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대우건설 해외 마케팅, 효과 '만점'

대우건설이 외국인 및 해외동포를 대상으로 활발한 부동산 판촉 활동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 거주 중인 외국인을 위해 외국어가 가능한 상담인력을 따로 배치하는가 하면, 반대로 해외에 살고 있는 동포를 찾아 먼 길을 달려가기도 한다. 29일 대우건설에 따르면 지난 23일 문을 연 '용산 푸르지오 써밋' 견본주택에 영어와 중국어권 사용자를 위한 외국인 전용 상담 부스를 마련했다. 또 견본주택에서 수시로 진행되는 프리젠테이션도 한국어와 영어로 진행 중이다. 해당 단지가 외국인들의 선호도가 높은 용산에 위치했다는 점을 감안, 언어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그들을 수요층으로 흡수하겠다는 계산에서다. 실제, '용산 푸르지오 써밋' 견본주택 개관 이래 약 30팀 정도의 외국인이 분양 상담을 받고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실거주를 위해 가족 단위로 방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관사로 이용하려는 대사관이나 외국계 기업의 문의도 더러 있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오피스텔 당첨자 중 확실하게 파악된 외국 이름만 5명이고, 한국계 외국인이나 중국인까지 포함하면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2012년과 2013년 대우건설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분양한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와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시티'는 업계에서 보기 드물게 해외에 마케팅팀을 꾸린 것으로 유명하다. 인천국제공항과 가까운 국제도시에 짓는 아파트와 오피스텔인 만큼, 해외에서도 충분한 수요를 끌어올 수 있다고 판단한 것. 이에 미국을 찾아 뉴욕과 LA를 돌며 수차례의 투자설명회를 개최했고, 그 결과 초기 각각 60여 가구와 60여 실의 해외 판매에 성공했다. 김근옥 부동산플래너 팀장은 "2010년 부동산 투자이민제 도입 이후 외국인들이 국내 부동산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앞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외국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분양전략이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5-29 15:37:16 박선옥 기자
공인중개사 60% "분양시장, 하반기에도 상반기와 비슷"

전국 공인중개사 10명 중 6명은 하반기 분양시장도 상반기와 비슷한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자사 회원 중개업소 공인중개사 535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분양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는 의견이 59.8%(320명)로 가장 많았다고 29일 밝혔다. 다음으로 '상반기보다 나쁠 것'이라는 답변이 21.5%(115명)로 뒤를 이었고, '상반기보다 좋을 것'은 18.7%(100명)로 나타났다. 최근 분양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몰리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당첨 이후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라는 응답이 38.3%(205명)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기존 주택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분양가' 22.4%(120명), '가수요 증가에 따른 착시효과' 17.9%(96명), '새 아파트 공급 부족에 따른 희소성 증가' 13.1%(70명), '신평면 도입으로 거주 편리성 증가' 8.2%(44명) 순이었다. 분양시장 1순위 마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는 '개발호재'를 선택한 응답률이 32.3%(173명)로 가장 높았으나 '분양가'와 '교통'도 각각 31.2%(167명), 23.0%(123명)로 비교적 많은 선택을 받았다. 반면, '브랜드' 6.9%(37명), '교육' 4.3%(23명), '평면' 2.2%(12명) 등은 상대적으로 답변 비율이 낮았다. 하반기 수도권 분양 유망지역(2개 선택)으로는 '강남 재건축' 27.4%(293명), '강남 보금자리' 22.0%(235명), '위례신도시' 18.5%(198명) 등 강남권이 우선적으로 꼽혔다. 이어 '강북 재개발' 12.6%(135명), '동탄2신도시' 9.9%(106명), '택지지구' 9.6%(103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 분양 유망지역을 묻는 질문에는 '혁신도시'가 30.7%(328명)로 가장 많았고, '구도심 재건축·재개발' 22.1%(237명), '세종시' 20.0%(214명), '산업단지 인근' 15.0%(161명), '택지지구' 12.1%(130명) 순으로 선택됐다. 상반기 '혁신도시'와 '구도심 재건축·재개발'의 인기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마지막으로 미분양은 42.1%(225명)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전세가 상승, 분양시장 활황으로 더 줄어들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31.8%(170명), '건설사의 분양 물량 쏟아내기로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26.2%(140명)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설문의 조사 기간은 5월 21~28일까지이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 ±0.61%p다.

