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1월 주택사업환경지수 상승 … 시장 정상화 기대감↑

부동산시장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1월 주택사업환경지수가 서울·수도권·지방 전 지역에서 상승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등 규제 완화 기조에 공유형 모기지, 통합정책 모기지 등 금융정책 지원이 맞물리며 실수요자의 시장 진입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치는 서울 117.6, 수도권 104.8, 지방 105.2로 나타났다. 전달과 비교해 각각 7.0포인트, 3.4포인트, 9.0포인트 상승하며 시장 회복 분위기를 반영했다. 12월 전망치 대비 실적치는 서울은 1.6포인트, 지방은 5.6포인트 올랐다. 다만 수도권은 11.4포인트 하락했다. 분양계획지수와 분양실적지수는 지난 12월 대비 각각 14.6포인트, 5.1포인트 상승한 89.9와 92.9를 기록했다. 반면 미분양지수는 7.1포인트 내린 64.0로 파악, 주택공급에 대한 기대감은 상승하고 미분양 우려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유예, 재건축·재개발 용적률 완화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재건축 지수는 5.6포인트 올라 82.5를 나타냈다. 재개발 지수 역시 79.4로 6.3포인트 뛰었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졌지만 전세가 상승, 월세 확대 등 임차시장의 불안감은 지속되고 있다"며 "올해는 임차시장 안정을 위해 대출 위주 지원을 넘어선 민간임대 활성화 및 임차인 지원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4-01-15 11:00:00 박선옥 기자
10대 건설사, 올해 6만6000여 가구 분양 … 대우건설 최다

시공순위 10위권 내 건설사들이 올해 6만6000여 가구의 신규분양 아파트를 쏟아낼 예정이다. 대우건설이 전체 물량의 3분의 1 을 차지하고, 현대건설, GS건설, 한화건설 등은 지난해보다 2~3배가량 확대했다. 15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10대 건설사가 계획 중인 신규분양 단지는 총 6만6918가구다. 지난해 공급된 6만6514가구보다 0.6% 증가하는데 그쳐 사실상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장 많은 1만9814가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다만 작년 2만2320가구보다는 11.2% 감소했다. 오는 5월 서울 서대문 북아현뉴타운 북아현푸르지오 303가구가 분양되고, ▲서울 용산구 용산전면2구역 ▲부산 서구 서대신7구역 푸르지오 ▲위례신도시 위례 우남역 푸르지오 주상복합 등이 계획됐다. 롯데건설은 작년에서 올해로 연기된 서울 독산동 도하부대 부지 분양과 재개발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7883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지난해 7242가구보다 8.9% 늘었다. 최근 서울 금천구 독산동 롯데캐슬골드파크 1562가구의 분양을 2월로 확정했고, ▲서울 미아동 미아4구역 롯데캐슬 ▲경남 창원 합성1동구역 롯데캐슬 ▲세종시 2-2생활권 P1블록 ▲부산 대연동 대연2구역롯데캐슬 등을 준비 중이다. GS건설은 수도권에서만 7767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작년 2642가구보다 194% 증가한 것으로, 총 9개 사업장 중 1000가구 이상 대단지가 3곳이나 된다. 2월 서울 역삼동 역삼자이를 시작으로 5월에는 3640가구 매머드급 규모의 경기 김포 한강센트럴자이를 내놓는다. 이외 ▲서울 보문동 보문3구역 보문자이 ▲서울 교남동 돈의문1구역 경희궁자이 ▲서울 만리동 만리동2구역 만리자이 등이 있다. 포스코건설은 작년 6196가구와 비슷한 6571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수도권 보금자리지구, 송도국제도시, 세종시 등에 집중돼 있다. 경기 구리갈매지구 더샵이 3월 공급되고, ▲경기 하남미사강변도시 미사강변더샵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3구역 ▲세종시 2-2생활권 P2블록 더샵 ▲인천 송도국제업무단지 F13~15블록 송도더샵 등이 대기 중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3060가구보다 2배 정도 늘어난 6107가구로 분양 계획을 잡았다. 다음달 서울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로 스타트를 끊은 뒤 ▲서울 양천구 신정4구역 목동힐스테이트 ▲서울 강서구 공항동 마곡힐스테이트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3구역 ▲세종시 2-2생활권 P2블록 등에서 신규분양을 준비한다. 현대산업개발은 세종시를 비롯한 신도시,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5282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2013년 8315가구에 견줘 36.5% 줄었다. 주요 단지로는 세종시 2-2생활권 P3블록, 경기 수원 권선지구 7블록 권선아이파크시티, 광주 동구 학동3구역 아이파크, 전북 전주 바구멀1구역 등이 있다. 이밖에 한화건설은 경기 수원과 화성시를 중심으로 4594가구를 선보인다. 작년 1221가구와 비교해 무려 276.2% 증가한 물량이다. 또 삼성물산은 3799가구(21.9%↓), 대림산업 3019가구(44.5%↓), SK건설 2082가구(60.1%↓) 등 4000가구 이하로 물량을 계획하고 있다.

