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도소매가 끌어올린 11월 기업심리…CBSI 92.1, 올해 최고치
11월 기업 체감경기(전산업 CBSI)가 반도체 호황과 도소매업 회복에 힘입어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섰다. 다만 기준선(100)을 여전히 밑돌고 다음달 전망도 제자리 걸음을 보이면서, 기업들은 "나빠지던 국면은 지나갔지만 본격적인 회복까지는 아직"이라는 인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1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92.1로 10월(90.6)보다 1.5포인트(p) 상승했다. 제조업 CBSI는 92.7로 0.3p 올랐고, 비제조업 CBSI는 91.8로 2.3p 뛰었다. CBSI는 2003~2024년 장기평균을 100으로 본 지수다. 100 이상이면 장기평균보다 낙관, 100 미만이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제조업에서는 제품재고와 업황 지표가 개선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11월 업황 BSI는 70으로 전월보다 2p 올랐고, 생산 BSI도 80으로 1p 상승했다. 반면 매출(77)과 신규수주(76)는 각각 1p씩 낮아졌고, 채산성(75)과 자금사정(79)은 2~3p 떨어져 수익성과 유동성 부담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CBSI 구성지수 기여도를 보면 제품재고가 +1.1p, 업황이 +0.4p를 기록해 상승을 이끌었다. 비제조업은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개선 폭이 더 컸다. 11월 비제조업 CBSI는 91.8로 전월보다 2.3p 상승했다. 도소매업·정보통신업·운수창고업의 채산성·자금사정 지표가 나란히 좋아졌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70으로 보합이었지만, 매출 BSI는 76으로 1p, 채산성 BSI는 80으로 2p, 자금사정 BSI는 80으로 2p 각각 올랐다. 기업들이 꼽은 경영애로 요인은 제조·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이 가장 컸다. 제조업의 경우 응답 기업의 25.0%가 내수 부진을 어려움으로 지목했고, 불확실한 경제상황(21.3%), 수출 부진(9.2%)이 그 뒤를 이었다. 비제조업도 내수 부진(22.4%), 불확실한 경제상황(16.9%), 인력난·인건비 상승(12.3%)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에선 원자재 가격상승 비중이 전월보다 1.1%p 늘어난 반면, 비제조업에선 인력난·인건비 부담 비중이 1.8%p 줄었다. 기업과 가계 심리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소폭 후퇴했다. 11월 ESI는 94.1로 10월(94.4)보다 0.3p 낮아졌다. 다만 계절성과 불규칙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4.6으로 0.8p 상승해, 심리의 큰 흐름은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주형기자 gh47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