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주거복합아파트’ 대세로 다시 떠오르나

주거복합아파트(주상복합아파트)의 인기가 부활하고 있다. 청약 성적은 물론 프리미엄도 승승장구하자 2000년대 초반 '주거복합 붐'이 올해 다시 불붙을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과거 주거복합아파트는 고급주택공간의 대명사였다. 초고층, 초대형으로 설계돼 랜드마크 위엄은 물론 업무 및 중심상업지역에 들어서는 만큼 뛰어난 인프라와 교통망을 갖춰 일반 아파트가 따라올 수 없는 명성을 뽐냈다. 서울 도곡동 타워팰리스나 목동 하이페리온이 아직도 고급 주거복합의 대명사로 명명되고 있다. ◆청약경쟁률 최고 잇따라 기록 주거복합의 인기는 상반기 청약경쟁률에서도 나타났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부산 해운대구에서 분양한 주거복합아파트 '마린시티자이'는 180가구 모집에 8만1076명이 몰려 평균 450대1의 1순위 청약경쟁률로 상반기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울산 주거복합아파트 '울산 KTX신도시 동문굿모닝힐'도 10.6대1을 기록해 울산에서 가장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인 단지로 이름을 올렸으며 광주시 주거복합 '광주호반 써밋플레이스'도 49대1로 올해 광주에서 분양한 16개 단지 중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자 주거복합아파트는 과거 옛 명성을 회복하며 가격도 빠르게 회복, 랜드마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양상이다.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대표 주거복합아파트인 '용산시티파크(2단지)'와 '용산파크타워'는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각각 2801만원과 2765만원으로 용산구 전체 평균인 2286만원보다 최고 515만원 더 비싸다. 인천 송도신도시 '더샵센트럴파크2차'도 3.3㎡당 1478만원으로 송도동 평균 1270만원보다 200만원 이상 높아 최고가 단지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주거복합단지는 주변 인프라까지 고루 갖춘 고급아파트로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수행한다"라며 "단지 자체가 완성도를 품고 있으니 높은 시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최신 트렌드로의 변화 수요층이 최근 다시 주거복합아파트를 주목하는 이유는 '실속형 다운사이징'을 우선 꼽을만 하다. '초대형'이라는 기존 주상복합의 정체성을 포기하고 전용 84㎡ 이하(이하 중소형) 비중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건설사들도 대세 흐름에 편승해 중소형 비율을 늘리는가 하면 심지어 100% 중소형으로만 구성한 단지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올해 분양을 마친 49개 주거복합단지 중 절반이 넘는 32개 단지가 공급가구 100%를 중소형으로 구성했다. 이달 중 분양하는 경남 양산시 '양산 KCC스위첸' 역시 553가구 전체를 전용 74·84㎡의 중소형으로 공급한다. 이는 주거복합아파트의 인기가 절정을 누리던 2007년(11%)과 비교하면 6배 가량이 상승한 수치다. 분양 관계자는 "주거복합 단지가 핵가족화, 소규모 가구 중심으로 재편되는 인구구조에 발맞춰 중소형으로 옷을 갈아입자 입지, 편의성 등의 기존 장점과 시너지를 일으키며 인기가 치솟고 있다"라며 "'마린시티자이'가 올해 최고 청약경쟁률에 기록할 수 있었던 주된 이유도 일반분양한 180가구가 모두 전용 84㎡ 이하로 공급됐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주상복합의 고질적인 단점으로 지적돼 온 전용률 개선도 인기 요인이다. 건설사들은 그간 전용률을 갉아먹던 저층부 상가나 오피스텔을 독립 건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전용률을 높여나가고 있는 추세다. 경기 배곧신도시에 선보이는 '시흥배곧 호반 써밋플레이스'도 주거와 상업시설을 분리, 전용률을 70% 이상 확보했다. 또 다른 인기 요인은 크게 개선된 평면설계다.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타워형 대신 판상형 설계를 채택함으로써 짜임새 있는 공간구조를 내놓는가 하면 오히려 차별화된 설계로 최신 주거 트렌드를 선도하기도 한다. 업계 전문가는 "주거복합아파트는 기본적으로 편리한 교통과 생활편의를 원스톱으로 누릴 수 있는데다 아파트와 같은 주거 쾌적성까지 확보되면 인기는 더욱 올라 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6-07-14 14:48:42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주택거래시장 둔화…상반기 주택·전월세거래량↓

