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올해 서울 청약자 16만명…전년 대비 2배 증가

2015 서울 분양 시장 총결산 "분양시장 올해만 같아라" 부동산 업계가 올 한 해를 보내며 한 말이다. 올해 아파트 분양시장은 공급이나 흥행 면에서 어느 해 보다 좋았다. 1일 부동산 114자료에 따르면 11월 현재 서울에 나온 새 아파트는 4만1387가구(총 가구기준, 주상복합 포함)다. 지난해 3만156가구와 비교하면 1만 가구 이상(37%) 늘었다. 그리고 같은 기간 청약자는 16만2577명으로 지난해 6만6371명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송파구 > 성동구 > 서대문구 순으로 공급 많아 올해 서울에서 아파트 공급이 가장 많았던 곳은 9510가구를 공급한 송파구다. 올해 송파 헬리오시티 1곳밖에 선보이지 않았지만 워낙 단지규모가 크다 보니 가장 아파트 공급이 많은 곳으로 기록됐다 이어 공급이 많았던 곳은 9344가구를 공급한 성동구였다. 지난 3월 '왕십리뉴타운 3구역 센트라스 1차'를 시작으로 '왕십리 자이', '힐스테이트 금호', 'e편한세상 신금호' 등 8개 단지가 쉼 없이 쏟아져 나왔다. 이외에 서대문구 3436가구, 강서구 3039가구, 동대문구 2357가구, 은평구 1485가구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대문구와 은평구의 경우는 아현동 재개발과 은평 뉴타운 등에서 공급이 많았다. 서울지역 내 아파트 공급이 가장 적었던 곳은 광진구로 307가구에 불과했다. ◆재개발·재건축 공급 본격화 올 한해는 부동산 시장 경기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재개발·재건축사업 물량 공급이 많았다. 11월까지 서울에 선보인 43개 단지 가운데 32개 단지가 재개발·재건축 아파트였다. 32개 단지 가운데 24개 단지가 강북 재개발 지역에서 공급됐을 만큼 강북을 중심으로 한 재개발 지역의 아파트 공급이 두드러졌다. 대표 단지는 길음2구역 재개발 아파트인 '래미안 길음 센터피스' 2352가구와 북아현뉴타운 1-3구역 재개발 아파트 'e편한세상 신촌' 1910가구다. 이같은 열기로 연말까지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에 나서는 단지가 적지 않을 전망이다. 삼성물산은 12월 '래미안 베라힐즈'의 본격 분양에 나선다. 견본주택은 종로구 운니동 래미안갤러리 3층에 마련될 예정이다. 총 세대 수는 1305가구이며, 이 중 337가구가 일반분양된다. GS건설은 같은 달 반포한양아파트를 재건축한 '신반포자이' 견본주택을 개관한다. 607가구 규모이며 이중 153가구가 일반분양된다. SK건설은 연말 '휘경SK VIEW'를 분양한다. 휘경뉴타운 재개발 아파트로 900가구 중 369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호반건설도 같은 달 서울 첫 공급물량인 '송파 호반베르디움 더 퍼스트' 220가구 분양에 나선다.

2015-12-01 14:30:04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올해 주택시장, '맘심+동심' 잡는 교육 단지 열풍

통학 걱정 없고 명품 학군 갖춰져 생활 인프라에 자연 환경도 쾌적 # 경기도 용인에 사는 백모씨(34)는 최근 초·중·고교가 단지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를 새로 분양 받았다. 아이의 안전한 등하굣길이 보장되는 단지를 알아보던 백씨는 단지 주변으로 학교가 많고 학원가도 잘 형성돼 있어 한시름 덜었다. 최근에는 6000만~8000만원의 웃돈이 붙어 연일 싱글벙글이다. 올해 주택 시장에는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열풍이 불었다. 최근 2년 간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가 100건 이상 늘자 학군과 가까운 학주 근접 단지에 대한 학부모 수요층의 관심은 높았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으로 12년이라는 적잖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학부모 수요층은 자녀 교육이 끝날 때까지 한곳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국내 자가 가구 평균 거주 기간은 11.2년으로 교육과정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도보권에 학교가 갖춰지지 않으면 어린 자녀는 직접 바래다줘야 하므로 출퇴근으로 바쁜 아침저녁에 따로 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적잖게 걸리는 통학 때문에 자녀의 안전사고나 범죄 위험 노출 가능성 등 심적 부담 요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집값에도 고스란히 반영돼 걸어서 통학권인 단지는 보다 높은 가격을 주고서라도 장기간 거주하려는 수요층이 많아 웃돈 프리미엄이 형성됐다. ◆아파트도 '맹모삼천지교' 지난 3월 공급된 '왕십리뉴타운 센트라스'는 더블역세권 단지로 교통망이 좋은 것과 함께 도보통학 아파트라는 점이 장점이다. 성동고와 한양대부속고, 한양대가 가까우며 1단지에는 초등학교 1곳, 3단지에는 고등학교 1곳이 신설될 예정이다. 현재 '왕십리뉴타운 센트라스' 분양권은 평균 4000만~6000만원 정도 프리미엄이 붙었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에 따르면 전용면적 84㎡형 분양권은 평균 6억2000만~6억8000만원, 59㎡형은 5억1000만~5억5000만원 선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왕십리 뉴타운 센트라스' 분양가는 ▲59㎡ 5억1000만원 ▲84㎡ 6억3000만원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신고된 분양권 거래 추이를 봐도 알 수 있다. 전용 84㎡형 분양권은 10월 6억3920만~6억8000만원에 거래가 이뤄졌고 59㎡형은 5억740만~5억3990만원 수준에 거래됐다. 청약에서도 인기는 확인할 수 있다. 포스코건설이 울산 남구 대현동에 공급한 '대현 더샵'은 단지 바로 옆에 용연초와 야음중, 대현고 외에도 반경 500m 내에 7개 초·중·고가 있는 학군 프리미엄에 1순위 청약에서만 최고 452.5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주택형 마감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교육시설이 단지 가까이 있게 되면 안전통학이 보장되고 학원가도 밀집해 교육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아진다"며 "인근 단지에 비해 시세가 높고, 전세 수요가 두터워 대기 수요가 탄탄하게 뒷받침돼 학부모 수요층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연내 분양단지 어디? 연말까지 새로 분양되는 물량 가운데 단지 인근에 교육 여건을 갖춘 곳이 속속 공급된다. 충남 서산시에는 라온건설이 12월 '서산 라온 프라이빗' 분양에 나선다. 충남 서산시 석림동 792번지에 들어서는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8개동 전용면적 59~84㎡, 569가구 규모다. 도보로 약 5분 거리에 서림초와 석림초, 서산중, 서산여중, 서산여고 등 학군이 밀집돼 있다. 또한 단지 주변에 어린이집과 유치원, 충남서부평생학습관도 있어 자녀의 안전한 통학환경이 보장된다. 분양 관계자는 "유치원에서 초, 중, 고교에 이르기까지 단지 내 학군이 몰려 있어 안전한 통학 환경에 자녀를 둔 학부모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학교 주변에는 유해시설이 없고 공원이 많아 주거환경도 쾌적하다"고 설명했다.