2014-05-29 11:09:43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GS건설, 상도10구역 '상도파크자이' 6월 분양

GS건설이 서울 동작구 상도10구역을 재개발한 '상도파크자이'를 내달 분양한다. 지하 2층, 지상 25층, 7개동, 전용면적 38~84㎡, 총 471가구 규모다. 이 중 ▲71㎡ 3가구 ▲72㎡ 7가구 ▲84㎡ 85가구 등 95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상도파크자이가 들어설 상도동 일대는 강남권 배후 주거지로 최근 2~3년간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동작구 중앙부에 위치한 곳이다. 강남구청, 학동, 반포 등을 잇는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이 단지 바로 앞에 있고, 1·9호선 노량진역도 반경 1km 이내다. 단지 주변으로 양화초, 영등포중·고, 동작시립도서관이 있으며, 인근 노량진동 대부분이 뉴타운으로 지정돼 향후 개발 진행시 흑석·신길뉴타운과 함께 여의도 및 강남 생활권 주거타운으로의 변모가 기대된다. 전체 사업부지 40%에 가까운 약 1만2534㎡ 규모의 단지외 공원을 갖춰 도심 내 아파트로는 보기 드문 녹지공간과 조망권을 확보했고, 단지 내 중앙광장을 비롯해 총 6곳의 휴게공간을 마련했다. 커뮤니티시설 자이안센터에는 피트니스센터 및 독서실 등이 들어선다. 장석봉 상도파크자이 분양소장은 "전 세대 선호도가 높은 85㎡ 이하 실속평면과 단지 내 대규모 공원을 갖춘 도심 속 공원 같은 아파트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견본주택은 마포구 합정동 서교자이갤러리에서 6월 13일 오픈할 예정이다.

2014-05-29 10:47:44 박선옥 기자
국토부, 건물 '에너지' 관리…일부개정안 공포

국토교통부는 그린리모델링 사업지원 및 효율적 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등의 내용을 담은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일부개정안이 지난 20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28일 공포되며 오는 2015년 5월28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6가지다. 먼저 국토부는 건축물 외벽 등에 유리 사용이 많아 여름철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어, 냉방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차양 설치 등 효율적 일사 차단기준 근거조항을 마련한다.(세부기준은 9월까지 마련 예정) 또한,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향상을 위해 단열재·방습층과 지능형 계량기(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등 에너지절약형 건축설비의 설치를 강화한다. 두번째는 건축물 에너지소비 증명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 보완이다. 그동안 건축물 매매·임대 시 거래계약서에 에너지 사용량 등이 표시된 에너지평가서를 첨부토록 했으나, 앞으로는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부동산 포털 등에 공개하여 소비자가 건축물 거래 전에 가격과 함께 성능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세번째는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절약을 위해 에너지 소비량을 공개하고, 효율이 낮은 건축물은 에너지 효율 및 성능개선을 요구한다. 네번째는 녹색건축·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건축물대장 기재를 통해 국민들이 건축물 거래 시 에너지 성능정보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번째는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기금 조성 등 제로금리수준의 다양한 금융지원 근거가 마련된다. 또한 민간금융을 활용한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사업계획서 검토, 기술지원, 사업자 등록·관리·교육, 홍보 등 그린리모델링 업무를 총괄하는 전문기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 민간자격으로 운영되던 자격제도를 객관성 및 공정성 강화를 위해 국가자격으로 전환하고, 건축물에너지평가사 자격 신설을 위한 시험시행주체 및 자격증 발급주체 등 자격시험에 대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것 등 6가지다.

2014-05-28 17:31:23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