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부동산레이더]LH vs 포스코 청라지구 3천억 소송 최후 승자는?

손해배상 및 토지대금을 반환 청구 결과 24일 발표 LH 패소 시 손실 부채감축 노력 헛수고 포스코건설, 1000억원 만기 회사채 등 우려 청라지구를 둘러싼 3000억원대 민사소송 결과가 오는 24일 발표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포스코건설 등 10개 출자사 간 갈등으로 촉발된 이 소송결과에 따라 LH와 건설사들의 향방이 뒤바뀔 전망이다. 23일 법원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청라국제업무타운이 LH를 상대로 제기한 3047억원 규모의 민사소송 결과가 이날 발표된다. 이날 소송결과에는 최근 LH가 이들 출자사들에게 맞소송(반소)한 1935억원도 포함될 예정이다. 청라국제업무타운은 주관사인 포스코건설을 포함해 롯데건설과 두산건설, KCC건설, 한라, 서희건설, 코오롱글로벌, 신세계건설, 쌍용건설, 삼환기업 등 10개 건설사가 외국계 펀드인 마운틴블루와 함께 출자해 만든 특수목적회사(SPC)다. 청라국제업무타운은 앞서 지난 2007년 LH와 사업협약을 맺고 청라국제도시 내 127만㎡ 부지에 오는 2021년까지 총 6조2천억원을 투자해 세계무역센터와 국제금융센터, 생명과학연구단지, 특급호텔, 카지노 등을 건설하는 청라국제업무지구 개발권을 따냈다. 소송의 최대 쟁점은 청라지구 사업의 용도변경 건이다. 건설사들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LH가 무리하게 기존 원안대로 사업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건설사들은 전체 면적의 30%인 서비스드 레지던스를 오피스텔 등으로 용도를 바꾸고 호텔과 카지노ㆍ백화점 대신 비즈니스호텔과 대형마트ㆍ지식산업센터를 허용해달라고 LH에게 요구했다. 하지만 LH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하다는 문제로 지난 2013년 4월에는 청라국제업무타운과의 토지매매계약을 해지했다. LH 입장에서는 자본금 축소와 외국인 투자비율 하향, 지식산업센터 허용 등을 수용한 만큼 더 이상의 용도변경은 힘들다는 것. LH 관계자는 "이미 건설사들과 용도변경을 합의했지만 추가적인 용도변경을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토지매매계약을 해지한 것은 총 6171억원의 토지대금 중 네 차례에 걸쳐 납부해야 할 중도금 1630억원을 연체했고, 사업협약이행보증금 1860억원도 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소송결과에 따라 당사자간 희비가 크게 교차할 전망이다. LH의 경우 최근 부채감축 노력이 자칫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 앞서 LH는 지난 2013년 말 105조7000억원에 달했던 금융부채를 이달 초 94조7000억원까지 줄였다. 그러나 이번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출자사들에게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토지대금 1781억원과 사업무산 등으로 인해 손해금액 1266억원 등 총 3047억원에 달한다. 이 금액은 고스란히 부채로 추가된다. 출자사들도 상황이 녹록치 않다. 주관사인 포스코건설의 경우 이달까지 1000억원의 만기도래회사채를 갚아야 한다. 여기에 정동화 전 부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검찰의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점도 불안 요소다. 이밖에 쌍용건설은 지난 3월 법정관리에서 졸업한 이후 사업정상화에 힘을 쏟고 있다. 출자사 한 관계자는 "소송액수가 큰 만큼 이번 소송결과에 따라 LH와 출자사 모두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며 "LH가 패소하면 3000억원 이상의 부채를 감당해야하고 출자사들이 패소하면 그간 사업손실금에 배상까지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2015-07-23 15:54:50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한라, "미래성장동력 대안은 물류창고 사업"…동탄물류단지 활용키로

