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2016 부동산 시장 돋보기] ①강남 재건축·재개발

부동산대책 최대 수혜지 개포 재개발 마무리 궤도 통합재건축은 속도 붙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부동산 시장을 이끌 바로미터는 강남 재건축·재개발 단지가 될 전망이다. 미국발 금리 인상과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주택 공급과잉 등 3대 악재가 맞물려 시장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시기인 만큼 수요가 많은 토지로 눈길을 돌리는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장경철 부동산 일번지 이사는 7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는 것을 감안해 꼭 집을 사고 싶은 수요자는 1·4분기에 구매하는 것이 좋다"며 "내집 마련이 급하지 않다면 집값이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 하반기나 내년에 매매 기회를 기다리는 게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올 강남에서 4000가구 공급 올해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에서 분양을 앞둔 아파트는 11개 단지 3993가구로 전년 2919가구 대비 36.7% 늘었다. 공급 물량이 늘어난 이유는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된 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급물살을 탔기 때문이다. 3.3㎡당 평균 4000만원을 훌쩍 넘긴 분양가에도 청약 통장이 쏠리며 수십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분양권 프리미엄(웃돈)은 2억원 넘게 붙었다. 실제로 지난달 서초구 평균 분양가는 4257만원을 기록해 서울 평균 분양가인 2549만원보다 167%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지난해 4·4분기 기준 반포센트럴푸르지오써밋(4040만원)을 비롯해 반포아크로리버파크2차(4130만원), 반포래미안아이파크(4258만원) 등 모두 분양가가 4000만원을 웃돌아 '강남 재건축=4000만원대 분양가'라는 공식이 생겨났다. 분양가가 오르면서 분양권 프리미엄(웃돈)도 덩달아 고공 행진 중이다. 내년 입주를 앞둔 '아크로리버파크(신반포1차)'의 전용면적 84㎡는 지난해 11월 기준 16억1000만원에 거래돼 분양가 대비 2억3000만원이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팀장은 "일반적으로 강남 재건축 시장은 전체 부동산 시장의 온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며 "최근 고분양가 논란에 잠시 주춤하는 추세지만 상반기 강남권 청약 결과에 따라 분위기가 반등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강남권에서 분양받고 싶은 지역으로 반포·잠원권(54.9%)이 꼽혀 개포·대치권(17.5%)을 압도했다. 3위는 잠실권(8.4%)이 차지했다. ◆'신반포자이' 등 주목 반포·잠원권에서 포문을 여는 재건축·재개발 단지는 GS건설의 '신반포자이'다. GS건설은 이르면 2월께 전체 607가구 중 153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3.3㎡당 분양가는 4300만~4500만원선으로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최고가를 기록한 '반포래미안아이파크'(4000만원)보다 높아 청약 결과에 실수요층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개포동 일대에서도 개포주공2, 개포주공3, 개포시영 등 3개 단지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3월께 개포주공2단지에서는 396가구가 일반 공급된다. 4월에는 잠원동 신반포5차를 재건축한 '아크로리버뷰'가 공급된다. 전체 595가구 중 일반 분양분은 41가구다. 같은 달 강동구 명일동 명일삼익을 재건축하는 래미안이 분양될 예정이다. 전체 1900가구 중 전용 49~103㎡ 268가구를 일반분양한다. 6월에는 개포주공3단지를 재건축하는 아파트가 분양된다. 전체 1235가구 중 전용 49~147㎡의 73가구를 일반에 분양된다. 현대건설의 고급 아파트 브랜드 '디에이치(THE H)'가 처음으로 붙여지는 단지다. 같은 달 강남구 일원동 일원현대를 재건축하는 래미안이 분양된다. 전체 850 가구중 전용 59~116㎡ 335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8월에는 서초구 잠원동 잠원한신 18차를 재건축하는 래미안이 공급된다. 전체 475가구중 전용 59~84㎡ 146가구가 일반 분양분이다. 10월에는 강동구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를 재건축하는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전체 4790가구 중 전용 59~127㎡ 2019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같은 달 송파구 거여동 거여 2-2구역을 재개발하는 e편한세상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일반 분양분은 전체 1199가구 중 378가구다. 12월에는 송파구 풍납동 풍납우성을 재건축하는 아이파크가 분양된다. 전체 597가구 중 87가구를 일반분양한다.

