 하룻밤'을 보내면서 두 사람은 첫눈에 반한 거라고 생각해요. 서로의 상처 때문에 '우리는 몸친 관계야'라고 선을 긋고 쿨한 척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두 사람은 이미 사귀고 있는 거죠. 눈만 마주쳐도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데 그게 어떻게 사랑이 아니에요? (웃음)" 함께 호흡한 상대 배우 한예리는 같은 소속사 식구다. '19금' 영화다보니 수위가 높은 장면이 다소 있다. 촬영 당시 어색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최고의 케미'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액션영화 찍는 것보다 더 치열하고, 순서에 맞춰 디테일하게 찍기 때문에 어색함을 느낄 순간조차 없었다"며 "오히려 편한 사람과 더 솔직하게 찍을 수 있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후반부에 두 사람이 서로의 입장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에요. 그 신이 애드리브로 완성된 장면이거든요. '여자와 남자의 입장 차가 이렇게 다르구나'라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시후를 사랑하지만 사회적으로 낮은 입지 때문에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정훈과 '누가 결혼하쟤? 연애하자는 건데'라고 말하는 시후가 남녀의 다른 성향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그 장면 찍을 때가 가장 인상 깊었어요." '극적인 하룻밤'은 이미 10번째 시즌을 돌파한 연극으로 대중에게 유명한 작품이다. 하지만 윤계상은 단 한 회도 연극을 보지 않았다. 그만의 감성이 묻어나는 정훈을 연기하고 싶었다는 이유에서다. "제가 생각한 정훈은 하기호 감독님이에요. 어떤 영화든 감독님의 예술이기 때문에 감독님에 빙의되는 캐릭터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감독님이 정훈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제가 대변한 거죠. 아마 감독님이 영화 보시고 가장 좋아하셨던 것 같아요.(웃음)" 윤계상은 지금도 청춘이다. "항상 청춘이고 싶어요. 넘어져도 일어나고 실패하면 또 다시 도전하는 청춘이요. 청춘의 끝은 철이 들었을 때인 것 같아요. 배우는 특히 철이 들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제 감정과 삶, 환경 등 모든 것을 타협하는 순간 전진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죽을 때까지 배우의 길을 가고 싶다는 윤계상은 자신의 강점을 성실함이라고 꼬집었다. "꾸준히 연기해왔고 이제서야 연기의 맛을 알 것 같아요. 예전에는 뭔가 입증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저 자신을 채찍질하고 제 연기에 떳떳하지 못했거든요. 하지만 지금은 달라요. 앞으로도 저만의 연기색깔로 대중 앞에 서고 싶어요."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10대의 우상이었던 지오디(god)로 활동하던 때가 바로 어제 같다. 그런데 벌써 11년차 베테랑 배우가 됐다. "지오디 시절은 제 인생의 전성기였어요. 그때만큼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은 때가 또 있을까요? 그때가 그립기도 하지만 돌아가고 싶지는 않아요. 지금 더 많은 것을 보게 됐고, 이제와서 재미를 느낀 것도 많으니까요. " '극적인 하룻밤'은 풍파를 견디고 성장한 윤계상이 퍽퍽한 삶에 지친 청춘에게 전하는 메시지와도 같은 영화다. "다 포기해도 사랑하는 사람만은 포기하지 마세요. 지금 처지가 한심스럽고 좋지 않을 일을 겪고 있다고 해도 영원히 불행하지는 않거든요. 영화 보시고 힘 팍팍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2015-12-07 13:07:34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서경덕 교수, '하시마의 숨겨진 진실' 영상 구글에 게재

서경덕 교수, '하시마의 숨겨진 진실' 영상 구글에 게재 역사 왜곡 반복하는 일본 정부 강하게 비판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산업혁명 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한 일본 군함도(하시마)의 숨겨진 진실을 알리는 동영상을 제작해 구글 광고란에 게재했다. 해당 광고는 구글 화면의 상하좌우 광고란에 'The Truth behind Hashima'(하시마의 숨겨진 진실)이라는 제목 아래 'The Japanese governments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 must cease'(일본 정부는 더 이상의 역사 왜곡을 중단해야만 한다)라는 내용을 노출하고 있다. 화면을 클릭하면 유튜브 동영상(http://is.gd/aqkLQh)으로 연결된다. 5분 분량의 짧은 동영상은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 5개월이 지났지만, 약속했던 강제징용에 대한 정보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앞서 유네스코는 문화유산 등재 당시 일본 정부에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을 공개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영상에는 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의 공개 발언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의 외부 발언 영상을 삽입해 역사 왜곡을 반복하는 일본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영상 속 사토 대사는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 하에서 강제로 노역했다. 일본은 인포메이션 센터 설치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해석 전략에 포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뒤이어 나타나는 기시다 외무상은 "하시마 탄광을 비롯해 세계유산에 등재된 일본 산업 시설에서 조선인 노동자가 일한 것은 국민 징용령에 따른 것으로 강제노동으로 볼 수 없다"고 말을 바꾼 것이다. 이달 말까지 지속할 예정인 광고의 비용은 치킨마루가 전액 후원했다. 청년시대, 레드딕, 디셀 등 젊은 청년 기업들이 재능기부로 동영상 제작에 참여했다.

2015-12-07 13:07:09 신원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