지난 17일 '2015년 미래 전략 워크숍' 개최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중견건설업체인 한라는 지난 17일 경기도 기흥 소재 한라인재개발원에서 지속성장을 위한 '2015년 미래 전략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정몽원 한라그룹 회장, 임기영 한라홀딩스 부회장, 최병수 한라 사장 등 관련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상반기에 추진했던 주요 현안에 대한 점검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점 추진 과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우선 지난 2년간 재무구조혁신 활동을 통해 차입금이 40%이상 줄어드는 등 재무건전성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선별적 수주, 원가혁신 등 수익성 확보를 통한 흑자경영 실현과 중장기 사업포트폴리오 개편을 중점 추진키로 결정했다. 또 '이노베이션, 워크스마트'(Innovation & Work Smart) 활동 강화와 운영관리(O&M), 무역, 물류, 교육, 레져 등 비건설부문 확대도 추진하기로 했다. 대표적인 미래성장동력 확보 대안은 물류창고 사업이 꼽혔다. 다수의 관련 시공경험을 바탕으로 물류창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현재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동탄물류단지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동탄물류단지는 도심과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최첨단 물류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지금까지 다수의 글로벌 탑 티어(Global Top Tier) 투자자들이 공동 투자 제안을 하는 등 미래 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최병수 사장은 "사업포트폴리오 개편, 펀더멘탈 강화, 선진 재무구조 구축, 기업문화 혁신 등을 위해 세부 경영전략을 추진해가고 있다"며 "지속성장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우량하고 튼실한 기업/사랑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2015-07-23 14:46:40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건설협, 4회 건설원가관리사에 방현식씨 등 14명 합격자 발표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대한건설협회는 지난 5일 실시한 제4회 건설원가관리사 민간자격시험 최종 합격자 14명을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는 총 102명이 응시해 최종 14명(13.7%)이 1차, 2차 시험을 모두 통과했다. 수석 합격자는 제일모직 방현식(35)씨로, 1차 3과목 평균 91.3점과 2차 시험에서 80점을 얻었다. 건설업체 중에서는 제일모직과 지방공기업인 김포도시공사가 각각 3명씩의 다수 합격자를 배출해 건설 원가관리 분야에서 강세를 보였다. 건설원가관리사는 건설공사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사업비와 그 외 부수적인 비용을 전문적으로 산정·분석하는 원가전문가다. 이미 영국의 QS(Quantity Surveyor), 미국의 CCE(Certified Cost Engineer)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민간자격제도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시험 자격은 관리사 이론과 실습교육 협회과정 이수자 또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초급기술자 이상으로서 3년 이상 적산·견적·공무 등의 실무 현장경력을 가진 자로 한정했다. 최종합격자 명단과 1차 시험 합격자 명단은 오는 24일부터 협회 홈페이지(www.cak.or.kr)와 건설경제신문에 공고된다. 합격자는 다음달 7일까지 건설기술자 증빙서류(한국건설기술인협회 발급 등), 재직증명서(또는 경력확인서) 등 관련 서류를 협회 회원고충처리센터에 제출해야 최종 합격증을 교부받을 수 있다. 합격자 명단(가나다순) ▲ 김상혁(신한종합건설) ▲ 남연우(신한디앤씨) ▲류완상(한국철도시설공단) ▲박양호(건설원가연구원) ▲박정승(제일모직) ▲방현식(제일모직) ▲백동훈(김포도시공사) ▲오창민(김포도시공사) ▲이수호(김포도시공사) ▲이승조(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조광복(일성건설) ▲최수현(제일모직) ▲최재운(포러스건축사사무소) ▲한재종(한양건설)

2015-07-23 14:00:20 김형석 기자
기사사진
8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1만7580가구…전월 대비 18.4%↓

지방은 오히려 전월 대비 17.6% 증가한 9059가구 입주 예정 여름 휴가철 비수기인 오는 8월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 물량은 34개 단지, 1만7580가구로 조사됐다. 전달보다 다소 줄기는 했지만 최근 3년간 평균 동월 물량과는 비슷한 수준이다. 2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다음달 입주 아파트는 전월 대비 18.4%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3년 동월 평균(1만7061가구)보다는 500여가구 많은 수치다. 수도권에서는 전월 대비 38.4% 감소한 총 8521가구가 입주한다. 서울에서는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이촌첼리투스' 460가구와 종로구 무악동 '인왕산2차IPARK' 167가구 등 627가구가 공급된다. 현대산업개발이 종로구 무악동 무악연립2차를 재건축한 '인왕산2차아이파크'는 지하3층~지상17층, 5개동, 전용84~112㎡로 건립된다.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사직로와 통일로를 따라 광화문·시청·서울역 등으로 출·퇴근이 용이하다. 전용84㎡형 매매가격은 6억~6억5000만원 수준에 형성돼 있다. 전세가격은 5억2000만~5억4000만원이다. 경기에서는 고양시 신원동 '삼송우남퍼스트빌' 611가구와 수원시 권선동 'IPARK시티3차' 3~4차 1152가구, 화성시 청계동 '동탄2신도시대원칸타빌2차(A33블록)' 714가구 등 6033가구가 입주를 준비 중이다. 대원이 동탄2신도시 A33블록 일대에 공급한 '동탄2신도시대원칸타빌2차'는 지하2층~지상25층, 8개 동, 전용84~135㎡로 구성됐다. 전용84㎡형 매매가격은 3억7000만~3억8000만원이다. 전세가격은 2억5000만원 수준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인천 입주 물량은 연수구 송도동 '송도더샵마스터뷰'의 1861가구다. 이 단지는 지하2층~지상34층, 17개 동, 전용72~196㎡로 구성됐다. 인천지하철 1호선 인천대입구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하고 제3경인고속도로를 통해 서울 강남권 및 경기권으로 출·퇴근이 편리하다. 전용84㎡형 매매가격은 4억5000만원, 전세가격은 3억2000만원~3억5000만원 수준에 형성돼 있다. 같은 기간 지방은 17.6% 증가한 9059가구가 입주 대기 중이다. 지방별로는 세종시가 총 3507가구 입주해 가장 많다. 이밖에 ▲대구(1408가구) ▲충남(1060가구) ▲대전(995가구) ▲경북(686가구) ▲전남(582가구) ▲부산(486가구) ▲경남(394가구) ▲강원(391가구) 등 순이다.

2015-07-22 23:19:28 김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