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용산 서부이촌동 주택 사업 속도…'용적률 최대 300%'로 재건축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 이후 지지부진하던 서부이촌동 일대의 주택 재정비사업이 최대 300%의 용적률을 적용받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9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도시개발구역에서 해제된 서부이촌동 지역을 포함시키는 내용 등이 담긴 '용산 지구단위계획(서부이촌동) 결정안'을 통과시켰다고 10일 밝혔다. 서부이촌동은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구역으로 사업이 추진되다 2013년 구역 해제되면서 손해를 입은 지역이다. 주민간 갈등이 빚어지며 대책마련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이에 서울시는 2013년 10월 현장시장실을 시작으로 주민설명회 5차례, 블록별 주민간담회 15차례 등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서부이촌동 도시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지난 8월 발표했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는 그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하고 실행하기 위한 법정계획으로 서부이촌동 전체 차원의 체계적인 도시 관리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기존 이촌아파트지구에서 해제된 중산시범아파트, 이촌시범아파트, 미도연립 등 3곳을 구역에 포함시키고, 인근 단독주택 밀집지역을 포함한 재건축 대상지역을 3개의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앞으로 주민 의사에 따라 정비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용도지역은 철도정비창 개발 등 여건 변화와 한강변 관리기본계획상 한강변 토지이용 복합화 실현을 위해 특별계획구역에 한해 준주거지역까지 상향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특별계획구역은 한강변 주거지 관리를 고려해 용적률을 최고 300%까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중산시범은 높이 30층 이하(남산 7부능선 이상 조망구간은13층 이하), 이촌시범과 미도연립은 35층 이하로 각각 재건축된다. 다만 정비계획 수립 때 임대주택 제공 등 공공성 확보하면 용적률은 추가 허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위원회는 또 불합리한 도시계획시설을 재정비하고 부족한 생활서비스시설은 특별계획구역 개발을 통해 문화체육시설, 공원 등을 확충토록 했다.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 사업이 무산되면서 붕괴된 주민공동체 회복과 주민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주민과 서울시가 지속적으로 소통해 계획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체계적인 도시 관리와 함께 공동체 회복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5-12-10 09:55:39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박승준 건설공제조합 이사장 "고객중심·소통경영·사업다각화 주력"

박승준 건설공제조합 이사장이 9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취임식 후 첫 기자간담회를 통해 고객 중심, 소통 경영, 사업 다각화에 주력할 것임을 밝혔다. 박 이사장은 이날 "올해 최대 수준의 조합원 배당과 보증수수료·융자이자율·공제요율 인하 등 친조합원 경영정책을 폈다"며 "내년에도 고객 중심경영과 소통경영을 확대하고 공제사업 상품 다양화, 사업확장 등 사업 다각화에도 나서겠다"고 말했다. 건설공제조합은 최근 고객 중심 소통 경영의 일환으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데스크포스(TF)를 구성해 미시·거시경제 분석에 나섰다. 박 이사장은 "자체적으로 경제 예측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조합원은 일부 대형사에 불과하다"며 "중소 조합원의 경영과 재무안정을 위해 경제전망과 정보자료를 주기적으로 발송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건설공제조합은 조합원과의 공식·비공식 접점 행사를 늘리고 소통 채널도 다양화하는 등 조합원과 조합이 상생할 수 있는 경영환경 조성에도 힘쓴다. 박 이사장은 "현재 우수한 실적을 거둔 공제상품을 다양화해 추가적인 수익창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특히 해외보증·공제 등 조합원을 위한 새로운 사업을 적극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건설공제조합은 조직 내 성과평가 제도를 개선하는 등 조직혁신을 추진 중이다. 연공서열 문화에서 벗어나 하위직급 직원에게도 역량에 따라 과감히 권한과 자격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2015-12-09 15:38:05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GS건설, 10일 광명역세권 '광명역파크자이2차' 견본주택 개관

