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행복주택 임대료, 주변 시세 60~80%에서 결정

행복주택의 임대료가 주변 시세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택지비와 건축비 등 사업비에 비례해 책정되는 기존 국민임대주택의 임대료 체계와는 다른 방식이다. 국토교통부는 9일 행복주택의 임대료를 입지 특성과 입주자 부담 능력 등을 주로 고려해 주변 시세의 60∼80% 선에서 책정하는 방향으로 임대료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입지 특성은 교통·편의시설 등을, 입주자 부담 능력은 행복주택 입주자의 소득·자산 등 경제적 형편을 가리킨다. 통상적으로 국민임대주택 등의 임대료는 건설원가에 기반해 결정된다. 그러나 행복주택은 건설원가를 일부 반영하되 입지 특성을 주로 반영해 임대료를 정하기로 했다. 또 입주자의 소득이나 재산에 따라 임대료를 차등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경우 서울 도심부 등 수요가 많고 교통 여건도 좋은 곳은 임대료가 비싸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싸지게 된다. 국토부는 이처럼 시세에 연동되는 임대료 체계에 기반해 행복주택의 임대료가 시세의 60∼80%선에서 결정되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국토부는 철도 부지에 짓는 행복주택의 토지 사용료를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 보통 국공유지의 토지 사용료는 공시지가의 2.5%, 한국철도공사 부지의 토지 사용료는 토지가액의 0.3∼5% 사이에서 협의를 통해 정하는데, 행복주택의 경우 국공유지는 1%, 철도공사 부지는 0.15∼2.5%에서 협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가좌·동익산역·동래역·광주역 등의 철도 부지에 짓는 행복주택의 토지 사용료가 가구당 월 1만∼5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4-09-09 10:26:01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귀성길, 알짜 분양단지 둘러볼까

정부의 각종 부동산규제 완화 방침과 함께 그동안 분양을 미뤄왔던 알짜 유망 단지들이 추석 이후 대거 쏟아질 전망이다. 올 하반기에는 특히 세종시,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직주근접이 가능하고 개발호재가 많은 지역에서 신규 공급이 예고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방에서 분양하는 물량은 고향에서 돌아오는 길에 현장을 둘러보고 입지 및 실수요 여부 등을 확인해두는 게 좋다"며 "추석 연휴 직후 모델하우스를 오픈하는 단지가 많아 청약 전 현장 확인은 필수"고 조언했다. ◆개발호재 많은 내 고향, 안동·고성 경북 안동시 태화동에서 'e편한세상 안동'이 9월 분양 예정이다. 안동시 최초 'e편한세상' 아파트 단지로, 전용면적 59~71㎡, 421가구 규모다. 안동지역은 내년 경북도청 이전을 앞두고 있으며, 풍산읍 경북바이오산업단지가 90%가 넘는 분양률을 자랑하는 등 꾸준한 인구유입이 기대된다. 한국토지신탁은 경남 고성군 수남리 일대 이달 공급되는 '고성 코아루 더파크'는 전용 59~84㎡, 411가구로 구성됐다. 포스코플랜텍, 가야중공업 등이 입주 예정인 안정일반산업단지가 차량으로 10여분 거리다. 고성군 내 조선산업특구가 조성 중이며, 단지 남측으로는 남포국가어항이 2016년 완공을 예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투자유망 지역, 세종시와 혁신도시 롯데건설과 신동아건설이 세종시 2-2생활권 P1구역에 분양하는 '캐슬&파밀리에'는 총 1944가구, 전용 74~100㎡로 이뤄졌다. 단지 바로 앞에 초등학교 2곳과 고등학교 1곳이, 도보 이동 거리 안에 중학교 1곳이 신설될 예정이다. 초등학교가 인접한 1번 국도에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육교형 보행데크를 설치해 아이들이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혁신도시 개발호재가 있는 강원도 원주에는 중흥종합건설이 '원주혁신 중흥S클래스 프라디움'을 9월 공급할 예정이다. 전용 84~131㎡, 총 850가구 규모다. 원주혁신도시 초입에 위치해 혁신도시의 인프라와 원주도심의 생활편의시설을 모두 이용하기 쉽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상반기 분양 잘 된 고향, 천안·대구·부산 산업단지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상반기 성공적인 분양을 기록한 천안에서는 대우건설이 '천안 레이크타운 푸르지오'를 10월 중 분양할 계획이다. 총 995가구, 전용 62~84㎡로 구성됐다. 성성도시개발구역 첫 분양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성성도시개발구역은 8,300여 가구 대단지 도시개발구역으로 미래가치가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호반건설은 천안시에서 9월에만 2개 단지를 분양 준비 중이다. 아산탕정지구 1블록에서는 '천안 불당 호반베르디움 3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주상복합으로 아파트는 815가구와 오피스텔 560실로 구성됐다. 또 아산탕정지구 A6블록 '천안 불당 호반베르디움 5차'는 전용 60~96㎡, 705가구 규모다. 하반기에만 1만7000여 가구가 쏟아질 부산지역에는 9월 롯데건설이 남구 대연2구역을 재개발하는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를 분양할 예정이다. 총 3149가구 규모의 매머드급 단지로 이 중 1894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대우건설은 같은 달 서구 서대신7구역을 재개발한 '대신 푸르지오' 아파트 959가구(일반분양 597가구)를 내놓는다. 상반기 전국에서 가장 뜨거운 분양열기를 뿜어냈던 대구 지역은 9월 '대구국가산단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가 분양에 나선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첫 민간 아파트로 전체 813가구, 전용면적 68~84㎡로 구성된다. 달성군 세천지구에는 현대BS&C가 선보이는 '북죽고 현대썬앤빌이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65·84㎡, 283가구 규모다.

