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국내 건설사, 5조원대 쿠웨이트 정유공장 공사 수주

현대·대우·SK건설 등 5곳 알주르 프로젝트 계약 하루 61만5000 배럴 생산 [메트로신문 박상길기자] 현대건설, 대우건설, SK건설, 한화건설, 현대중공업이 쿠웨이트 국영정유회사(KNPC)로부터 46억 달러 규모의 알주르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NRP)를 수주했다. 이들 5개사들은 13일 쿠웨이트 KNPC본사에서 각 프로젝트 수주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NPR프로젝트는 수도 쿠웨이트시티에서 남쪽으로 90㎞떨어진 알주르 지역에 초대형 정유공장을 짓는 공사다. 총 사업비는 140억 달러(약 16조1560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 공장은 하루에 61만5000배럴의 저유황을 생산하게 된다. KNPC는 이 프로젝트를 총 5개 패키지로 나눠 발주했다. 이중 국내 건설업계가 수주한 금액은 46억 달러(약 5조3084억원)다. 1번 패키지는 한화건설, 2·3번 패키지는 대우건설이 현대중공업 등과 공동사업체(joint venture)를 구성해 수주했다. 5번 패키지는 SK건설과 현대건설이 따냈다. 한화건설은 스페인의 테크니카스 리유니다스(TR), 중국의 시노펙(SEG)과 컨소시엄을 이뤄 1번 패키지를 수주했다. 수주액은 42억3000만달러(약 4조8814억원)다. 한화건설의 지분은 10%로 4억2300만달러(약 4881억4200만원)다. 1번 패키지는 원유 정제를 위한 첫 과정인 상압 증류·수첨탈황 시설 건설 공사다. 대우건설이 수주한 2·3번 패키지 규모는 57억6000만달러(약 6조6470억원)다. 대우건설은 현대중공업, 플루어와 EPC(설계·구매·시공)을 공동수행한다. 대우건설 지분은 약 20억2000만 달러(약 2조3222억원)규모로 전체의 35%에 이른다. 공사기간은 착공 후 41~45개월로, 공사기간 단축에 따른 인센티브가 지급되는 형식이다. SK건설은 현대건설, 이탈리아 사이펨과 공동사업체(joint venture)를 구성해 수주했다. 수주한 5번 패키지는 15억 달러(약 1조7500억원)규모의 해상유류 출하시설 공사다. 공사금액은 SK건설이 지분의 30%인 4억5000만 달러(약 5250억원), 현대건설이 40%인 6억 달러(약 7000억원), 사이펨이 30%인 4억5000달러(약 5250억원)다. SK건설은 해저공사를, 현대건설은 해상공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공사기간은 45개월, 2019년 준공 예정이다.

2015-10-14 13:46:27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11월 전국 아파트 2만698가구 입주…10월 절반 수준 '뚝'