GS건설이 10일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세권 택지개발지구 주상3블록에 공급하는 '광명역파크자이2차'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나선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0층 8개동, 아파트 1005가구와 오피스텔 437실 규모로 구성된다. 아파트는 전용면적 59~124㎡(펜트하우스 포함), 오피스텔은 전용 22~36㎡다. GS건설은 광명역파크자이2차 공급으로 광명역파크자이1차(아파트 875가구, 오피스텔 336실)와 함께 2653가구의 대규모 자이타운을 형성하게 됐다. 단지는 전가구를 판상형 위주로 배치해 통풍과 채광이 좋으며 전용면적 84㎡ 이하 중소형 평형이 전체의 약 82%를 차지한다. 광명역세권지구내 유일하게 새물공원 조망이 가능한 펜트하우스(전용 124㎡)가 조성되며 주부들의 동선을 고려한 'ㄷ'자형 주방배치, 타입에 따라 광폭거실, 알파룸, 서재 등을 갖춘 다양한 평면 설계가 적용됐다. 오피스텔은 타입별로 1인 가구에 적합한 스튜디오형, 실거주로도 손색 없는 1.5룸형을 배치해 폭넓은 임차인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1차 단지에는 적용되지 않은 오피스텔 입주민 전용 피트니스센터가 조성된다. 이근영 GS건설 광명역파크자이2차 분양소장은 "광명역파크자이2차는 1차 단지에서 검증된 입지와 브랜드 프리미엄에 더해 상품성을 강화했다"며 "올해 광명역세권에서 마지막으로 공급되는 주거시설인 만큼 희소성도 높아 좋은 반응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청약은 14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6일 1순위, 17일 2순위가 진행된다. 23일 당첨자 발표 후 계약은 28~30일 실시된다. 오피스텔은 15~16일 이틀간 견본주택에서 청약을 받으며 17일 당첨자 발표 후 18일까지 계약이 진행된다. 견본주택은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273-1 KTX광명역 동편 6번 출구 인근에 마련된다. 입주는 2018년 12월 예정이다.

2015-12-09 14:53:55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올해 주택거래량 110만건…2006년 이후 역대 최대

올해 전국 주택거래량이 110만건을 돌파했다. 지난 2006년 108만2000여 건을 넘어선 역대 최대 기록이다. 연말까지 주택거래량은 120만건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1~11월 누적 주택거래량은 110만582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0% 증가했다. 10월까지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100만5000여 건을 넘어선 데 이어 통계작성 이후 최대기록까지 경신했다. 11월까지 누적 주택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56만8467건, 지방 53만7353건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33.9%, 9.8% 늘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75만2612건으로 16.8%, 연립·다세대주택 19만9126건으로 34.0%, 단독·다가구주택 15만4082건으로 27.1% 증가했다. 11월 한 달 주택거래량은 9만7813건으로 지난해보다 7.4% 많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4만939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늘었다. 특히 서울 주택거래량은 1만8040건으로 지난해보다 29.1% 늘었고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만 떼어놓고 보면 2792건 거래돼 전년에 비해 34.9% 증가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6만4841건, 연립·다세대주택 1만8697건, 단독·다가구주택 1만4275건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0.2%, 29.5%, 20.0% 늘었다. 전국 주요 아파트단지 실거래가는 강남권 재건축 단지와 수도권 일반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남 대치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79㎡의 실거래가는 10월 9억9000만원에서 11월 10억2000만원으로 올랐고 개포 주공1차 아파트 전용 41.98㎡도 8억원에서 8억500만원으로 가격이 뛰었다. 강동 둔촌 주공3차 아파트 전용 96.75㎡는 실거래가가 7억7600만원에서 7억6250만원으로 떨어졌고 도봉 창동 주공4차 아파트 전용 49.94㎡는 2억1550만원에서 2억1300만원으로 실거래가가 떨어졌다. 분당 서현 시범우성아파트 전용 75.90㎡는 5억800만원에서 5억1800만원, 수지 죽전 힐스테이트 아파트 전용 85.00㎡는 4억300만원에서 4억1700만원으로 올랐으며 분당 금곡 청솔 아파트 전용 36.54㎡는 2억6500만원의 실거래가를 유지했다.