2014-09-09 10:10:06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7월 건설수주액 8조 1835억…전월대비 20.1% 감소

대한건설협회가 5일 발표한 국내건설 수주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7월 국내건설공사 수주액은 8조 1835억원으로 전년동기(6조 7412억)대비 21.4% 증가했으나, 전월(10조 2404억)대비로는 20.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국내건설수주액을 발주부문과 공종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공공부문 수주액은 2조 1324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5.2% 감소했다. 공종별로는 토목이 치산치수(광주천 수질정화공사, 단장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와 상하수도(진주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설비공사) 및 기계설치(행정중심복합도시 자동크리넷 시설공사) 부분에서 수주가 증가했고, 철도궤도(원주-강릉철도건설, 울산신항 인입철도 노반공사)와 기타 토목시설(군산새만금지구 공급설비 건설공사)도 수주물량이 호조를 보여 전년동월대비 증가(19.4%)했다. 반면 공공건축은 주거용 건축수주가 급격하게 감소(75%↓)한데다, 학교·병원·관공서 물량과 공장·창고 등의 작업용 건물부문의 수주가 부진해 전년동월대비 28.9% 감소했다. 민간부문 수주액은 6조 511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4.7% 증가했으나, 전월대비로는 8.3% 감소했다. 공종별로 살펴보면, 토목공종은 도로교량(제2영동 민자고속도로(증액), 산성터널 민간투자사업) 부문과 발전송전배전(GS 당진4 CCPP, 율촌2 복합화력발전소), 토지조성(원자력 산업단지 토지조성공사, 통영 동원골프장 조성사업) 및 조경(엘림 추모공원 조경공사)부문에서 규모가 큰 수주가 있어 전년보다 1689억원 증가한 5277억원으로 전년대비 47.1% 증가했다. 건축공종도 주거용 중 신규주택(힐스테이트 영동 신축, 오창주상복합 공사)물량의 증가와 함께 사무용(아모레퍼시픽 사옥신축공사) 및 상업용(설악라마다 해양호텔 공사) 건물과 작업용(화성반도체 17라인(증액), 서산현대위아 G프로젝트 신축공사) 및 학교·연구소(송도글로벌대학 캠퍼스 공사, 군포 현대케피코 전자제어 연구시설 신축공사(증액)) 부문의 비주거용 수주물량도 증가세를 보여 전년대비 33.6% 증가한 5조 5234억원을 기록했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올 7월 건설수주는 전년도의 부진했던 실적의 기저효과로 비교적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며, "건설경기가 아직 본궤도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하반기 들어 상반기까지 수주증가를 견인했던 공공부문 수주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인지 우려감이 생기기도 하지만 부진했던 민간부문에서 각종 부동산 대책 등 정책효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면 증가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9·1 주택시장의 활력회복 및 서민주거안정강화방안'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더 지켜보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4-09-05 14:23:08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추석' KTX 무임승차가 더 많은 이유는?

