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칼럼/홍종욱 원장의 성형 이야기] 눈꺼풀 처짐

중장년층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노화현상 중 하나는 눈꺼풀 처짐이다. 나이가 들면 윗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근육인 '상안검거근(上眼瞼擧筋)'의 힘이 약해지면서 노인성 안검하수 증상이 나타난다. 노인성 안검하수의 주요 증상으로는 눈꺼풀 처짐으로 인한 시력저하, 눈꼬리 처짐, 눈 짓무름 등이 있으며 이를 장기간 방치하면 약시나 난시와 같은 안과질환을 유발할 확률이 높다. 또 처진 눈꺼풀 때문에 상대방에게 항상 지치고 피곤한 인상을 심어줄 뿐 아니라 실제 나이보다 더 들어 보일 수 있다. 윗 눈꺼풀 처짐 증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크게 '상안검성형술'과 '눈썹거상술'이 있다. 먼저 상안검성형술은 눈꺼풀과 눈꼬리 부위의 처진 피부를 제거해 탄력 있고 또렷한 눈매로 만들어주는 수술요법이다. 이때 눈꺼풀이 얇고 처짐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매몰법을 통해 쌍꺼풀 라인을 만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눈에 띄는 개선 효과가 있지만 눈꺼풀에 지방이 많고 처짐 정도가 심하다면 절개법을 통해 쌍꺼풀 라인을 만들어줘야 풀릴 확률이 적다. 쌍꺼풀수술에 앞서 처진 눈꺼풀의 피부를 제거해주는 과정이 중요한데 피부를 과도하게 제거할 경우 눈이 잘 감기지 않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임상경험이 풍부한 성형전문의에게 시술받아야 한다. 쌍꺼풀 수술이나 흉터, 회복기간에 대한 부담이 있다면 눈썹거상술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눈썹거상술은 시술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회복기간이 짧아 남성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술법 중 하나다. 눈썹거상술의 가장 큰 장점은 눈매의 변형 없이 주름과 탄력을 동시에 개선시키고 기존의 눈 모양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어 티 나지 않게 성형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단 눈썹과 눈 사이의 폭이 좁은 편이라면 눈썹 윗부분을 절개한 후 시술해야 하고 눈썹과 눈 사이의 폭이 넓은 편인 경우에는 눈썹 아래 부분을 절개해 거상술을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사람마다 눈 모양이나 크기, 피부체질, 눈꺼풀의 처짐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한 후 개개인에 맞는 수술방법을 택해야 실패할 확률이 줄어든다. 또한 수술 후 약 한 달 동안은 염증을 유발하는 흡연과 음주를 피하고 수술 부위가 감염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2016-03-11 09:16:42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국토부, 11월까지 제로에너지마을 시범사업 공모

국토교통부는 11월 18일까지 '제로에너지빌딩 단지형 시범사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제로에너지빌딩은 외부창호 등을 통한 단열성능 극대화와 지열·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활용,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이다. 이번 공모는 2014년부터 국토부가 추진해온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유형을 '저층형(7층 이하)·고층형(8층 이상)'에서 '단지 단위'로 확장하는 것이다. 신청은 제로에너지빌딩으로 주거·비주거 용도가 복합된 단지 신축·재개발 등의 추진 계획이 있는 국민·기업·지자체 등이다. 공용설비를 통해 생산된 신재생 에너지량이 단지 내 건축물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량의 10% 이상일 경우, 단지 내 건축물 간 에너지 거래가 가능한 지역 네트워크(전력 그리드 등)를 구축하는 경우 우선 선정된다. 선정된 사업은 사업종료 후 최소 3년간 에너지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해 사업효과를 검증하게 된다. 국토부는 성공적인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건축기준 완화(용적률 15% 이내 완화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우선 지원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건설기술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를 통해 설계검토·컨설팅 등의 지원도 이뤄진다.