2015-12-09 14:37:50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KCC건설, 10일 '도룡 KCC웰츠타워' 오피스텔 견본주택 오픈

KCC건설은 10일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일대에 공급하는 도룡 KCC웰츠타워 오피스텔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오피스텔은 지하 4층~지상 19층 2개동 전용면적 26~66㎡ 272실로 구성된다. 주택유형별로 ▲26㎡ 68실 ▲51㎡ 68실 ▲62㎡ 120실 ▲66㎡ 16실이다. 오피스텔은 호텔식 로비로 설계했으며 세대간 커뮤니티 공간과 비즈니스용 회의실은 별도로 제공된다. 일부 세대에 테라스를 적용했으며 조망도 확보했다. 세대별 수납공간을 지하주차장 옆에 설치해 공간활용도를 높였다. 3층에는 정원을 운영할 예정이다. 개발호재와 배후수요를 갖춘 것도 특징이다. 단지 인근에는 1조 3357억원이 투입되는 엑스포 과학공원(59만2494㎡)이 2021년까지 조성된다. 엑스포공원 부지에는 2018년까지 신세계 컨소시엄 주도로 복합멀티플렉스와 쇼핑시설이 들어선다. 2019년까지는 무역 전시관 부지 2만 9195㎡에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로 국제전시컨벤션센터가 건립된다. 단지 인근에는 TBJ 대전방송국, 대전 MBC, DCC 대전컨벤션센터, 롯데시티호텔, ICC 컨벤션 등이 있다. 2017년과 2021년에는 기초과학연구원본원이 각각 1차와 2차가 완공될 예정으로 연구원 유입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견본주택은 대전시 유성구 봉명동 1016-1(유성온천역 1번 출구)에 있다.

2015-12-09 14:01:40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로얄층 아니어도 괜찮아요"…서울도 지방도 재건축·재개발 '붐'

분양가 상한제 폐지로 사업 탄력 받아 강남권 청약 몰리며 최대 수혜지 부상 내년에도 서울에서만 6700여가구 공급 올해 재건축·재개발 시장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라는 호재를 만나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았다. 정부는 지난 4월 민간택지 건설 주택에 대해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을 골자로 하는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을 본격적으로 시행했다. 이에 4월 1일부터 분양 승인을 신청한 민간택지 내 아파트 단지는 분양가 심의 절차 없이 분양가를 임의대로 정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청약 호조세와 맞물려 분양가 상승과 물량 공급 확대로 이어졌다. ◆분양가상한제 폐지로 재건축 인기 9일 부동산 정보 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전국 72곳에서 재건축·재개발 아파트 6만7730가구가 공급됐다. 이 가운데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일반 공급 물량은 2만9193가구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6곳, 부산 12곳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곳은 총 공급량이 9510가구에 달했던 송파헬리오시티(일반분양물량 1558가구)와 일반 분양 물량이 1584가구로 가장 많았던 e편한세상 신촌이었다. 이는 부동산 경기가 오랜만에 호황을 보인 것도 원인이지만 지난 4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된 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4분기 3.3㎡당 928만원이었던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분양가상한제 폐지 이후 2·4분기 963만원, 3·4분기 999만원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강남권은 이보다 상승세가 더 뚜렷하다. 3.3㎡당 분양가격이 4000만원을 넘어서 곧 5000만원을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청약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때보다 높았다. 이달 초 계약이 실시된 '삼성동 센트럴 아이파크'와 '송파 헬리오시티'는 계약 접수 불과 일주일 만에 완판됐다. '송파 헬리오시티'는 1216가구 모집에 4만1908명이 청약 접수하는 등 12년 만에 서울에서 최다 청약자가 몰렸으며 '센트럴 아이파크'도 81가구 모집에 2557명이 몰려 평균 31.5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 마감됐다. 업계 관계자는 "재건축·재개발 아파트 단지는 도심이나 강남권 업무지역으로의 접근성이 좋은 데다 교통, 교육, 편의, 공원 등 생활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어 수요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예전에는 재건축·재개발 단지에 조합원이 중소형을 우선 배정받는 경우가 많아 중소형 물량이 적었지만 최근에는 조합이 분담금을 줄이기 위해 중소형 평형대도 공급하는 추세"라며 "갈아타기나 내집마련 계획을 고려하는 수요자라면 비수기를 틈타 청약에 나서보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서울 재건축·재개발 물량 주목 재건축·재개발 공급은 시장 비수기임에도 내년 1월까지 서울지역에서만 6761가구가 신규 공급된다. 지난해 분양 물량보다 3.5배 늘어난 수치이며 내년 재건축·재개발 분양 예정 물량의 81%에 달한다. 업계는 분양시장 호황과 소형의무비율 폐지, 조합설립기준 완화, 기부채납 현금 납부 등 규제완화와 우수한 아파트 입지 여건 등이 흥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물산은 내년 1월 서울 광진구 구의 1구역을 재건축한 '래미안 구의 파크스위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10~23층, 12개동, 전용면적 59~145㎡ 854가구 규모로 구성된다. 이 중 502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지하철 5호선 아차산역이 도보권에 있고, 올림픽대교-광나루로를 통해 강남, 강북 도심권 출퇴근이 용이하다. 단지 주변에 어린이 대공원, 구의 야구공원, 아차산체육공원 등이 갖춰져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대림산업은 다음달 서울 서초구 잠원동 한신5차 아파트를 재건축한 '아크로리버뷰'를 공급할 계획이다. 단지는 지상 35층, 5개동, 59~84㎡ 595가구 규모이며 이 중 41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지하철 3호선 잠원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고, 7호선 반포역, 고속터미널역과도 가깝다.