추석 연휴기간 열차 부정 무임승차가 설에 비해 3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민홍철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최근 3년간 명절 연휴기간 발생한 열차무임승차 건수는 2만7150건으로 이 중 1만5959건이 추석 연휴기간에 발생했다. 이는 설 연휴기간 발생한 1만1191건에 비해 30% 더 많은 수치다. 명절 기간 열차무임승차는 2011년 6687건, 2012년 9240건, 2013년 1만1223건으로 2011년 이후 해마다 늘고 있다. 더욱이 최근 3년간 60%가량 급증했으며, 특히 작년 9월 17일은 하루 동안 2094건을 적발해 평일 평균 767건의 2.7배가 적발됐다. 최근 3년 명절기간 동안 부과한 단속액도 5억7570만원에 달했다. 또한 평일 열차무임승차는 2011년 14만7890건, 2012년 20만8975건, 2013년은 28만302건에 달했으며, 2011년에 비해 90%가량 급증해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열차 차종별로는(2013년 기준) 무궁화호 15만9714건, KTX 6만1873건, 새마을호 4만238건, 누리로호 1만8477건이 적발됐다. 노설별로는(2013년 기준) 경부선 17만1347건, 호남선 3만1276건, 장항선 2만7093건, 전라선 1만9259건, 경전선 7151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민홍철 의원은 "PDA를 이용한 선별적 검표이후 부정 무임승차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면서 "코레일에서는 지속적인 캠페인 활동과 검표를 통해 부정승차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14-09-05 10:35:37 김두탁 기자
9월 아파트 입주 1만5천여가구…8월보다 1만가구 줄어

이번 달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1만5000여가구에 그쳐 8월보다 1만여가구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5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9월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국민임대 제외) 입주물량은 23곳, 1만5459가구다. 이는 전달 입주량 2만6194가구보다 1만735가구 감소한 물량이다. 수도권은 8월(8442가구)보다 406가구 늘었지만, 지방은 8월(1만7752가구)에 비해 무려 1만1141가구가 줄어들어 전체 공급량 감소의 원인으로 꼽혔다. 수도권은 이달 10곳에서 총 8848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서울이 5609가구(6곳), 경기 457가구(1곳), 인천 2782가구(3곳) 등이다. 서울에서는 마포구 아현동 아현뉴타운3구역을 재개발한 '마포래미안푸르지오'가 29일 입주를 시작한다. 전용면적 59∼145㎡ 총 3885가구의 대단지로 구성됐으며 서울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5호선 애오개역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더블역세권 아파트다. 경기에서는 남양주시 '도농센트레빌'이 17일부터 입주할 예정이다. 전용 59∼114㎡ 457가구로 이뤄졌으며 중앙선 전철 도농역이 걸어서 10분 거리다. 인천에서는 부평구 부평동 '래미안부평'이 30일부터 입주가 시작된다. 전용 59∼114㎡ 총 1381가구로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선 부평구청역과 인천지하철 1호선 부평시장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지방은 13곳에서 6611가 입주를 시작한다. 충남이 1856가구(3곳)로 가장 많고, 강원 1370가구(2곳), 전남 1029가구(1곳), 제주 871가구(3곳), 경남 812가구(1곳), 광주 315가구(1곳), 세종 190가구(1곳), 대전 168가구(1곳) 등의 순이다. 부동산써브 조은상 팀장은 "추석 연휴 이후부터 가을 이사철로 접어들면서 전세 시장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전세로 내 집 마련을 준비하고 있는 수요자라면 신규 입주 단지들을 위주로 전세 물건을 찾아보는 게 좋다"며 "9·1부동산대책 이후 주택시장 회복세도 감지되고 있으므로 가격 하락 우려가 적은 역세권, 개발호재 지역 위주의 매수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2014-09-05 10:26:08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일신건영, 경남 김해서 '진영신도시 휴먼빌' 분양