2014-01-15 09:43:59 박선옥 기자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 85만여 건…15.8%↑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한 85만1000여 건을 기록했다. 이로써 부동산시장 회복론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14일 2013년 연간 총 주택 매매 거래량을 집계한 결과, 85만1850건으로 전년보다 15.8%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새 정부의 부동산대책이 시행된 4월 이후 거래량은 71만874건으로 그 전해 같은 시기보다 21.7%나 늘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3.5% 증가한 36만3093건, 지방이 5.5% 증가한 48만8757건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에서도 서울 11만1889건(34.4%)과 강남3구 1만6633건(35.8%) 등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 건수가 전년과 견줘 20.0% 늘어난 60만4331건으로 파악됐다. 이어 연립·다세대 13만9009건(7.3%), 단독·다가구 10만8510건(6.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12월 거래량은 9만3188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1% 감소했다. 수도권이 3만9638건으로 2.0% 소폭 늘어난데 반해, 지방이 5만3550건으로 23.1%나 줄었다. 전국 주요 단지의 실거래가(계약일자 기준)는 서울 강남권은 강보합세, 수도권과 지방은 보합세를 보였다. 서울 서초구 반포 미도아파트 전용면적 84.96㎡는 지난해 11월 7억1250만원에 계약됐지만 12월에는 7억3300만원에 거래됐다. 또 송파구 가락 시영1차 40.09㎡는 11월 4억9500만∼5억원에 팔렸지만 12월 4억9000만원에 계약됐다. 이 기간 노원구 중계동 주공2단지 44.52㎡는 1억5000만원으로 변동이 없었다. 주택 거래량 및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포털(www.onnara.go.kr)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http://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01-14 18:39:34 박선옥 기자
국내 건설산업 경쟁력, 2년 연속 세계 7위

국토교통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함께 2013년도 국내 건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순위를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가 조사 대상 21개 국가 중 7위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실시된 '국가별 건설 산업 글로벌 경쟁력 종합 평가'는 지난 2011년 개발됐으며,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 ▲건설기업 역량 평가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는 건설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건설리스크, 건설제도, 시장안정성, 인프라 등 6개의 세부 평가지표들로 이뤄졌다. 또 건설기업 역량 평가는 시공, 설계, 가격경쟁력 등 총 3개로 세분화돼 있다. 종합 평가 부문에서는 3년 연속 미국이 1위, 중국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독일·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3~6위를 기록했고, 한국은 2012년과 동일한 7위에 올랐다.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에서는 2012년에 이어 중국과 미국이 각각 1위와 2위를 나타냈다. 한국은 8위를 기록해 2011년 11위, 2012년 10위에서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 같은 순위 상승은 세부 지표 중 건설시장 성장률(8위)과 건설리스크 관리(4위)에 힘입은 바 크다. 하지만 건설시장 규모, 건설제도, 인프라는 10위, 시장 안정성은 13위에 그쳐 이 부문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건설기업 역량 평가에서는 미국이 작년에 이어 1위를, 한국은 2년 7위를 차지했다. 시공 경쟁력이 4위를 기록했으나 설계 경쟁력이 19위에 머무르며 전체적으로 동일 순위를 유지했다. 국토교통부는 기술력 확충과 시장 개척을 위한 R&D 투자 확대 및 건설기술관리법 전면 개정을 통한 건설제도 보완 및 설계 경쟁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2014-01-14 18:02:53 박선옥 기자
소규모 불법 주거용 건축물, 1년 한시적 양성화 시행