2016-01-07 11:07:36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아파트 매매·전세거래 시총 296조원

지난해 아파트 매매·전세거래에 쓰인 시가총액은 296조원이었다. 올해 정부예산 386조원의 77%가량에 해당한다. 부동산 시장조사업체 리얼투데이는 국토교통부의 '2015년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매매 거래액은 2014년보다 29조5256억여 원(20.3%)나 늘어난 174조원으로 집계됐고 전세거래 시총은 121조원을 훌쩍 넘겨 42조5766억여 원(53%) 급증했다고 7일 밝혔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거래 시총을 보면 서울·경기가 전체의 59.7%를 차지했다. 서울시는 53조950억여 원으로 거래금액이 가장 높았고 ▲경기도 51조7854억여 원 ▲부산 14조994억여 원 ▲인천 10조2242억여 원 ▲대구 8조175억여 원 ▲경남 7조9022억여 원 등의 순이었다. 시군구별로는 서울 강남구가 6조5353억여원으로 거래금액 1위를 차지했고 ▲서초구 4조6862억여 원 ▲송파구 4조6674억여 원 ▲성남 분당구 3조9526억여 원 ▲부산 해운대구 3조4627억여 원 순으로 이어졌다. 2014년 대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시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서울 강남구로 1조4737억여 원 증가했다. 송파구는 1조3913억여 원, 강서구는 1조3610억여 원, 부산시 해운대구는 1조1675억여 원 올랐다. 지난해 아파트 거래량은 66만1717건으로, 2014년 대비 10% 늘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8만6352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은11만1294건이었다. 주택유형별로는 전용면적 59㎡초과~85㎡이하가 41만 8239건으로 가장 인기가 높았고 ▲전용 59㎡이하 14만 2654건 ▲전용 85㎡초과~109㎡이하 2만7468건 ▲109㎡초과 7만 3356건 등의 순이었다. 금액별로는 1억 원대 아파트가 20만 3798건이 거래돼 가장 인기가 많았다. 매맷값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 거래량도 1973건 증가했다. 지난해 아파트 전세 실거래가 시총은 수도권이 강세였다. 서울시가 44조 4056억여 원으로 가장 높았고 ▲경기도 35조4056억여 원 ▲부산 8조1292억여 원 ▲인천 6조7225억여 원 등으로 이어졌다. 2014년 대비 전세거래 시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부산시 해운대구로 1조3616억여 원 늘었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가 1조972억여 원으로 뒤를 이었다. 전세거래량은 55만8744건으로 2014년 대비 11.26% 증가했다. 시군구별로는 서울시 노원구의 전세거래가 1만1553건으로 가장 많았고 금액별로는 2억원대 전세 아파트가 15만9803건으로 거래가 1위를 차지했다. 1억원 이하 전셋집은 15만5083건, 5억원 초과 전세는 3만3427건 거래됐다.

2016-01-07 10:21:5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개포시영아파트 2296가구규모로 재건축된다

서울 강남구 개포시영아파트가 2296가구 규모로 재건축된다. 내년 초 공사에 들어가 2020년 재입주할 전망이다. 강남구는 지난 6일 개포시영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 제출한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처리했다고 7일 밝혔다. 개포시영아파트 재건축 사업의 관리처분 인가 결정은 지난해 9월 말 관리처분 인가를 받아 현재 95% 이상이 이주한 인근 개포주공3단지와 비슷한 시기에 인가 신청서가 접수됐지만 전세난 악화를 고려해 인가와 이주 시점을 4개월 늦췄다. 관리처분계획은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조합원별 지분과 분담금 등 권리를 확정하는 것으로 이번 인가에 따라 입주민 이주와 기존 건물 철거, 아파트 신축 공사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 개포시영아파트 재건축조합은 올 1월부터 조합원 이주가 시작돼 이르면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초 공사에 들어갈 경우 2020년 상반기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공은 삼성물산이 맡는다. 재건축이 완료되면 1970가구 규모의 개포시영 아파트는 최고 35층, 31개동 규모의 2296가구의 대단지로 탈바꿈한다. 주택유형별로 ▲49㎡ 118가구 ▲59㎡ 782가구 ▲74㎡ 226가구 ▲84㎡ 679가구 ▲96㎡ 199가구 ▲102㎡ 192가구 ▲112㎡ 67가구 ▲136㎡ 33가구가 공급된다.