주택거래시장이 침체되고 있다. 상반기 주택거래량과 전월세거래량이 전년대비 모두 감소했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주택 매매 거래량은 46만7659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23.4% 감소했다. 다만 최근 5년(2011~2015년) 평균 상반기 거래량인 47만4000여건에 비해서 1.3% 감소해 예년수준과 비슷했다. 또 지난달 거래량은 9만261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1% 감소했다. 그러나 전월 대비 3.7%, 5년 평균(9만 여건) 대비 2.6% 각각 증가했다. 최근 서울·수도권 일부 주택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택 매매 거래량은 지난 2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게 국토부 설명이다. 상반기 거래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수도권은 24만1893건, 지방은 22만5766건 거래돼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0%, 25.0% 감소했다. 지난달 거래량은 서울·수도권은 5만 286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 지방은 3만 9747건 거래돼 25.2% 감소했다. 서울·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감소폭이 커 지역별 온도차를 드러냈다. 특히 지방에서는 작년 집값이 크게 뛰었던 대구·광주·울산 등의 주택거래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대구는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1만4425건으로 지난해보다 54.1%, 5년 평균보다 49.8% 감소하는 등 주택시장이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1만3219건, 울산은 1만733건의 주택거래량을 기록해 작년보다는 각각 39.4%와 33.0%, 5년 평균보다는 27.9%와 26.6% 감소했다. 주택유형별 거래량을 보면 아파트가 29만7604건 거래돼 전년 동기 대비 29.9% 감소했고 연립·다세대는 9만7515건, 단독·다가구는 7만2540건 거래돼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8.0%, 9.5% 감소했다. 지난달 거래량의 경우 아파트는 5만9252건 거래돼 전년 동월 대비 17.9% 줄었고 연립·다세대는 1만9344건, 단독·다가구는 1만4015건 거래돼 각각 8.1%, 18.3%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월세거래량도 줄었다. 특히 월세 비중이 46%를 차지해 전세 비중을 넘어섰다. 상반기 전월세거래량은 74만7745건으로 지난해보다 3.1% 감소하고 최근 5년 평균보다는 3.3% 높았다. 최근 5년간 상반기 거래량은 2011년 68만9000건에서 2012년 68만건, 2013년 72만9000건, 2014년 75만1000건, 지난해 77만1000건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상승세가 꺾였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역별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은 서울·수도권(50만8467건)은 전년 동기 대비 2.4%늘었고 지방(26만2865건)은 3.1%증가했다. 6월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4%, 11.2% 늘었다. 주택유형별 상반기 거래량은 아파트(34만8901건)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고 아파트 외 주택(42만2431건)은 2.4% 늘었다. 임차유형별 거래량에서는 전세의 월세 전환 비율이 높아졌다. 올 상반기 전국 전세 거래량(43만6711건)은 전년 동기 대비 0.6%증가에 그쳤지만 월세 거래량(33만4621건)은 5.5% 늘었다. 그 결과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순수월세 제외)가 차지하는 비중은 43.4%로 전년 동기(42.2%) 대비 1.2% 늘었다. 6월 거래량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5.2%로 전달보다 1.6%,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2016-07-14 14:24:19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2020년 고속도로 5000㎞시대 열린다…74조 투입

정부가 오는 2020년 '고속도로 5000㎞' 시대를 열어 국민 96%가 고속도로에 30분 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13일 경기도 안양시 국토연구원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국가도로종합계획(안)'을 발표했다. 국가도로종합계획은 정부의 도로정책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등을 담아 국토부 장관이 수립하는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이날 열린 공청회에서 국토부는 ▲효율적인 투자로 경제 성장 지원 ▲철저한 안전 관리로 사고 예방 ▲원활하고 쾌적한 도로 서비스 제공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미래도로 구축 등 4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4193㎞인 고속도로 총연장을 2020년까지 5131㎞로 늘릴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토의 78%, 인구의 96%가 30분 내 고속도로 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모든 교량의 내진보강을 완료하는 등 안전분야도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 또 전체 국도의 55%가량인 '4차선 이상 국도'를 2020년까지 62% 수준으로 늘릴 방침이다. 고속도로 갓길차로를 확대하고 대체노선을 신설해 현재 3899㎞에 달하는 D등급 혼잡구간(혼잡이 심해 도로확장 등을 검토하는 수준)은 2306㎞로 41% 줄인다. 정부는 앞으로 4년간 국가 도로사업에 73조7000억원(국고 38조4000억원, 도로공사 24조1000억원, 민자사업자 11조2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부문별로는 건설 48조8000억원(고속도로 30조6000억원, 국도 13조7000억원, 지원도로 4조5000억원), 관리 24조9000억원(고속도로 16조원, 국도 8조9000억원) 등이다. 또 2020년까지 모든 고속도로에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와 스마트톨링도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C-ITS는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활용해 앞쪽 도로 상황을 개별 차량에 전달해주는 시스템이며 스마트톨링시스템은 과속단속 카메라처럼 달리는 차의 번호판을 인식해 통행료를 받는 시스템이다. 이밖에 경인고속도로 등 일부 도로를 지하화하거나 도로 주변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는 등 도로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단거리 민자고속도로를 운영하는 민자사업자들이 협약을 맺어 고속도로를 통합운영해 관리비를 줄이는 방안도 시행할 계획이다. 평택∼수원∼광명∼서울구간이 통합운영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국가도로망종합계획안에는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기반의 도로 실현', '에너지 생산 도로', '유라시아 1일 생활권' 등 7대 미래도로 비전도 제시됐다.