국토교통부는 불법으로 건축된 소규모 주거용 건축물을 양성화하는 '특정건축물 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오는 17일부터 내년 1월 16일까지 1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대상은 2012년 12월31일 이전에 준공돼 연면적의 50% 이상 주거용으로 사용되며, 건축허가(신고)를 받지 않았거나 또는 허가(신고) 이후 위법 시공 등으로 사용승인을 받지 못한 건축물이다. 세부적으로는 ▲세대당 전용면적 85㎡이하 다세대주택 ▲연면적 165㎡이하 단독주택 ▲연면적 330㎡이하 다가구주택 등이 해당된다. 다만 주거용 건축물이라도 개발제한구역이나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 구역, 상습재해구역 내는 이번 양성화에서 제외된다. 양성화는 건축주(소유자)가 신고서류에 건축사가 작성한 설계도서 및 현장조서와 대지권리 증명서류를 첨부해 신청하면, 허가권자가 지방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신청일로부터 30일 내 사용승인서를 교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때 위법사항에 대한 이행강제금 1회분의 과태료는 납부해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특별조치법 시행으로 전국적으로 3만여 가구가 혜택을 받을 전망"이라며 "서민의 주거환경 안정 및 재산권 보호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14-01-14 17:29:41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롯데건설, 독산동 '롯데캐슬 골드파크' 분양 확정 … 내달 7일 오픈

서울 금천구 독산동 일대 신도시급 복합개발단지로 조성되는 '롯데캐슬 골드파크'가 분양 일정을 확정했다. 이 단지는 앞서 지난해 11월 23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했다가 분양가 인하를 두고 시행사와 시공사간 갈등을 빚으며 공급일정을 연기한 바 있다. 롯데건설은 내달 7일 '롯데캐슬 골드파크'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 분양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옛 육군 도하부대 부지에 들어서는 롯데캐슬 골드파크는 연면적 70만㎡ 규모로 아파트 3203가구와 오피스텔 1165실을 비롯해 호텔, 대형마트, 초등학교, 경찰서 등의 다양한 시설을 갖춘 미니신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1차로 아파트 1743가구가 공급되며, 전용면적 ▲59㎡ 203가구 ▲71~72㎡ 216가구 ▲84㎡ 1036가구 ▲101㎡ 105가구 등 장기전세 시프트를 제외한 총 1560가구가 일반분양 몫이다. 1호선 국철 금천구청역이 도보 5분 거리로, 2018년 완공 예정인 신안산선 신독산역(가칭)도 근처에 들어선다. 서해안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강남순환도로(2016년 준공 예정) 등의 도로망도 이용 가능하다. 단지는 전 가구 남향 위주의 판상형 4베이로 설계했고, 특히 안양천, 도심지, 중앙광장, 공원 등이 조망되도록 배치했다. 또 피트니스센터, 경로당, 놀이터, 작은도서관, 독서실, 다목적홀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을 조성했다. 분양가는 당초 승인 받았던 3.3㎡당 1488만원보다 100만원 이상 낮춰 1300만원대 중반대로 책정키로 했다. 2월 12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3일 1·2순위, 14일 3순위 청약접수를 실시한다. 견본주택은 금천구 독산동 424-1번지 일대 마련됐다. 2016년 11월 입주 예정.

