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하반기 재건축·재개발 주요 분양 단지는 어디?

올해 청약 경쟁률 1~3위 모두 재건축·재개발 단지서 나와 안산·춘천 등 총 1만5천가구 이상 대기 중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지난해 9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 유예 등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면서 올해 재건축·재개발 분양 열풍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서울 강남 등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이들 사업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청약경쟁률 상위 1~3위는 모두 부산과 대구에서 분양된 재개발ㆍ재건축 단지에서 나왔다. 지난 4월 포스코건설이 부산 수영구 광안맨션을 재건축하는 '광안 더샵'의 경우 91가구 모집에 3만4496명이 몰려 379대1의 평균 경쟁률로 기록했다. 이어 GS건설이 지난 6월 공급한 해운대구 우동6구역 재개발 사업지인 '해운대자이2차는 36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3위는 대구 동구 신천동 재건축 단지인 '동대구 반도유보라(273대 1)였다. 청약경쟁률 외에도 예정단지 매매가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대구 북구 복현동 재건축 예정 단지인 '시영 1차'아파트의 전용면적 52㎡와 40㎡ 상반기 매매가는 올 상반기에만 각각 54.9%·52.9% 올랐다. 같은 재건축 예정 단지인 '시영 3차'의 전용면적 40㎡는 28.3%, 수성구 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대구지역 상승률보다 최고 6배, 전국 평균보다는 20배가량 높은 수치다. 하반기에도 전국에 공급되는 재건축·재개발 분양은 총 1만5781가구(일반분양 7344가구)에 달할 예정이다. 수도권에서는 안산에서 대거 물량이 쏟아진다. 대표적인 단지는 대우건설이 7일 견본주택을 개관하는 '안산 센트럴 푸르지오'다. 안산 주공2단지를 재건축한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7층 7개동, 전용면적 84~115㎡ 990가구 규모로 일반분양은 540가구다. 도보로 약 500m 거리에 지하철 4호선 중앙역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사업이 추진 중인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가장 큰 수혜를 받는 단지로 꼽힌다. 롯데건설은 오는 11월 초지동 군자주공5단지를 재건축한 '초지동 롯데캐슬'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전체 469가구 중 일반분양분은 75가구다. 안양에서는 한양이 건설하는 안양2동 안양 청원아파트 재건축 단지가 대기 중이다. 전용면적 59~114㎡, 419가구 중 일반분양은 188가구다. 춘천에서는 일성건설이 오는 10월 후평2단지 재건축 단지를 분양한다. 총 1123가구 중 일반분양분은 473이다. 12월에는 삼호가 '춘천 약사 e편한세상'(일반분양분 562가구)를 공급한다. 대구에서는 현대건설이 이달 중 '힐스테이트 황금동'(일반분양분 281가구)를 분양한다. 10월에는 대림산업의 '대구 대신e편한세상'(일반분양분 328가구)이, 12월에는 화성산업의 '남산역 화성파크드림'(일반분양 358가구)과 효성의 '대구범어동 효성해링턴플레이스'(일반 분양 46가구)가 각각 대기 중이다. 분양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는 이미 생활·교통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곳에 위치해 내 집 마련보다 기존에 집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새 집으로 갈아타려는 잠재수요도 많다"며 "상반기 서울 뿐 아니라 지방 재개발·재건축 단지의 인기를 발판으로 하반기에도 많은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15-08-07 16:29:26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대림산업, 용인 남사지구 단지명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로 확정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대림산업은 오는 10월 분양하는 용인 남사도시개발사업구역의 단지명을 'e편한세상 용인 한숲시티'로 확정했다고 7일 밝혔다. 사용된 '한숲'은 사명인 '대림(大林)'의 우리말이자 기업의 주거철학인 '한숲정신'에서 따왔다. 대림산업은 이어 오는 8일 사업부지 내 현장 전망대를 개관한다. 단지 내 조성되는 750m 길이의 스트리트몰을 미리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특수 컨테이너를 이어 붙여서 베이커리, 카페, 편의점 등을 운영한다. 이 밖에도 오픈 당일 현장전망대 방문 고객 중 추첨을 통해 1등 49인치 TV, 2등 드럼세탁기, 3등 제습기, 4등 제빙기, 5등 아이스박스 등을 제공한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쾌적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대림산업의 주거철학에 따라 이 단지를 살기 좋은 아파트로 만들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며 "단지명에 사명을 직접 사용하기까지 많은 고민이 있었던 만큼 대림산업의 자존심을 높일 수 있는 e편한세상 브랜드의 16년 노하우가 집약된 최고의 단지로 지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단지는 총 7400가구(일반분양분 6800가구)의 신도시급 대단지다. 전용면적별 가구 수는 ▲44㎡ 686가구 ▲59㎡ 1470가구 ▲65㎡ 150가구 ▲84㎡ 3752가구 ▲90㎡ 407가구 ▲97㎡ 311가구 ▲103㎡ 24가구다.