2016-03-11 09:12:25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부영, 마산 월영에 4천여세대 공급

부영주택은 마산월영에 4298세대의 대규모 규모의 부영아파트를 공급한다고 10일 밝혔다. 단지가 들어서는 마산월영은 최근 개통한 예월로와 청량산터널, 현동교차로, 마창대교 등을 통한 주변지역으로의 접근성이 좋은 곳이다. 단지 인근에는 종합스포츠 시설인 마산종합스포츠센터가 내년 건립예정이며 단지와의 거리가 가까워 주민의 스포츠 문화 욕구를 충족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남부시외버스터미널, 합포도서관, 메가박스, 댓거리상권 등 주민 편의시설이 인접해 있으며 단지 인근에 신월초등학교, 해운중학교, 마산서중학교, 가포고등학교,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경남대학교 등 명문학군이 갖춰졌다. 일반공급되는 단지는 지하 1층, 지상 23~31층 38개동 전용면적 84㎡ 3116세대, 124㎡ 584세대, 149㎡ 598세대로 구성된다. 분양가는 평당 980만원선이다. 선택옵션으로는 발코니 확장, 시스템 에어컨, 가변형 벽체(124㎡, 149㎡ 한정)가 적용된다. 단지 앞 바다와 쾌적한 자연환경이 장점이며 단지 내 중앙잔디광장에는 400m 규모의 공인 조깅트랙이 설치된다. 트랙 중앙부에는 여러개의 돌을 쌓아 만든 석가산 조형물이 들어설 예정이며 단지 내에서 자연 경관을 즐길 수 있을 전망이다. 단지 인근에는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및 로봇랜드가 2018년 들어설 예정이라 미래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2016-03-10 18:13:0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2월 분양권 실거래가 1조3천억…1월보다 51% 감소

2월 분양권 실거래 시장은 1조3000여억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분양권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분양권 거래금액은 1조2855억1582만원으로 조사됐다. 1월 분양권 총액인 2조 6123억 2627만원인 것에 비해 51%가 감소한 수치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2878억1223만원, 서울시 1954억5285만원, 부산시 1487억4598만원, 경남 1078억834만원, 경북 890억6487만원, 대구시 872억52만원, 충북 670억2230만원, 충남 627억4035만원 등이었다. 시군별로는 서울 서초구가 776억 238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경남 양산시 522억5200만원, 대구 달성군 504억2642만원, 서울 강서구 438억7760만원, 경기 화성시 406억3491만원, 경기 김포시 376억 9306만원 등의 순이었다. 읍면동별로는 서울 서초구 잠원동 736억7580만원, 서울 강서구 마곡동 432억3760만원, 경남 양산시 물금읍 389억1241만원, 인천 연수구 송도동 316억8835만원, 경기 평택시 동삭동 258억6368만 원 등 지역 분양권 거래금액이 높았다. 지난달 분양권 거래에 붙은 프리미엄은 528억2471만원이 붙어 1월 거래된 분양권에 붙은 웃돈인 1136억5174만원보다 54%가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34억4839만원으로 웃돈이 가장 많이 붙었고 서울 59억5702만원, 부산 57억6073만원, 경남 48억7269만원, 대구 35억6198만원, 경북 35억3445만원, 충남 31억6865만원 등의 순이었다. 시군별로는 경기도 화성시가 31억6884만원, 서울 강서구 29억4615만원, 경남 양산시가 21억7014만원 등이었다. 읍면동별로는 서울 강서구 마곡동 28억3545만원, 경남 양산시 물금읍 16억5321만원, 경기 화성시 청계동 15억3407만원 등에서 웃돈이 형성됐다. 지난달 분양권에 프리미엄이 1억 이상 붙어 거래된 아파트는 15개 단지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59㎡ 분양권은 프리미엄이 2억원 형성된 16억9900만원에 거래돼, 전국에서 웃돈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강남구 수서동 세곡2지구 내 '강남 더샵 포레스트' 전용 146㎡가 각각 1억 8823만원, 1억 7099만원의 웃돈이 붙었고 ▲서울 강남구 세곡동 '강남 효성해링턴 코트' 전용 113㎡ 1억5682만원 ▲서울 송파구 장지동 '송파와이즈더샵' 전용 96㎡ 1억4495만원 ▲서울 마포구 합정동 '마포한강2차 푸르지오' 전용 83㎡ 1억2100만원 등이었다.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도 웃돈이 형성됐다. 경기도 화성시 청계동 '동탄2신도시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A-18)' 전용 99㎡는 5억3244만원에 거래돼 1억 1434만원의 웃돈이 붙었다. 이어 서울 강서구 공항동 '마곡힐스테이트' 전용 84㎡는 1억1070만원, 경기 화성시 청계동 '동탄2신도시 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A-18)' 전용 99㎡ 1억1034만원, 경기 하남시 학암동 위례그린파크푸르지오 전용 101㎡ 1억 740만원 등의 순으로 웃돈이 붙었다.

