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4년 연속 1위
삼성물산이 건설사 국토교통부의 시공능력평가에서 4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공사 실적과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2017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 실적?경영상태?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 평가하여 매년 공시(7월말)하여 8월 1일부터 적용되는 제도다. 발주자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입찰제한을 할 수 있고 조달청의 유자격자명부제, 도급하한제 등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토목건축공사업 부문에서는 삼성물산이 16조5885억원으로 1위에 올랐다. 삼성물산은 2014년 이후 4년 연속으로 1위를 지켰다. 2위는 지난해에 이어 현대건설(13조7106억원)이 차지했으며 이어 3위는 대우건설(8조3012억원) ▲4위 대림산업(8조2835억원) ▲5위 포스코건설(7조7393억원) ▲6위 GS건설(7조6685억원) ▲7위 현대엔지니어링(6조8345억원) ▲8위 현대산업개발(6조665억원) ▲9위 롯데건설(5조4282억원) ▲10위 SK건설(4조6814억원) 등이 10위권에 올랐다. 올해 토목건축공사업의 시공능력평가 총액은 231조6000억원으로 전년(225조5000억원)에 비해 소폭(2.7%) 증가했다. 항목별로는 실적평가액의 경우 주택경기 호조가 이어져 전년(84조6000억원)에 비해 5.3% 증가한 89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경영평가액은 전년 대비 13.2% 증가한 77조2000억원을, 신인도평가액은 소폭(2.8%) 증가한 12조7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기술평가액은 기술개발투자비 인정범위 축소로 12.9% 감소한 52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종합건설업의 업종별 공사실적 순위를 보면, 토건 분야는 삼성물산이 8조2823억원, 현대건설이 7조4783억원, 대우건설이 6조7849억원을, 토목 분야는 삼성물산이 2조5544억원, 현대건설이 2조1926억원, 대우건설이 1조9019억원을 기록했다. 건축 분야는 삼성물산이 5조7278억원, 현대건설이 5조2856억원, 대우건설이 4조8830억원을, 산업·환경설비 분야는 삼성엔지니어링이 5조606억원, GS건설이 4조4622억원, SK건설이 4조 2340억원을 기록했다. 조경 분야는 제일건설이 794억원, 대우건설이 776억원, 삼성물산이 703억원을 기록했다. 공종별 실적순위를 보면 토목업종 중 도로는 현대건설(1조 2590억원), 삼성물산(8943억원), 대우건설(8181억원) 순이다. 댐은 SK건설(2231억원), 삼성물산(1316억원), 대림산업(884억원) 순이고 지하철은 삼성물산(9034억원), GS건설(5404억원), SK건설(2573억원) 순이다. 상수도는 쌍용건설(635억원), 코오롱글로벌(632억원), 대우건설(532억원) 순, 택지용지 조성은 대우건설(3106억원), SK건설(2194억원), 한화건설(1761억원) 순이다. 건축업종 중 아파트는 대우건설(3조4380억원), GS건설(3조1242억원), 대림산업(2조6842억원) 순이고, 업무시설은 대우건설(6657억원), 현대건설(6590억원), 삼성물산(6250억원) 순이다. 광공업용 건물은 삼성물산(2조6833억원), 삼성엔지니어링(9962억원), 현대엔지니어링(8716억원) 순이다. 산업·환경설비업종 중 산업생산시설은 GS건설(2조4483억원), SK건설(2조1633억원), 삼성엔지니어링(1조749억원) 순이다. 화력발전소는 삼성물산(1조8346억원), 현대중공업(1조6376억원), 두산중공업(1조4728억원) 순이며, 에너지저장·공급시설은 대우건설(7437억원), 삼성엔지니어링(5906억원), GS건설(5696억원) 순이다. 이번 시공능력평가를 받은 건설업체는 총 5만7682개 기업으로 전체 건설업체 6만4848개 기업의 88.9%다. 개별 건설업체 대한 자세한 평가 결과는 업종별 건설협회 누리집이나 대한건설협회(www.cak.or.kr), 대한전문건설협회(www.kosca.or.kr),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www.kmcca.or.kr), 대한시설물유지관리협회(www.fma.or.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