일신건영은 이달 경남 김해시 진영읍 진영2지구 4블록에서 '진영신도시 휴먼빌'을 분양할 계획이다. 지하 1층~지상 12층, 12개동, 전체 497가구 규모로, 전용면적 ▲67㎡ 144가구 ▲84㎡A 281가구 ▲84㎡B 72가구로 이뤄졌다. 아파트가 들어설 진영지구는 1·2지구로 나뉘어 조성 중으로, 2005년 1지구가 사업이 완료된 후 2지구가 2006년부터 사업을 시작해 올해 말 조성사업이 완료될 계획이다. 1만2000여 가구, 3만5000여 명의 인구를 수용하는 신도시급 택지개발사업이다. 창원도심을 사이에 두고 진해지역을 연결하는 국도25호선과 김해도심을 연결하는 국도14호선이 가깝다. 이를 통해 창원국가산업단지, 김해테크노밸리, 본산준공업지구, 창원일반산업단지, 진영농공단지, 경원한림공단 등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창원시 도심과 진영지구를 연결하는 동읍우회도로가 올 2월 개통하면서 사실상 창원생활권에 들게 됐다. 경남도청, 창원중앙역 등이 있는 도심권까지 차량 10분대로 이동이 가능해졌다. 단지 주변으로 진영문화센터, 진영삼성병원, 김해 청소년수련관, 종합운동장 등의 편의시설을 갖췄고, 진영금병초교와 진영중교가 도보권 내 위치했다. 또 주천강과 공원이 가깝고, 인근으로 단독주택 부지가 계획돼 높은 건물 없이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일신건영은 입지의 특성에 맞춰 아파트의 개방감을 높이고자 지상 주차공간을 최소화해 조경공간을 확보했다. 이곳에는 다양한 수종을 식재하고 입주민들을 위한 휴게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모델하우스는 김해시 진영읍 진영리 1611-1번지에 마련되며, 9월 말 개관을 준비하고 있다. 입주는 2016년 하반기 예정이다.