2016-01-07 08:37:52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수익보다 안전 우선…상가, 옥석 가리기 필요

역세권도 유동인구 천차만별 발길 끄는 관광·문화공간 중요 올해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역세권 상가가 주목받고 있다. 역세권 상가는 지하철이나 철도가 가까운 곳에 자리 잡아 유동인구와 소비층이 풍부해 공실이 적고 안정적이다. 하지만 역이 위치한 입지 특성에 따라 유동인구 차이가 많이 나고 상가 이용률도 달라 무조건 역세권이라고 해서 '묻지마 투자'를 했다가는 낭패를 보기 쉽다. 단순히 환승을 위한 역이나 교통시설 역할만을 수행하는 곳은 상가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 ◆유동인구 많은 상가 주목 이 때문에 업무·관광·문화 공간 등 앵커시설이 조성돼 광역적으로 유동인구를 끌어들일 수 있는 진짜 역세권을 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유동인구를 확보할 수 있고 방문객의 체류시간이 길어 상가 이용률에 따른 투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6일 서울메트로(1~4호선)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수송인원 13억7996만5582명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곳은 2호선 강남역으로 하루 평균 13만72명에 달하며 ▲2호선 홍대입구역 10만8659명 ▲2호선 잠실역 10만2402명 순이다. 서울도시철도(5~8호선)도 같은 기간 전체 수송인원 8억8379만5333명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곳은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1일 평균 이용객 6만877명에 달했고 5호선 광화문역이 5만1601명으로 뒤를 이었다. 앵커시설이 생기면 역의 유동인구는 늘어난다. 지난 2009년 8월 1일 새로 개장한 광화문 광장은 5호선 광화문역과 연결돼 있다. 서울도시철도 자료를 보면 광화문광장이 조성되기 전인 2009년 7월 광화문역 수송인원은 133만9604명이었으나 광장 개장 한 달 후인 2009년 8월 161만8678명으로 27만9074명이 증가했다. 이는 분양 실적으로도 이어진다. 지난해 1월 서울 송파구 문정지구 7블록에 공급된 상가 'H 스트리트파크'는 계약을 시작한 지 한 달 여 만에 모든 점포가 팔렸다. 이 상가는 지하철 8호선 문정역이 도보권에 있으며 역 주변에 문정지구가 조성되고 있어 향후 업무밀집지역으로 만들어질 계획이다. ◆역주변 상가 인기 지방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부산 남구 용호동에 지난해 10월 공급된 '더블유(W)스퀘어' 상가는 부산지하철 2호선 경성대부경대(동명대)역과 가깝다. 역 주변은 경성대와 부경대가 있고 부산 관광지인 이기대도시자연공원과 용호만유람선 터미널 등이 조성돼 있어 지역 유동인구와 관광객 유입이 잦다. 이 상가는 평균 16대 1로 청약 마감됐다. 현재 전국에서는 앵커시설을 갖춘 역 인근 상가가 속속 공급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경기 화성시 동탄테크노밸리 33-1블록에 '동탄테크노밸리 애비뉴아33.1'을 분양한다. 상가는 올해 6월 개통을 앞둔 KTX동탄역이 도보권에 있다. KTX동탄역은 동탄2신도시 내 유일한 역사여서 이용객이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상가는 지하 1층~지상 2층, 99개 점포로 구성된다. 롯데건설은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5·7공구 M1블록에 '송도 캠퍼스타운 애비뉴'를 분양 중이다. 인천지하철 1호선 캠퍼스타운역 주변으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와 한국뉴욕주립대 등의 대학 캠퍼스가 자리잡고 있어 대학가 상권이 될 예정이다. 이 상가는 지상1층~지상3층, 총 184개 점포로 이뤄진다. 한화건설은 서울 은평구 은평뉴타운 상업4블록에서 '은평뉴타운 꿈에그린' 단지 내 상가를 분양 중이다. 지하철3호선 구파발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구파발역 인근에는 북한산국립공원 입구가 있어 등산객 또는 나들이객의 유동인구가 많다. 이 상가는 지하 1층~지상 1층, 52개 점포로 구성된다. 대우건설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에서 '용산 써밋 스퀘어'를 분양 중이다. 이 상가는 지하철1호선과 경의중앙선, KTX, ITX선이 지나는 용산역이 바로 앞에 있다.