2015-08-07 09:31:49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레이더]박삼구, 금호산업 인수 호반건설보다 싸게?

[부동산레이더]금호산업 매각 최대 변수는 '우선매수청구권' 박삼구 회장과 채권단 가격차 4300억원에 달해 박 회장, 협상 실패해도 추후 우선매수청구권 활용가능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금호산업 매각가격을 두고 박삼구 금호그룹 회장과 채권단 간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채권단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해 1조200억원에 매각하겠다는 입장인데 비해 박삼구 회장은 호남건설이 지난 5월 입찰당시 제시했던 가격보다 낮은 5900억원을 매입가격으로 제시했다. 양측의 매각액 차이는 무려 430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박 회장 측이 우선매수청구권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6일 투자은행(IB)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금호산업 매각주관사인 KDB산업은행과 박 회장 측은 지난 4일 실무협상을 진행했지만 양측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채권단은 다음달 중에 최종가격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는 '경영권 프리미엄'에 대해 격론이 벌어졌다. 앞서 금호산업 채권금융기관협의회 운영위원회는 지난달 23일 지분 매각 협상 가격을 주당 5만9000원으로 확정했다. 이 가격은 삼일회계법인과 안진회계법인이 책정한 금호산업의 기업가치 주당 3만1000원에 경영권 프리미엄 90.3%(2만8000원)이 추가된 액수다. 이 운영위원회는 미래에셋, 산업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국민은행, 대우증권 등으로 구성됐다. 이중 가장 많은 지분과 의결권을 보유한 미래에셋(지분율 8.55%)은 주당 최소가격 6만원을 제시했다. 업계에서는 미래에셋이 이번 매각으로 그간 입은 금호산업의 손실분을 만회해야 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래에셋은 지난 2006년 금호산업이 대우건설을 인수할 때 6100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금호산업은 3년 후인 2009년 말 대우건설 주가가 3만2576원을 이하일 경우 투자자금에 연 9%(복리) 이자를 붙여 매입하겠다(풋백옵션)고 약속했다. 그러나 금호그룹이 경영위기에 빠지자 미래에셋은 7300억원 중 4600억원만 돌려받았다. 나머지 2700억원은 주당 11만원에 금호산업 주식으로 대신 받았다. 결국 미래에셋 입장에서는 박삼구 회장이 주장하는 5900억원에 매각할 경우 투자금 2700억원 중 1900억원의 손실을 보게 된다. 반면, 박 회장 측은 1조원 이상의 매각 가격은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채권단의 요구는 지난 5월 본입찰에서 단독 응찰한 호반건설(6007억원)보다 가격차이가 크기 때문. 당시 채권단이 매각을 위한 공정가치 평가를 위해 내세운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도 6000억원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박 회장이 10월까지 결정해야 하는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 회장이 우선매수청구권을 포기한다면, 채권단은 오는 10월부터 6개월간 제3자 공개 매각을 추진해야 한다. 다만, 제3자 매각에 실패 시 박삼구 회장의 우선매수청구권은 되살아난다. IB업계 관계자는 "채권단과의 매각가격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박 회장 측이 우선매수청구권을 포기할 수도 있다"며 "8000억원대에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도 있지만 양측의 줄다리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5-08-06 19:11:02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중흥건설, 이달 중 '대구테크노폴리스 중흥S-클래스' 분양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중흥건설은 이달 중 대구테크노폴리스 A13블록에 '대구테크노폴리스 중흥S-클래스'를 분양한다고 6일 밝혔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2층 11개동 총 710가구 규모다.전용면적별로는 ▲99㎡ 568가구 ▲111㎡ 138가구 ▲126㎡ 4가구 등으로, 모든 가구가 중대형이다. 단지가 들어서는 첨단과학도시인 대구테크노폴리스는 주거와 교육, 상업, 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5만명 규모의 자족도시로 조성된다. 대구경북 경제자유구역(DGFEZ) 내 726만9000㎡ 규모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이공계대학, 첨단기업 등 우수한 연구·개발(R&D) 기반시설이 유치된다. 오는 12월이면 2단계 사업이 준공된다. 단지 인근에 초중고등학교 예정부지가 있다. 대구수목원도로를 통해 대구 도심 진입이 수월하다. 현풍IC를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바로 앞은 헌풍천이 흐르고 3만8000㎡규모의 수변공원인 비슬구천공원과 맞닿아 있다. 만유인력공원과 뫼비우스공원, 아폴로공원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아파트 내부는 모든 가구에 4-베이(Bay) 혁신평면설계를 적용해 통풍과 채광을 극대화했다. 알파룸 제공으로 넓은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견본주택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쌍계리 628번지에 마련될 예정이다.