2014-09-04 16:46:10 박선옥 기자
8월 청약경쟁률, 서울 '내곡지구' 1위…58대 1

8월에는 1만4875가구가 공급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물량과 비교해 46%, 1만2898가구 줄어든 수치다. 정부가 수도권 청약자격완화와 분양가상한제 탄력운용 등 정책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분양시기를 저울질하며 올해 8월 분양물량은 감소세를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입지와 가격 경쟁력을 갖춘 분양단지들이 시장을 이끌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에서는 ▲서울 서초 '내곡지구2단지·6단지(공공분양)' ▲경기 성남 '위례호반베르디움(A2-8)', 지방은 ▲광주 광산 '첨단지구중흥S-클래스리버시티' ▲대구 달성 '북죽곡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1단지·2단지' 등 전국 총 30개 단지에서 청약 접수를 진행했다. 8월 청약경쟁률 상위 TOP5 살펴보면 ▲1위 서울 서초 '내곡지구2단지(공공분양)' 57.60대 1 ▲2위 서울 서초 '내곡지구 6단지(공공분양)' 45.51대 1 ▲3위 광주 광산 '첨단지구중흥S-클래스리버시티' 31.94대 1 ▲4위 대구 달성 '북죽곡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1단지' 24.77대 1 ▲5위 대구 달성 '북죽곡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2단지' 5.74대 1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권에 랭크된 단지는 모두 전용 85㎡ 이하의 중소형 면적대로 실수요자들의 중소형 아파트 선호가 뚜렷했다. 서울 내곡지구 2단지, 6단지가 청약경쟁률 1, 2위를 차지했다. 이들 단지는 강남권 보금자리주택으로 3.3㎡당 분양가는 각각 1183만원, 1466만원으로 조사돼 민간 아파트 분양가의 절반 수준으로 강남 입성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광주, 대구 신규분양 아파트가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3위를 차지한 광주 광산 "첨단지구중흥 S-클래스리버시티"는 중소형 평면구성 아파트로 최근 광주에 공급된 신규 단지의 3.3㎡당 분양가보다 저렴한 718만원으로 공급됐다. 이는 2014년 평균 분양가와 비교해 37만원 저렴한 수준이다. 대구는 매매 및 전세가격 강세로 분양 열기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청약경쟁률 상위권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지역 미분양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8월 26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미분양 통계(7월 말 기준)에 따르면, 대구의 전월 대비 미분양물량은 377.9%(△1387) 증가한 1754가구로 나타났다. 6월에 7248가구의 분양물량이 쏟아졌고 휴가철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시장에서 물량 소진이 더디게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구지역 9월 분양물량은 4403가구로 공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투자자 및 수요자 입장에서는 주의를 기울여 청약에 참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4-09-04 16:06:49 김두탁 기자
기사사진
추석연휴 문단속, 방범아파트로 해결한다

한가위를 맞아 고향과 가족을 찾는 민족의 대이동이 예고된 가운데, 빈집털이가 기승을 부릴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실제, 설·추석 등의 연휴에는 평소보다 20%가량 빈집털이를 포함한 절도범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절도범들이 유리창을 깨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범필름, 배관을 통한 침입을 막는 철제 가시덮개 등 방범장치들이 인기다. 최근에는 입주민이 따로 범죄 걱정을 할 필요 없는 방범아파트의 선호도도 높아지고 있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단지 내 범죄에 따른 입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각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안전한 아파트가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대우건설은 경남 창원 용원택지지구에 공급하는 '창원 마린 2차 푸르지오'에 세대 현관 앞에 사람이 일정거리 접근하면 자동으로 촬영해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 차량 및 얼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200만 화소급의 CCTV도 단지 내 설치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단지 내 일반아파트보다 4배가량 선명한 화질의 CCTV 설치는 기본이고, 첨단보안시스템을 통해 이중으로 관리할 예정"이라며 "보안 기능에 생활편의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해 입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고 말했다. 포스코건설은 경북 경산시 중산지구 C3블록에 위치한 '펜타힐즈 더샵'에 통합 보안시스템인 '더샵 지키미'를 적용한다. 아파트 단지 출입구부터 세대 출입구까지의 공간을 3단계로 구분해 각 영역별 체계적인 방어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이 서울 서초구 서초우성3차를 재건축한 '래미안 서초'는 현관문에 적용되는 시큐리티 도어록으로 보안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 또 문밖에 수상한 사람이 1분 이상 있을 시 경고음을 발생하며 영상을 녹화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또 이 회사가 영등포구 신길뉴타운7구역을 재개발한 '래미안 에스티움'에는 영상녹화 기능이 추가된 25.4㎝(10인치) 스마트매니저 홈오토메이션시스템(HAS)이 설치된다. 각 세대 내 침입자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 시 자동으로 거실 조명이 켜지고 영상이 녹화된다.

2014-09-04 16:06:12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