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분양실적, 수도권 ‘늘고’ 지방 ‘줄어’
2013년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가 전년 대비 2만 가구 이상 증가했다. 반면, 지방은 1만 가구 가까이 감소했다. 순위 내 마감 단지도 수도권이 큰 폭으로 늘어난데 반해 지방은 줄었고, 동일 지역 안에서도 청약 성적이 엇갈리며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396개 단지, 22만9195가구가 일반분양됐다. 2012년 422개 단지에서 21만850가구가 선보인 것과 비교해 1만8345가구 증가한 물량이다. 특히 수도권에서 전년 6만292가구보다 무려 2만7899가구나 늘어난 8만8191가구가 공급됐다. 경기도 6만676가구, 서울 1만8566가구, 인천 8949가구 순이다. 전국 시·도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쏟아진 경기도에서는 동탄2·위례 등 신도시 물량을 비롯해 하남미사·성남여수·시흥목감·수원호매실·부천옥길 등 보금자리 공급이 많았다. 다만, 성남과 하남에서 분양된 단지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미달돼 희비가 엇갈렸다. 서울은 위례신도시, 마곡·세곡2·내곡·신내3·천왕2지구 등 신도시·택지지구를 포함해 재개발·재건축 등에서 골고루 분양이 이뤄졌다. 강남권 택지지구 및 재건축 단지 대다수가 1순위 마감에 성공한 것과는 달리, 가재울·왕십리뉴타운 등 비강남 물량은 상당수 미달됐다. 인천은 구월동 아시아드선수촌을 제외하면 뚜렷한 성적을 보여 준 단지가 없었다. 특히 GCF, WB 등의 유치 호재가 이어진 송도국제도시는 2300여 가구가 공급돼 모두 순위 내 마감에 실패했다. 지방은 2012년 15만558가구에서 2013년 9554가구 줄어든 14만1004가구가 공급됐다. 충남이 2만1206가구가 공급 물량이 가장 많았고, 이어 대구 1만8849가구, 경북 1만6903가구, 세종 1만3297가구, 경남 1만2338가구가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충남에서는 천안·아산지역 위주로 물량이 쏟아졌다. 하지만 1순위 마감된 단지는 1곳에 불과했으며 순위 내 마감에 실패한 단지도 적지 않았다. 반면, 대구와 경북은 1순위 마감 단지가 각각 10곳, 7곳이나 나왔다. 나머지 단지들도 대부분 순위 내 마감에 성공해 뜨거운 청약 열기를 나타냈다. 한편, 지난해 전국에서 순위 내 마감을 기록한 단지 수는 전년 대비 2곳 증가한 169곳으로 파악됐다. 수도권이 29곳에서 59곳으로 30곳 증가한데 반해 지방은 138곳에서 110곳으로 28곳 감소했다. 월별 공급량을 살펴보면 10월이 4만9857가구로 가장 많았다. 9월 추석 영향으로 10월에 물량이 집중됐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 취임 직전이었던 1~2월은 계절적 비수기 탓에 각각 2870가구, 3344가구가 공급되는데 그쳤다. 상반기(8만3635가구) 보다는 하반기(14만5560가구)에 물량이 집중됐다. 이는 4.1대책, 8.28대책 등의 발표 후 정책 불확실성이 제거된 이후 분양에 나선 건설사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