2016-03-10 16:07:15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롯데몰부터 소방행정타운, 혁신파크까지…은평구가 뜬다

서울 강북 대표 신흥주거지로 급부상 최근 분양 단지, 8천만원 웃돈 붙기도 서울 은평구가 재개발·뉴타운 사업 등 개발 호재와 프리미엄 브랜드타운 형성에 힘입어 서울 강북권을 대표하는 신흥 주거단지로 급성장하고 있다.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인근에는 복합쇼핑몰 롯데몰 은평이 연말 오픈을 목표로 현재 공사가 한창이다. 삼송역에서 한 정거장 떨어진 원흥역 부근에 연면적 16만㎡의 글로벌 가구매장 이케아 2호점이 내년에 문을 열 예정이다. 지난해 이케아 1호점 개점으로 경기도 광명 일대에 불었던 아파트 청약 돌풍이 지역에서 재현될 것으로 인근 공인중개업소들은 기대했다. 또한 특수구조단, 소방재난본부 등이 한곳에 모이는 소방행정타운과 약 800병상 규모의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이 오는 2018년 완공될 예정이며, 서울 혁신파크 조성은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들어선다.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브랜드타운 역시 은평구 가치 상승을 이끄는 중요 요인으로 꼽힌다. 대형건설사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파트로 구성된 브랜드타운은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인근 부동산 시세 상승을 유도한다. 은평구 중에서도 녹번역 인근에 형성된 프리미엄 브랜드타운은 주택 구매 수요자에게 호평받고 있다. 녹번역 바로 앞에는 지난달 26일 견본주택을 개관한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녹번'을 비롯해 삼성물산 '래미안 베라힐즈'(지난해 12월 분양), 대우건설 '북한산 푸르지오'(지난해 7월 입주)가 자리 잡고 있다. 약 3500여 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을 형성한다. 현재 이들 단지에는 약 5000만~8000만원 수준의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될 정도로 인기가 있다. 녹번동은 은평구 내에서 서울 도심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역으로 녹번역을 통해 종로·광화문·시청 등 도심 업무 지구까지 10분대, 압구정·신사 등 강남권까지 20분대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연신내역·불광역(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경의중앙선·공항철도), 내부순환도로와도 인접해 지역 내외 이동성도 좋다. 일대에서는 '힐스테이트 녹번'이 지하철 초역세권 입지, 평면 계획, 단지 구성 등을 통해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힐스테이트 녹번'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지하철 3호선 녹번역 바로 앞에 위치했다는 점이다. 입주민의 편의를 돕는 특화 설계도 도입된다. 전용 84㎡A형은 현관 수납장을 'ㄱ'자 형으로 2개 제공해 수납 활용이 가능하며 전용 84㎡B형에는 활용이 가능한 알파룸이 별도로 제공된다.