2015-12-01 11:18:36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포스코건설, 필리핀서 1조 규모 발전소 공사 수주

포스코건설이 필리핀에서 1조원 규모의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 포스코건설은 1일 오전 필리핀 마닐라에서 미국 AES사의 필리핀 현지 발전 자회사인 MPPCL과 마신록 석탄화력발전소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AES사는 세계 18개국에서 3만4732메가와트(㎿)규모의 발전소를 운영하는 미국 발전회사다. 마신록 발전 프로젝트는 필리핀 정부가 최근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공사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북서쪽으로 약 250km 떨어진 잠발레스주 마신록 지역에 600MW 규모의 초임계압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이다. 공사기간은 착공 후 38개월이다. 초임계압 석탄화력발전소는 물이 끓는 과정 없이 바로 증기로 변하는 수준의 압력(225.65㎏/㎠)과 온도(374℃)로 증기를 발생시켜 사용하므로 기존 발전방식보다 효율이 높고 연료소비나 이산화탄소 발생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2013년 3월부터 이 프로젝트의 정보를 입수하고 필리핀의 전력수요를 파악해 수주 활동을 전개한 결과 지난 달 발주처로부터 낙찰통지서를 받은 뒤 계약에 성공했다"며 "발주처와의 지속적인 신뢰관계 속에서 맺어진 결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지난 2006년 AES가 발주한 칠레 벤타나스 석탄화력발전소를 수주하면서 국내 건설사 최초로 중남미 에너지플랜트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AES와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캄피체, 앙가모스, 코크란 등 현재까지 칠레에서만 4개의 석탄화력발전소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2015-12-01 11:18:07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LH, 아스팔트 포장 없는 친환경 단지 조성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아스콘 포장 사용빈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그린주차장·자연형 도로공법'을 내년 2월 준공 예정인 대구옥포 B-1블록에 시범 적용한다. 아스콘과 고압블록으로 포장된 아파트 지상주차장과 단지내 도로를 잔디 등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 기술이다. 온실가스 줄이기 국민실천운동 '그린 스타트'의 실현 방안으로 개발됐다. 기존 아스콘 포장은 집중호우와 열섬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아스콘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가 다량 발생해 저탄소 녹색성장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LH는 그린주차장·자연형 도로공법을 적용하면 녹지공간이 늘어나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H가 소비하는 연간 약 4만5000톤의 아스콘 사용을 줄임으로써 약 1200톤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비용상으로도 신공법에 쓰이는 콘크리트, 블록 등의 자재가 기존의 아스콘보다 저렴해 연간 약 203억원의 원가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LH는 내년 2월 준공 예정인 대구옥포 B-1블록 공공임대주택에 시험시공을 추진하고 3월에는 전주반월지구 영구·국민임대주택 실시설계에 반영하는 등 신공법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신공법은 국내 적용사례가 없어 표준화된 자재·공법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LH는 표준화된 자재·공법개발을 추진하되 중소기업을 포함해 중소기업 육성·상생발전도 동시에 추구한다는 방침이다. LH 관계자는 "그린주차장·자연형 공법은 친환경·원가절감형으로 입주민에게는 쾌적한 녹지, 중소기업에는 기술개발 기회를 준다"며 "내년 하반기 자재공법 개발을 완료해 조속히 확대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5-11-30 14:56:12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