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중국 경기둔화에도 아랑곳 않는 알리바바…매출 32% 급등

중국 경기둔화에도 아랑곳 않는 알리바바…매출 32% 급등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중국의 알리바바가 서방 경제의 중심지 월가를 놀라게 했다. 월가의 전문가들은 중국의 성장 둔화를 이유로 알리바바의 실적 악화를 전망했지만 완전히 빗나갔다. 알리바바는 7~9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 증가한 매출을 올렸다. 28일 월가에서는 "중국이 위기라는 게 맞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전날 알리바바는 회계연도 2분기에 해당하는 지난 석달 동안의 실적을 발표했다. 총거래액(GMV)는 7130억 위안(약 126조 원)이다. 올해 우리나라 예산의 3분의 1에 달하는 거래가 알리바바를 통해 이뤄진 것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증가한 액수다. 증가세가 주춤하기는 했지만 당초 월가의 예상보다는 높았다. 매출액은 222억 위안(약 4조 원)이었다. 알리바바의 실적은 모바일 전환이 성공한 결과로 분석된다. 거래액의 62%인 4400억 위안 (약 78조 원)이 모바일을 통해 이뤄졌다. 모바일 매출액도 전체의 47.4%인 105억 위안(약 1조8000억 원)에 달했다. 모바일을 통한 거래가 데스크탑을 통한 거래를 따라잡았고, 매출액도 거의 반분한 것이다. 1년 전만 하더라도 불가능하리라 여겨지던 일을 알리바바는 해냈다. 서방 언론들의 보도에서는 이 같은 실적에 깜짝 놀란 월가의 분위기가 고스란히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알리바바는 기대 이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돈을 뽑아냈다. 모바일 쇼핑의 성장으로 전문가들의 예상을 무너뜨렸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알리바바는 기대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며 "기대치를 웃도는 알리바바의 실적은 중국 경제가 나아가는 방향을 가늠하려는 이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관련 기사의 제목을 '알리바바의 매출 급증, 중국의 경제 둔화를 떨쳐내다'로 뽑았다. 기사 본문에서는 "최근 알리바바의 주가는 기업공개(IPO) 이후 가장 좋은 한 달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알리바바가 전자기업인 쑤닝 커머스 그룹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상품 범위를 넓히는 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클라우드에 기반한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인 것에도 주목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성장 둔화에서 오는 충격을 줄여줄 것으로 전망했다. 서방 언론들은 알리바바가 내놓는 낙관적인 전망을 그대로 전하기도 했다. 알리바바는 분기 실적을 보고하며 중국 소비자들이 여전히 지출 여력과 의사가 있음을 강조했다. 세계 2위 경제국인 중국이 2009년 이래 가장 느린 속도의 성장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임금상승률과 상당한 수준의 저축 덕분에 소비자 구매력이 건재하다고 것이다. 조 차이 알리바바 수석부회장은 "사람들이 저축과 유동성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거시경제의 일시적 후퇴가 근본적으로 소비 패턴에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음달에는 중국의 가장 큰 쇼핑 이벤트가 있다. 11일 독신자의 날(Singles' Day) 행사다. 같은 날 열리는 우리나라의 빼빼로데이 행사와는 차원이 다른 세계적인 이벤트다. 서방 언론들은 이날 알리바바의 실적에 주목하고 있다. 알리바바가 어려운 경제상황을 얼마나 잘 극복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시험대라는 인식이다.