2015-12-09 13:46:1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인사] 대우건설, 홍기표 부사장 등 임원 17명 정기 승진

대우건설은 9일 부사장 1명, 전무 5명, 상무 11명 등의 정기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참신한 리더십과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젊은 인재를 중용해 조직 활성화와 해외사업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는 게 대우건설의 설명이다. 또 해외사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맞추어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조직을 개편했다. 대우건설은 해외 토목과 건축 부문을 통합해 해외인프라 사업본부를 신설하고, 글로벌관리본부 신설을 통해 해외사업의 심의·계약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두바이에 메나(MENA, Middle East North Africa,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합성어)지원본부를 신설해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 수주·금융·기술지원 업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다음은 정기 임원 승진 명단이다. ◆ ▲홍기표 ◆ ▲서병운 ▲김창환 ▲양동기 ▲지홍근 ▲백종현 ◆ ▲장윤섭 ▲은희범 ▲조찬형 ▲유동규 ▲김원호 ▲김재호 ▲장승규 ▲정영수 ▲윤정남 ▲김성환 ▲서대석 ◆신규 보임 ▲플랜트발전부문장 부사장 홍기표 ▲경영지원본부장 전무 소경용 ▲해외인프라사업본부장 전무 성현주 ▲RM본부장 전무 양혜석 ▲MENA지원본부장 전무 김남철 ▲전략기획본부장 전무 이훈복 ▲기술연구원장 전무 박용규 ▲HSE-Q본부장 전무 서병운 ▲건축사업본부장 전무 김창환 ▲주택사업본부장 전무 양동기 ▲토목사업본부장 전무 지홍근 ▲발전사업본부장 전무 백종현 ▲글로벌관리본부장 상무 김상렬 ▲외주구매본부장 상무 서복남 ▲플랜트사업본부장 상무 김영후 ▲경영진단실장 상무 조성진

2015-12-09 13:45:27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주택실수요자 10명 중 3명 "내집 마련은 내년초나 2018년 이후가 적당"

주택 실수요자 10명 중 3명은 2018년 이후가 내 집 마련하는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했다.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는 지난 1∼6일 만 20세 이상 실명인증 회원 1179명을 대상으로 내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29.9%가 주택 구매 최적기로 2018년 이후를 꼽았다고 9일 밝혔다. 이어 ▲내년 1∼3월(23.2%) ▲2017년(13.2%) ▲내년 4∼6월(11.7%) ▲내년 10∼12월(11.6%) ▲내년 7~9월(10.3%) 순으로 나타났다. 내년 아파트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은 67.1%로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 32.9%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아파트 매매가가 올해보다 3%대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답변이 25.1%로 가장 높았고 ▲2% 이상 상승(16.1%) ▲1%대(13.9%) ▲1% 미만(12%) 순으로 이어졌다. 아파트 전셋값은 내년에 3% 이상 오를 것으로 답변이 47.5%로 절반에 가까워 전세난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년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지역(3곳 복수응답)으로는 용인이라는 응답이 47.6%로 가장 많았고 ▲파주 35.7% ▲대구 30.2%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에 미칠 가장 큰 변수로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인상이라는 답변이 27.5%로 가장 많았고 ▲주택 공급과잉 22.2% ▲주택담보대출 규제(20.6%)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10.3%) 순이었다. 내년에 투자할 만한 주택 상품은 분양 아파트라는 응답자가 27.5%로 가장 많았고 ▲기존 아파트 22.9% ▲재건축 18.4% ▲재개발 10.4% 순으로 나타났다.

2015-12-09 09:37:30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