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 줄고, 연체 증가…제2 금융 건전성 경고등
상호금융, 카드사 등 제2 금융의 수익은 줄고, 연체는 증가해 건전성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비씨)의 순이익은 1조22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39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은 약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6월 말 기준 연체율 1.76%로, 전년 말과 비교하면 0.11%포인트(p) 상승했다. 카드대출채권 연체율 상승폭이 0.16%p로 가장 컸다. 이어 카드채권 연체율이 0.12%p, 신용판매채권 연체율이 0.10%p 상승하며 뒤를 이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30%로 같은 기간 0.14%p 상승했다. 동시에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06.3%로 전년 말 대비 1.8%p 하락했다. 문제는 연체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순이익은 줄어드는 현상이 굳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상반기 기준, 2024년을 제외하면 카드사들의 순이익은 지난 2022년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카드사 순이익은 2022년 1조6243억원에서 2023년 1조4168억원으로 줄었다가, 2024년 상반기에는 1조4990억원으로 소폭 반등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다시 2739억원으로 급감했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세도 지속되는 모습이다. 연체율은 2022년 말부터 올 6월까지 1.21%→1.63%→1.65%→1.76%로 꾸준히 상승해 지난 2014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0.85%→1.14%→1.16%→1.30%로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회사가 빌려준 돈 가운데 회수가 어려운 '부실 가능성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이 비율이 높아지면 곧 여신회사의 부실 채권이 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순자본이 충분하더라도, 순이익이 감소하고 연체율이 상승하는 기조가 장기화되면 여신전문사들의 건전성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특히, 연체율 상승의 경우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으로 이어져, 실적 악화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상호금융권에서도 부실 우려가 제기되면서, 제2금융권 전반에 건전성 위기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최근 새마을금고는 23곳의 지점이 자본잠식에 빠진 것으로 알려지며 건전성 논란이 일었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행정안전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평균 새마을금고 연체액은 15조 2124억원이다. 경기가 3조 8000억원, 서울이 2조 8532억원, 대구가 1조 2981억원으로 상위권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농협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농협 상호금융의 대출 연체금은 17조840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반년 만에 3조4943억원 증가했다. 연체금액은 경기가 4조1042억원, 경남이 2조 4159억원, 경북이 1조9484억원에 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대출을 갚을 여력이 없는 취약 차주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한 상호금융의 경우 수도권보다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건전성 문제에 금융당국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안재선기자 wotjs4187@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