2015-10-28 17:50:53 송병형 기자
기사사진
애플과 트위터, 혁신기업의 명암은 무엇이 갈랐나

애플, 실적 신기록…트위터, 2조 누적적자 명암 갈린 미 혁신기업 애플, 위기의 중국시장 정면돌파 트위터, 혁신도 방향감도 상실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위기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미국 내 두 거대 혁신기업의 명암이 갈렸다. 사회적관계망서비스(SNS) 분야 혁신자였던 트위터는 떠나가는 이용자들의 마음을 잡지 못해 성장이 정체됐다. 27일(이하 현지시간) 발표된 3분기(7~9월) 실적은 참담했다. 분기 손실만 1억3200만 달러(약 1500억 원), 누적손실은 거의 20억 달러(약 2조3000억 원)에 달했다. 지난 8월 중국 증시 사태의 와중에 위기를 맞았던 애플은 되레 중국에 대한 적극적인 공세로 위기를 맞받아 치면서 반전을 맞았다. 같은날 발표된 4분기(7~9월) 실적에서 애플은 사상 최고의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2% 늘어났고, 순이익은 31%나 증가했다. 아이폰 판매량은 36% 늘었다. ◆애플, 위기설에도 중국 시장서 공격적 마케팅 애플이 석달 동안 거둔 매출액은 515억 달러(약 53조3186억원)이다. 이 중 4분의 1에 해당하는 125억 달러(약 14조1550억원)를 중국 시장(대만·홍콩 포함)에서 거뒀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99%가 늘었다. 아이폰 판매량은 87% 늘었다. 지난 8월까지만 해도 애플은 위기였다. 보름 만에 주가가 내려가며 100조 원 가까운 돈이 증발했다. 2008년 이후 최악이었다. 투자자들이 애플카, 애플워치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봤기 때문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애플에 대한 분위기는 변하고 있다. 아이폰 판매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모멘텀과 단기자금이 애플의 주식에서 빠져나가고 있다"는 말이 나왔다. 월가에서는 "장미는 떨어졌다"고 말하는 전문가도 있었다. 애플이 공을 들여 온 중국 시장에서 위기설이 돌며 성장이 둔화되는 상황이라 전망은 더욱 암담했다. 게다가 샤오미 등 토종기업이 강세를 보이는 악재가 더해졌다. 하지만 애플은 물러서지 않았다. 정면돌파를 시도했다. 위기라는 중국 시장에 더욱 공을 들였다. 서비스 정책에 대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애플스토어를 21곳으로 늘렸다.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은 수시로 중국을 드나들며 중국인들과 소통했다. 팀 쿡은 최근 다렌 지역 애플스토어 개장을 위해 중국을 찾으면서 만리장성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중국의 SNS인 웨이보에 만리장성에 오른 자신의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모두 중국인의 마음을 얻기 위한 행보였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금색 색상에 이어 이미 대화면까지 장착한 아이폰을 내놓은 상태에서 이 같은 공들이기는 결국 결실을 맺었다. 팀 쿡은 실적 발표일 언론 인터뷰에서 신기록 경신의 원인으로 중국 시장을 꼽았다. 애플은 앞으로로 중국 시장을 최우선으로 챙기며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6일 출시한 아이폰 6S와 6S플러스의 폭발적인 인기로 전망은 낙관적이다. 출시 첫 주말에만 사상 최대인 1300만 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역시 중국 시장에서 선전한 결과다. 신형 아이폰의 실적은 2016회계연도 1분기에 포함된다. ◆트위터, 방향 상실…성장 정체 늪에서 허우적 애플은 중국이라는 돌파구를 찾아 공략에 성공했지만 트위터는 그렇지 못했다. 나아갈 방향을 찾지 못하고 헤매고 있다. 폐쇄형 SNS의 확산, 메시징 서비스의 성장, 무분별한 속보에 대한 피로감 등 트위터 사용자들의 불만은 오래전부터 계속됐지만 개선은 미미하기만 했다. 이로 인해 익숙한 이용자들만 트위터를 이용할 뿐 나머지는 외면했다. 결과는 성장의 정체였다. 트위터 발표에 따르면 9월말 기준 활동 사용자는 3억700만 명이다. 지난 6월말과 비교했을 때 고작 1%인 300만명이 늘어났을 뿐이다. 트위터는 직전 분기에도 활동 사용자 증가가 200만 명에 그쳤다. 이번 분기는 딕 코스톨로 전 CEO가 물러난 후 공동창업자들 중 한 명인 잭 도시가 임시 CEO로 복귀해 경영을 맡았다. 도시는 10월에 정식 CEO로 취임한 상태다. 구원투수가 나섰지만 제 역할을 못한 셈이다. 앞으로의 전망도 어둡다. 도시는 지난 주 "트위터는 우리 시대 가장 획기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라며 "개발자들의 도움, 모든 이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부활을 위한 전략은 내놓지 않았다. 도시는 실적 발표에 투자자들이 실망을 나타내자 "우리는 트위터 전체에 걸쳐 로드맵과 조직을 단순화했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로 이용자들을 끌어올 수 있는 명확한 방향은 제시하지 않았다.

2015-10-28 17:50:33 송병형 기자
기사사진
박원순 "서울역고가 공원화 사업, 힘든 점 있지만 해야해"

박원순 "서울역고가 공원화 사업, 힘든 점 있지만 해야해"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은 2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언론사 사회부장단과의 간담회에서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을 관철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박 시장은 경찰 등과의 의견으로 사업이 지연된 것과 관련, "감사원도 요청했듯 연말까지는 (차량 통제) 조치를 해야 한다는 것은 경찰도 인정한다"며 "다만 보완을 요청하는 것이고 국토교통부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여러 가지 논의가 있지만 상판도 떨어지고 위험성이 있어 결국은 (사업을) 안 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 그 과정에 힘든 점도 있지만 최선을 다해 설명하니까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12월 말에 고가의 차량 통행을 제한하려면 이른 시일 안에 협의가 마무리돼야 한다며 "5개의 교통 개선 대책을 갖고 있는데 2개는 통과됐고 나머지 3개도 실무진에선 합의됐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서울역 고가를 보행도로로 전환하더라도 출퇴근시간을 기준으로 차량흐름이 7분 정도 늦어지는데 그칠 것이라며 청계천 복원 후 교통량이 4배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또 런던 템스강, 일본 요코하마 개항의 거리 등 외국 도시의 보행자 친화 정책을 사례로 들며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는 시내 한가운데에선 누구나 자동차를 안 타고 걸어 다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자는 큰 철학이며, 서부지역 대개발도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10월 한 달간 '일자리 대장정'을 떠난 것과 관련, 박 시장은 "몇 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는지 계산하기보다는 미스매칭을 줄이고 노동권을 보장하는 등 현실을 알아야 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날 양재·우면 연구개발지구를 방문해 새누리당 소속인 조은희 서초구청장과 공감한 것을 언급하며 최근 한전부지 공공기여 문제로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신연희 강남구청장을 겨냥, "같은 '희 자매'인데 서로 다르다. 당이 달라도 일자리 등 협력할 것은 해야 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2015-10-28 17:47:4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朴·아베, 내달 2일 첫 정상회담…1일 한일중 정상회의