[메트로신문 박상길기자] 11월 아파트 입주 물량이 10월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14일 부동산114(대표 이구범)에 따르면 11월 전국의 아파트 입주물량은 전국 2만698가구로 집계됐다. 10월과 비교했을 때 41.7%(1만4813가구) 줄어든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7.2%(1만1804가구) 감소한 5764가구, 지방은 16.8%(3009가구) 줄어든 1만4934가구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서대문구 북아현동 아현역푸르지오 940가구와 송파구 장지동 위례아이파크 1차 400가구 등 1506가구가 공급된다. 아현역푸르지오는 지하 5층~지상 20층 16개동 전용면적 34~109㎡ 규모다. 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이대역이 가깝다. 단지 인근에는 안산공원과 효창공원, 남산공원 등이 있다. 전용 59㎡ 매매는 5억~5억8000만원, 전세는 4억5000만~4억8000만원이다. 위례아이파크 1차는 지하 3층~지상 24층 6개동 규모다. 전용 87~128㎡로 구성된다. 지하철 8호선 장지역과 복정역이 가깝다. 전 가구 남향 위주로 배치되며 송례중과 거원중교 등이 주변에 있다. 전용 87㎡ 매매는 6억9000만~7억원, 전세는 5억~5억5000만원이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창곡동 위례힐스테이트 621가구, 성남시 백현동 판교알파리움 1·2단지 931가구 등 4258가구가 공급된다. 위례힐스테이트는 지하 2층~지상 14층 14개동으로 구성된다. 위례신도시 A2-12블록에 들어서며 인근에 8호선 복정역과 신성역이 있다. 전용 110㎡ 매매는 8억3000만~8억5000만원, 전세는 5억3000만~5억7000만원대다. 판교알파리움은 서희·두산·GS·롯데건설 컨소시엄으로 판교신도시에 공급한다. 1단지는 지하 2층~지상 19층 5개동, 2단지는 지하 2층~지상 20층 5개동 규모다. 판교역과 판교IC가 가깝고 판교 제8호공원과 화랑공원이 있는 등 주변 환경이 좋다. 전용 96㎡ 매매는 9억~9억5000만원, 전세는 7억5000만원 수준이다. 지방에서는 1만4934가구가 공급된다. 부산에서는 동래구 명륜동 명륜 아이파크2차 1·2단지 등 2744가구, 대구에서는 대구테크노폴리스힐데스하임 670가구 등 1117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명륜아이파크2차는 명륜2구역을 재개발한 단지다. 1단지는 지하 4층~지상 30층 18개동, 2단지는 지하 4층~지상 30층 5개동 규모다. 부산 지하철 1호선 명륜역이 가깝다.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등 편의시설이 있다. 전용 84㎡ 매매는 4억3000만~4억9000만원, 전세는 3억5000만~3억6000만원대다. 대구테크노폴리스힐데스하임은 지하 2층~지상 22층 10개동 규모다. 단지 주변에 대구비슬초등학교와 포산중학교가 내년 개교를 앞두고 있다. 계명대와 테크노폴리스, 중앙공원 등이 가깝다. 전용 84㎡ 매매는 2억5670만~2억6170만원, 전세는 1억6000만원 수준이다. 이외에 지역별 입주물량은 ▲경남 3752가구 ▲충남 1901가구 ▲강원 1164가구 ▲경북1054가구 ▲충북 968가구 ▲전남 874가구 ▲전북 763가구) ▲광주 309가구 ▲울산 288가구 순이다.

2015-10-14 13:44:12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계속되는 서울 엑소더스…경기도 아파트 '인기'

8월 전국 5182건 거래량 중 경기도 3159건 달해 기반시설 풍부한 고양시·남양주시·용인시에 몰려 [메트로신문 박상길기자] 서울 외곽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서울 엑소더스'가 확연해지면서 경기도 아파트 매매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13일 국토교통부의 8월 '관할 시도외 서울 거래량'(서울 사람들이 다른 지역에 아파트 거래를 한 거래량을 나타냄)을 보면 전국 5182건 중 경기도가 3159건으로 가장 많다. 경기도 지역별로는 고양시가 436건으로 가장 많고 남양주시 377건, 용인시 280건, 김포시 225건, 성남시 187건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세 정도로 내집 마련이 가능한 경기도에 수요층이 몰리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나 남양주시, 용인시 등은 기반시설이 풍부하고 교통이 편리해 서울과 접근성이 좋아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2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는 3.3㎡당 1191만원으로 경기 아파트 평균 3.3㎡당 매매가 962만원보다 229만원이나 비쌌다. 이에 고양시와 남양주시, 용인시, 김포시 등의 이달 공급 물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효성은 10월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일대 '용인 기흥 효성해링턴 플레이스'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 바로 앞에 청곡초등학교가 있어 교육 여건이 좋다. 단지 주변 숲이 있고 청명산이 조망되는 동시에 등산로 이용도 가능하다. 또한 반경 2km 내외 거리에 기흥호수공원과 영통체육문화센터, 태광CC 등과 수원영통지구, 흥덕지구, 기흥역세권이 있어 자연과 문화, 쇼핑 및 레저 등의 인프라가 좋다. 아파트는 지하 5층~지상 26층 17개동 규모이며 전용면적 73~123㎡ 1679가구로 구성된다. 분당선 상갈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수원IC, 청명IC, 흥덕IC가 가까워 경부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42번 국도 이용이 수월하다. 효성·진흥기업은 16일 경기 남양주시 별내지구 B2블록에서 별내신도시 최초의 테라스하우스인 '별내 효성해링턴 코트'의 견본주택을 개관한다. 단지 바로 앞에는 별가람초등학교가 있으며 별가람중학교와 별내1고(가칭)도 가까워 도보를 통한 통학여건이 좋다. 또한 약 6만5000여㎡ 규모의 역사문화공원이 단지와 맞닿아 있고 덕송천과 체육공원, 근린공원도 단지와 가까워 녹지와 자연공간을 만끽할 수 있다. 단지는 307세대 규모며 용적률 90% 미만의 저밀도 주거단지로 설계돼 쾌적하다. 주택형은 실수요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전용 84㎡ 단일면적 8개의 타입으로 구성된다. 대우건설은 10월 고양시 삼송지구 주상복합용지 1블록 일대 '삼송 원흥역 푸르지오'를 공급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 지상 35~38층 4개동 규모이며 전용면적 기준 ▲72㎡ 66가구 ▲84㎡ 178가구 ▲91㎡ 206가구 등 451가구 규모로 이뤄진다. 김포 한강신도시 내에서는 이 달 두 개 단지 분양이 진행된다. 이랜드건설은 한강신도시 Ab-12블록에서 전용 72~84㎡로 구성된 전체 550가구의 복합단지 이랜드 타운힐스를 공급한다. 한신공영도 전용 59~84㎡형의 중소형으로 구성된 924가구 규모의 테라스타운 '운양역 한신휴 더 테라스'를 분양할 계획이다. 이달 Bc-08블록과 Bc-09블록에서 416가구를 선보이며 Bc-11블록과 Bc-12블록에서 508가구가 순차적으로 분양된다.