2016-03-10 11:38:46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 4월부터 지지부진 재개발·재건축 정비구역 해제

서울시가 4월부터 지지부진한 재개발·재건축 정비구역을 직권 해제한다. 시는 정비구역을 직권해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과 절차 등을 마련한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이 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직권해제는 주민 간 갈등이나 사업성 저하 등으로 사업추진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정비구역에 대해 시장이 직권으로 구역을 해제하는 것이다. 개정 조례안은 직권해제가 가능한 경우의 구체적인 기준, 직권해제 구역의 사용비용 보조 기준 등을 담고 있다. 시는 해당 사업지의 정비계획 등으로 산정된 추정비례율이 80% 미만인 경우 토지등소유자의 과도한 부담이 예상됨에 따라 직권해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조합설립,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계획인가 등 사업절차가 3~4년 이상 늦어진 구역 가운데 자연경관지구, 최고고도지구, 문화재보호구역,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등을 포함하거나 토지등소유자 3분의1이상이 해제를 요청한 경우에도 직권 해제가 가능토록 했다. 직권해제 대상 구역은 주민의견조사를 실시해 사업 찬성자가 50% 미만이면 정비구역 해제 절차를 밟게 된다. 시는 검증위원회에서 검증한 금액의 70% 범위 안에서 직권해제로 취소되는 추진위원회·조합의 사용 비용을 보조하게 된다. 구역지정 이후 지역 여건이 변화해 역사·문화적 가치 보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도 검증된 금액 범위 안에서 보조할 수 있도록 했다.

2016-03-10 11:38:29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입주 가뭄 내년 절정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입주 가뭄이 내년 절정을 이룰 전망이다. 강남 3구 일대에서 재건축 추진중인 단지 4500여가구가 연내 이주할 계획인 데다 사업 추진 속도가 빨라지면 이주 물량도 함께 증가해 강남권 입주 가뭄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강남 3구에 입주하는 물량은 12개 단지, 6477가구다(아파트, 임대, 도시형생활주택 포함 오피스텔 제외). 최근 6년간 강남 3구 평균 입주물량 6753가구 보다 276가구가 줄었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나 2013년, 2014년 보다 크게 감소했다. 문제는 6개 단지, 1687가구 입주를 앞둔 내년이다. 907가구 규모인 서초동 '서초푸르지오써밋'을 제외하곤 대부분 300가구 미만의 중소 규모의 단지 뿐이다. 2018년은 약 1만3000여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2018년 입주물량 증가 원인은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을 재건축한 송파헬리오시티 9510가구가 있기 때문이다. 송파구와 서초구(2700여 가구 입주)에 비해 강남구는 입주물량이 500가구가 채 되지 않아 2018년에도 입주가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강남 3구는 높은 가격에도 학군과 편의시설 등의 이유로 실거주나 재건축 같은 잠재 투자 수요가 많다"며 "공급이 적은 것도 가격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어 일시적인 가격 하락은 있어도 상승 시 상승폭이 큰 편이라 시세 회복이 빠르다. 따라서 자금력을 갖춘 수요자라면 연내 입주단지나 분양단지 등에 관심을 가져 볼만 하다"고 말했다. 효성이 4월께 강남구 세곡동 강남보금자리에 짓는 강남 효성해링턴 코트 199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전용면적 92~129㎡이며 테라스하우스로 설계 돼 분양 당시부터 주목을 받았다. GS건설이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6차 아파트를 재건축한 역삼자이 408가구가 6월경 입주한다. 전용면적 59~114㎡이며 도성초교, 진선여중고 등의 학군이 좋다. 지하철 2호선 역삼역, 선릉역 등과 이마트 역삼점을 이용할 수 있다. 대림산업이 서초구 반포동 한신1차를 재건축한 반포아크로리버파크 1612가구가 8월경 입주한다. 전용면적 59~234㎡이며 올해 강남권 입주 물량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한강변 아파트다.

2016-03-10 11:38:08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