2016-01-06 15:14:14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분양가 40% 할인…건설사, 미분양 '땡처리' 총력전

계약금 분납, 중도금 무이자 등 다양 과대 광고 주의…계약서 꼼꼼히 봐야 "계약금 걱정 하지 말고 절반 값에 사세요. 잔금은 천천히 주셔도 됩니다." 언뜻 보면 재고를 싸게 '땡처리'하는 동네 옷가게 광고 문구로 들리지만 요즘 아파트 분양시장에 등장한 것이다. 건설업체들이 미분양 물량을 털기 위해 최초 분양가 대비 가격을 확 낮추거나 실입주금을 줄이는 할인 분양에 나서고 있다. 실수요를 끌어 들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미분양 털기 '할인분양'에 수요 몰려 경기도 하남시에 공급된 두산위브파크는 지하 6층~지상 20층, 전체 189가구 규모다. 이 가운데 중대형 잔여가구인 175㎡, 195㎡를 최초 분양가인 9억~10억원에서 할인된 가격인 5억3000만~6억원대로 40% 가량 할인해 분양을 끝냈다. 청계천 두산 위브더제니스는 일부 잔여세대(옛 46·49·59·69·79평형 외 다수)에 한해 최초 분양가에서 최대 27%까지 할인해 최근 분양을 완료했다.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동원 베네스트는 지하 3층~지상 12층 5개동 195가구다. 전용면적 85㎡형과 105㎡형을 기존 분양가에서 3.3㎡당 100만~200만원 가량 할인한 1050만~1100만원대로 제안해 완판(완전판매)됐다. 중도금 무이자, 발코니 무료확장 등 조건 변경 혜택을 제공해 성공한 사례도 있다. 서울 양천구 신정동 일대 목동 힐스테이트는 지하 2층~지상 22층 15개동 전용 59~155㎡ 1081가구 규모다. 이 단지는 조건변경을 통해 최근 분양을 100% 마감했다. 잔여 가구인 전용 84~113㎡에 대해 기존 1차 계약금 5%를 1000만원 정액제로 변경해 초기 부담을 낮췄고 유이자로 진행됐던 중도금(60%)에 대한 이자 지원 혜택도 제공했다. 또 발코니 무료 확장을 비롯해 일부 타입에 대해 거실 복도장도 무상으로 설치했다. 강동구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전용 59~192㎡ 3658가구)는 잔여가구 계약 시 발코니 무료 확장, 1차 계약금 1000만원, 한달 이내 계약 잔금 납부혜택을 지원했다. 장경철 부동산일번지 이사는 "완판 속도가 빨라 시세 회복 효과는 있지만 자칫 '할인 분양'이라는 말에 속아 피해를 보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견본주택 방문시 계약서를 꼼꼼하게 확인하고 분양 관계자와 상담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아울러 건설사의 재무구조도 꼭 따져봐야 한다. ◆미분양 아파트 얼마나 있나 미분양 아파트는 주택 건설업체가 입주자를 모집했으나 정해진 일정 내에 계약되지 않아 추가 신청을 받아 계약 판매하는 아파트다. 주로 ▲분양가가 주변 아파트에 비해 지나치게 높거나 분양권 전매제한이 걸려 있어 환금성이 낮은 경우 ▲같은 지역에 비슷한 시기 분양된 다른 아파트의 인기가 높은 경우 ▲지하철과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이 멀거나 학교가 인근에 없는 경우 ▲일시적 미분양 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경우에 속한다. 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4만9724가구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2만6578가구 ▲광역시 2918가구 ▲지방 2만228가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2만1809가구로 가장 많았고 인천 4528가구, 서울 241가구로 나타났다. 광역시는 부산이 1074가구로 가장 많았고 ▲대전 1067가구 ▲울산 365가구 ▲광주 298가구 ▲대구 114가구 순이었다. 지방은 충남이 6618가구로 가장 많고 ▲충북 4114가구 ▲경남 2947가구 ▲강원 1937가구 ▲경북 1654가구 ▲전남 1562가구 ▲전북 1336가구 ▲제주 44가구 ▲세종 16가구다.

2016-01-06 15:01:11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