2015-10-13 18:21:43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수직 증축 리모델링 추진 단지 집값 2~3배 '껑충'

[메트로신문 박상길기자] 수직 증축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아파트 값이 수직 상승하고 있다. 추진 단지 중 일부는 최근 1년 새 20% 이상 몸값이 뛰는 등 리모델링 수직증축에 대한 수익 기대감이 고스란히 시세에 반영됐다. 13일 부동산114(대표 이구범)에 따르면 리모델링 추진 단지는 2013년 허용계획이 발표되기 전 주변시세와 비슷한 가격 흐름을 보이다 같은 해 하반기부터 리모델링 수직증축에 대한 기대감이 시세에 반영되기 시작해 지난해 6.18%, 올해 8.19%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같은 시기 수도권 평균이 ▲2014년 2.21% ▲2015년 4.36%인 점을 감안할 때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은 평균시세 대비 2~3배나 몸값이 뛴 셈이다. 개별 단지의 매매가를 보면 상승폭은 더욱 두드러진다. 현재 리모델링 '추진위' 단계인 서울 성동구 옥수동 '극동' 아파트는 지난해 4월 25일 대비 4500만원~1억500만원 상승해 최고 27.63%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광진구 광장동 '워커힐', 강서구 가양동 '한강', 양천구 신정동 '쌍용', 강남구 개포동 '대치·대청'은 매매가가 4500만~1억원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는 현재 '추진위' 단계인 성남시 정자동 '정든우성' 전용면적 48.84 ㎡는 5500만원 상승해 20.9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군포시 '세종주공6단지', 수원시 '동신3차', 안양시 '목련 대우·선경·우성3단지' 아파트는 2250만~6000만원 가량 매매가가 올랐다. 일각에서는 리모델링 단지의 단기간 시세 상승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공인중개사들은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에 따른 기대감으로 진입한 수요층도 상당하지만 지은 지 15~20년된 아파트단지는 실제 거주를 목적으로 들어오는 수요들도 상당해 리모델링에 대해 반대하는 경우도 많다"며 "리모델링 추진과 관련돼 주민들 사이의 찬반 의견이 분분해져 사업추진의 불확실성도 덩달아 높아지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과거 성공사례가 많은 재건축사업과 달리 리모델링 수직증축은 관련 법 시행 초기여서 수익성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리모델링 기대감으로 단가간에 급등한 단지들의 경우라면 기대감이 실망으로 바뀌는 시점에 '숨 고르기'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단기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신규 진입은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13년 4·1대책을 통해 리모델링 수직증축에 대한 허용 계획을 최초 발표한 이후 지난해까지 관련법을 정비하고 같은해 4월 25일부터 리모델링 수직증축을 전면 허용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가구수 증가분은 기존 가구수의 15% 이내에서 가능하며 15층 이상 공동주택은 최대 3개층, 14층 이하는 최대 2개층까지만 수직증축을 허용했다.

2015-10-13 18:21:07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