2015-08-06 19:10:03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올 상반기 국내건설 수주액 50조4천억원…전년 比 49%↑

재건축 등 민간 부문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재건축·재개발 등 민간 대형 공동주택 발주가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국내건설 수주액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대한건설협회가 조사한 국내건설수주 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수주액은 73조909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48.8% 증가한 수치다. 이 기간 민간부문은 50조4627억원을 기록해 1년 전보다 80.5% 늘었다. 민간 토목부문의 경우 기계설치, 철도궤도(민자)의 호조로 전년 대비 20.1% 증가했다. 민간 건축은 신규주택, 재건축?재개발 등 전 주거용 부문에서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102.6%↑). 사무실, 공장 등 비주거부문(69.6%↑)도 호조를 보임에 따라 전년동기보다 89.2% 증가했다. 공공부문은 23조447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8.1% 늘었다. 공공 토목의 경우 도로교량과 댐 수주는 감소했지만, 발전송배전, 항만·공항, 철도궤도 등의 호조로 전년 동기보다 22.6% 증가했다. 공공 건축은 주거용과 비주거용 모두 부진하며 전년동기보다 21.2% 감소했다. 6월 국내건설 공사수주액은 15조865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4.9% 상승한 것으로,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발주부문별로 보면 공공부문 수주는 5조5954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3.6% 증가했다. 건축공종은 주거부문과 비주거 부문 모두 고른 감소를 보이며 지난해보다 48.5% 감소한 9251억원 기록했다. 민간부문 수주액은 10조2696억원으로 지난해 6월 대비 55.7% 증가했다. 토목은 기계설치, 철도궤도 등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3731억원 증가한 1조1783억원을 보였다. 건축은 주거(60.0%↑), 비주거(52.5%↑) 모두 고른 증가세를 보였고, 주거부문 중 재건축 부문에서 크게 호조를 보여 전년동월대비 57.0% 증가한 9조912억원을 기록했다. 협회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소강상태를 보였던 공공부문이 미뤄왔던 사회간접자본(SOC)예산 집행과 추경물량 집행 가시화로 회복세로 전환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지난달 22일 발표된 가계부채 종합대책에 따라 증가세로 돌아선 미분양주택과 미국 금리인상 등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5-08-06 19:07:05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현대건설, 내달 '힐스테이트 금호' 분양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현대건설은 다음달 서울시 성동구 금호4가 56-1번지 일대에 '힐스테이트 금호'를 분양한다고 6일 밝혔다. 금호20구역을 재개발한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5층, 15개 동, 전용면적 59~141㎡ 총 606가구다. 이중 일반분양분은 73가구다. 일반분양분은 전용면적별로 ▲84C㎡ 10가구 ▲84D㎡ 5가구 ▲114A㎡ 29가구 ▲114B㎡ 14가구 ▲141㎡ 15가구 등이다. 일부 가구는 한강 조망이 가능하고, 응봉산 산책로를 이용할 수 있다. 한강공원, 서울숲을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 압구정 현대백화점과 복합쇼핑몰인 왕십리역 비트플렉스(엔터식스, CGV, 이마트), 롯데마트 행당점 등이 가깝다. 순천향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한양대병원 등 의료시설도 인접해있다. 성수대교와 동호대교를 이용하면 바로 압구정동으로 연결된다. 도산대로와 논현로, 강남대로 등을 통해 서울 강남권(강남·서초·송파)으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지하철 3호선·경의중앙선과 연결되는 옥수역과 금호역(3호선), 신금호역(5호선)도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내에는 중앙 동선을 따라 잔디마당이 설계됐다. 단지 내 단차를 이용한 벽천과 휴식공간이 조성된다. 휘트니스, GX룸(샤워실), 실내골프연습장, 배드민턴장, 썬큰정원, 생태연못, 남녀독서실, 도서관, 동호인실(주민회의실) 유아·어린이 놀이터도 들어선다. 아파트 내부는 전 층의 천장고를 기존보다 50mm 높인 2350mm로 시공한다. 욕실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타일과 바닥 난방이 적용된다. 어린 자녀들의 안전을 위해 자녀 방 가구의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했다. 아이들의 창의력을 길러주는 컬러벽지(컬러테라피)도 도입된다. 전용면적 84C㎡의 경우 판상형 3베이 구조로 설계됐다. 수납공간강화형 선택시 서재, 대형 드레스장(워크인 클로젯 : 걸어들어가 옷도 입고 화장도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전용 114㎡은 침실 4개에 욕실 2개 구조로 안방에 드레스장(워크인 클로젯)이 제공된다. 현대건설 분양 관계자는 "한강변 3대축 중에 하나인 금호동에 들어서는 단지인 만큼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뛰어난 입지와 주변환경에 걸맞는 친환경·안전·가족 중심의 특화단지로 고객들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견본주택은 오는 9월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914-1 힐스테이트 갤러리에 마련될 예정이다.

