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 4년 만에 85% 돌파
서울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이 4년 만에 85% 선을 회복했다. 특히 25개 구 중 6개 구에서는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경매에 부쳐진 아파트의 평균 낙찰가율은 85.78%로 집계됐다. 서울 소재 경매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85%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0년 2월(85.18%) 이후 약 4년 만이다. 구별로 아파트 낙찰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동구로 파악됐다. 지난달 총 33건이 경매 법정이 나와 7개의 물건이 새 주인을 찾았다. 감정가 총액은 29억1500만원, 낙찰가 총액은 27억8828만원으로 평균 낙찰가율이 95.65%에 달했다. 다음으로 관악구가 92.48%를 기록했고, ▲구로구 91.47% ▲성북구 90.64% ▲강남구 90.17% ▲금천구 90.17% 순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강남구와 함께 '강남3구'로 불리는 서초구(84.61%)와 송파구(82.68%)는 서울 평균보다도 낮은 낙찰가율을 나타냈다. 반대로 용산구는 73.58%로 낙찰가율이 가장 낮았다. 용산역세권개발 실패에 따른 여파로 풀이되며, 25개 구 중 유일하게 70%대를 기록했다. 이어 마포구 82.27%, 송파구 82.68%, 도봉구 83.95% 순으로 평균을 하회했다. 한편, 입찰 경쟁률은 동대문구가 평균 11.9대 1로 최고를 기록했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2억원에서 4억원 초반대의 감정가가 매겨진 아파트로 입찰자가 집중됐다. 관악구(11.7명), 중랑구(8.86명), 도봉구(8.67명), 강남구(8.55명), 송파구(8.5명) 등도 입찰자가 몰렸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인천이나 경기지역에 비해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던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도 열기가 달아오르는 모습"이라며 "입찰 경쟁률 높은 지역이 강남·강북에 고루 분포돼 있다는 점에서 자산규모나 매수목적과 관계없이 수요자들이 경매장을 찾는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