2014-01-14 17:02:18 박선옥 기자
현대차그룹 건설부문 합병…정의선 부회장 지배력 확대

현대차그룹 계열의 현대엠코와 현대엔지니어링의 합병이 기정사실화됨에 따라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대형건설사의 출현이 예고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의 경영승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측된다. 14일 현대건설은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주요 종속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과 혐대엠코와의 합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조만간 양사 이사회 안건으로 합병 건을 상정한 뒤, 현대엠코가 현대엔지니어링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이번 합병 추진의 표면적인 이유는 '시너지' 효과다. 시공순위 13위의 현대엠코와 54위의 현대엔지니어링이 합병하면 2013년 예상 매출 6조원, 영업이익 5000억원, 자본총계 1조6000억원의 대형건설사로 거듭나게 된다. 단번에 매출 기준 9위 업체로 올라서는 것이다. 사업적인 측면에서도 현대엠코는 주택, 일반건축, 토목을 중심으로 한 국내 시공부문에 강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현대엔지니어링은 발전, 화공플랜트 등 해외 설계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결국 두 회사가 합쳐지면 국내외 전 공종에서 사업이 가능한 셈이다. 하지만 그룹 전체로 본다면 효과가 크지 않다. 그룹 내 또 다른 건설사인 현대건설이 이미 현대엔지니어링과 시너지 구조 정립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키워왔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에 있던 시너지가 엠코로 옮겨갔을 뿐 그룹 차원에서는 그대로다"고 평가했다. 오히려 현대건설 입장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이라는 알짜 자산을 뺏기는 결과가 초래된다. 현대건설은 현대엔지니어링 지분 72.6%를 가진 최대주주다. 또 그룹 내 건설부문의 무게 중심이 합병법인으로 이동함으로써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합병 추진 소식이 알려진 13일 현대건설 주가는 1.14% 하락했다. 이어 14일에도 5.10% 빠지며 5만77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이번 합병이 현대차그룹 내 경영권 승계 문제를 해결하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구조를 끊기 위해서는 기아차가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 16.9%(1643만주)를 총수 일가가 사들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약 5조원이 필요하지만 정의선 부회장이 가진 주요 계열사 지분은 글로비스 31.88%(2조7000억원)와 비상장사 현대엠코 25.06%(증권업계 추산 5000억원)로 3조원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정 부회장의 지분율이 높은 현대엠코를 현대엔지니어링과 합병한 이후 합병법인과 현대건설을 다시 합병하는 과정을 거쳐 지배 구조상 약한 고리인 현대모비스 지분을 사들일 가능성이 높다"며 "현대차그룹의 경영승계가 시작됐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4-01-14 16:04:59 박선옥 기자
수도권 경매 아파트 낙찰률 48.4% … 5년 8개월 만에 최고

부동산시장의 회복 분위기가 점쳐지는 가운데, 법원 경매장으로 보다 싼 값에 아파트를 사려는 수요자들이 몰려들고 있다. 14일 부동산경매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새해 입찰 부쳐진 수도권 아파트 낙찰률은 48.4%로 집계됐다. 이는 경매에 나온 아파트 2건 중 1건은 주인을 찾았다는 의미로, 2008년 5월 54.7%를 기록한 이후 5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4월 4·1대책 발표 이후 40%를 돌파했던 낙찰률은 이후 주춤한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8월 다시 40% 선을 넘은 뒤 경미한 상승세를 유지하다 올 들어 오름폭이 눈에 띄게 커졌다.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낙찰가율도 상승세다. 수도권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82.5%로 2011년 4월(83.1%) 이후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해 1월 74.1%와 비교하면 8.4%포인트나 오른 것이다. 장기간 고전하며 70%대로 무너진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27개월 만인 작년 10월 80% 위로 회복한 뒤 연속해서 4개월째 오르는 추세다. 이처럼 경매 열기가 뜨거운 데는 전세난이 지목된다. 지금 경매로 나온 아파트 대부분 부동산경기가 좋지 않을 때 감정이 됐던 터라, 현시세보다 가격이 낮게 형성된 상황이다. 이에 1~2번 유찰만 되도 최저가와 전세금이 차이가 거의 없어 실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실제, 지난 8일 수원지방법원에서 최저가 1억2250만원에 입찰에 부쳐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신명아파트 전용면적 60㎡는 25명이 참여해 1억7719만원에 낙찰됐다. 이 아파트의 전세가는 1억6000만~1억8000만원으로 낙찰가와 비슷하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지금 경매로 나오는 물건 중 시세가 바닥일 때 감정된 것들이 많다"며 "지금의 경매시장은 저렴한 경매물건을 선점하려는 매수자들로 관심이 고조되면서 나타나는 회복기의 전형적인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2014-01-14 11:17:18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