[메트로신문 유선준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내달 2일 서울에서 첫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또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내달 1일 청와대에서 한일중 3국 정상회의를 2012년 5월 이후 3년 만에 재개한다. 김규현 외교안보수석은 28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가 박 대통령 주재 하에 1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수석은 "박 대통령은 한일중 3국 정상회의 계기에 아베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 관계 발전 방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 취임 이후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올해 3월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의 국장 참석 때와 지난해 11월 베이징(北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등에 아베 총리와 만나 환담했으나 회담을 한 적은 없다. 양국 정상이 머리를 맞대고 현안을 논의하는 것도 2012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 간의 회담 이후 3년5개월여만이다. 이에 따라 첫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한일관계 진전의 모멘텀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특히 그동안 일본의 거듭된 과거사 도발로 양국 관계가 경색됐던 만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서 아베 총리의 진전된 입장이 나올지 주목된다. 김 수석은 한일정상회담 의제와 관련,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한일 양국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내달 1일 한일중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한다고 공식발표했다. 한일중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6번째이지만, 이번 회의는 우리 정부의 주도로 2012년 5월 이후 3년 5개월여만에 재개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 수석은 3국 정상회의이 공동 합의문 채택 여부와 관련, "3국 정상회의가 열리면 공동성명이 채택돼 왔다"며 "이번에도 3국 정상회의 결과로 채택하기 위해서 외교적 교섭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오는 31일 중국의 리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갖는 만큼 한중 정상회담(31일)→한일중 정상회의(11월1일)→한일 정상회담(11월2일)으로 이어지는 정상외교 일정을 소화함으로써, 이번 기회에 동북아 3국 협력 체제 복원 구상을 본격적으로 진전시켜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2015-10-28 16:40:13 유선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Shin Dong-Bin, kept his word.

[Global Korea]Shin Dong-Bin, kept his word. Shin Dong-Bin, the chairman of Lotte, unraveled more than 80% of the cross-shareholding loops among the subsidiaries. Lotte said on the 27th that from the end of August for 2 months 349 cross-shareholding loops, which accounts for 84% of the total amount of the loop(416) in the company, have been removed. The market expect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mpany would increase since the governance structure has been improved. Rest of the cross-shareholding loops will be cleaned up in the process of listing hotel Lotte, removing cross-shareholding of Lotte Shopping and converting the holding company system. On the 28th of August, Shin purchased 19 thousand stakes (35 billion, 758 million won) at his own expense in order to remove 34%(140 loops) of the cross-shareholding loops. On the same day, he also removed 209 of the loops (50.2%) by purchasing its 3 subsidiaries' stocks including Lotte hotel and Lotte Shopping. Wall Street believes that Lotte should find ways to improve governance structure in its subsidiaries. Getting Hotel Lotte listed on the stock exchange would be the start of it. Shin said "We expect to spend 7 trillion won on the conversion of holding company system" "I will carry forward initial public offering (IPO) so that the shareholder constitution could be diversified"./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신동빈, 약속지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롯데그룹 계열사 간 순환출자고리의 80% 이상을 끊었다. 롯데그룹은 27일 8월 말 이후 약 2개월 동안 기존 416개의 순환출자고리 중 약 84%(349개)를 해소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에서는 롯데 지배구조가 한층 투명해지면서 시장의 신뢰도 두터워 질 것으로 보고 있다. 나머지 순환출자 고리는 호텔롯데 상장, 롯데쇼핑 순환출자 해소, 지주회사 전환과정에서 풀릴 가능성이 커졌다. 우선 지난 8월 28일 신 회장은 사재를 털어 롯데제과 주식 1만9000주(종가 기준 357억5800만원 규모)를 사들여 순환출자 고리 34%(140개)를 한꺼번에 끊었다. 이어 이날 호텔롯데가 롯데쇼핑 등 3개 계열사 보유주식을 매입해 209개(50.2%) 고리를 추가로 없앴다. 롯데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방점은 지주회사에서 찾아야 한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그 시작은 호텔롯데의 상장이다. 신 회장은 지난 8월 지배구조 쇄신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그룹의 지주회사 전환 비용으로 7조원을 예상한다"며 "한국 롯데의 지주회사인 호텔롯데의 주주구성이 다양해질 수 있도록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1028000158.jpg::C::480::}!]

2015-10-28 16:39:50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