2015-08-06 19:05:32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저렴한 대형아파트 어디 없나?

지난 상반기 대형 물량 1만1천가구 불과…2010년 이후 최저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올 상반기 분양 아파트 중 대형 면적 물량이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대형 물량에 대한 희소성이 높아지고 있다. 5일 부동산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가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에 분양한 아파트 중 전용 90㎡이상 대형 아파트는 1만1318가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와 하반기에 비해 각각 10.5%, 44.7% 감소한 수치다. 대형 아파트 감소와 함께 면적 대비 저렴한 물량도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지난 5월 분양한 천안 레이크타운 2차 푸르지오 99㎡는 3억4700만원으로, 전용 74㎡(3억140만원)보다 3.3㎡당 평균 분양가가 70만원 이상 저렴했다. 지난달 2일 공급된 세종 한신휴플러스 제일풍경채 L1블록도 전용 75㎡는 3.3㎡당 평균 분양가가 944만원 선에 형성돼 135㎡(781만원)보다 150만원 이상 비쌌다. 이 때문에 대형 아파트 경쟁률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 7월 분양한 '미사강변 더샵 센트럴포레' 전용 93㎡는 49가구 모집에 2992명이 몰려 61대 1로 1순위 마감했다. 반면, 전용 84㎡는 40가구 공급에 625명이 접수해 15대 1로 1순위 마감해 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더 높았다. 하반기에도 희소성이 높은 대형 아파트가 곳곳에서 분양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서초구 반포동 삼호가든4차를 재건축하는 '반포 센트럴 푸르지오 써밋'을 9월 분양할 계획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 사평역이 걸어서 5분 거리로 역세권에 위치해 있다. 서원초, 원명초, 반포고로 도보통학이 가능하다. 전용 59~133㎡의 751가구 중 203가구가 일반 분양이다. 이중 전용 133㎡ 14가구를 일반에 선보인다. 현대산업개발은 8월 서울 강동구 상일동에 고덕주공 4단지를 재건축하는 '고덕숲 아이파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지상 25층 13개동 전용 59~108㎡ 총 687가구(일반 250가구)며, 전용 108㎡는 42가구다. 북측과 남측으로 64만9709㎡ 규모의 명일근린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이 도보 10분 거리로 강남권 출퇴근이 수월하다. 올림픽대로 암사IC와 암사대교, 서울외곽고속도로 상일IC 등의 이용도 쉽다. 이밖에 대림산업은 이달 서울 성동구 금호 15구역에 'e편한세상 센텀포레'(116~124㎡ 48가구)를, GS건설은 광교신도시에 '광교파크자이 더테라스'(전용 107~115㎡ 147가구)를 공급한다.

2015-08-05 18:49:47 김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