2016-07-13 16:35:20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사드 유력후보지 부동산시장도 피해 현실화?

한미 양국이 미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주한미군 배치를 공식 결정한 가운데 유력후보지의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주민들은 사드가 배치되면 부동산 가격하락이 불 보듯 뻔하다는 입장이다. 사드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으로 거주의 불안감이 커지고 인근지역에 대한 개발제한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유력하게 검토되는 사드 후보지는 대구, 경기도 평택, 경북 칠곡, 충북 음성, 경남 양산 등이다. 경기도 평택은 용산 미군기지가 이전하고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이 들어서는 고덕국제신도시 개발계획 등으로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땅값이 많이 오른 지역 가운데 하나다. 신규 건설되는 아파트도 수 만 가구에 이를 정도로 부동산 열기가 뜨거운 곳이다. 또한 대구와 인근 경북은 2~3년간 전국 부동산시장 훈풍을 이끌었으며 원주와 음성은 혁신도시로 지정돼 몇 년간 꾸준히 집값이 올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사드가 배치되면 거주지로의 불안감과 주변 지역개발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어 직·간접적인 악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시장 악영향 불가피 국방부는 사드 설명자료를 통해 "사드 레이더는 기지 울타리로부터 최소 500m 들어간 안쪽에 위치해 기지 외부의 주민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배치가 확정되는 지역의 주민들이 타 지역으로 이탈하는 현상도 생길 것으로 보인다.. 최근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지난 2014년 사드가 배치된 일본 교토부 교단고시 주민들이 겪는 건강상의 문제를 예로 들어 사드배치 지역이 거주지로 부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2014년 사드가 배치된 일본 교토부 교탄고시 지역 주민들은 사드배치 기간이 길지 않음에도 구토와 어지러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소음 때문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건강과 생활상의 피해를 겪고 있다"고 위험성을 강조했다. 충북 음성의 한 주민은 "음성이 사드 후보지로 제기되면서 계속 거주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라며 "국방부는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지만 건강이 염려되는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대구의 한 주민도 "일본의 사드 배치지역 주민의 피해상황을 언론을 통해 봤다"라며 "만약 내가 사는 곳 인근으로 최종 결정된다면 다른 지역으로 이사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가 배치되면 인근 개발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점도 부동산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 육군 교범에 따르면 사드 레이더 반경 5.5㎞ 내에는 전자파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항공기의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다. 특히 평지 기준으로 100m 이내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레드존' 구역으로 지정돼 미군기지가 되기 때문에 기지 주변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이게 된다. ◆유력후보지 부동산시장 '술렁' 사드 배치가 확정되면 당장 집값, 땅값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유력후보지로 떠오른 일부지역에서 부동산 투자 문의가 줄고 거래도 감소하는 등 벌써부터 부동산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KB국민은행 시세에 따르면 경상북도 칠곡군 아파트 1㎡ 거래가는 1분기 132만원이었으나 2분기에 129만원으로 떨어졌다. 이는 경북 전체 평균(165만원)을 크게 밑도는 수치로 전국 평균(284만원)과도 차이가 크다. 최근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대구 부동산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6월 대구지역 주택 매매가격은 전달에 비해 0.27%나 하락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칠곡 왜관읍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유력후보지로 오르내리고 있는 것 자체가 이미 '멘붕'인 상황"이라며 "최근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가격이 떨어졌는데 지금은 거래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 또 그는 "사드 배치가 확정되면 아파트가격은 지금보다 더욱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특히 지난 11일 "정부가 영남권의 제3지역을 내정했다"는 속보가 나간 후 유력한 후보지로 떠오른 경남 양산은 시장상황이 크게 변했다. 양산은 오는 11월 부산도시철도 양산선이 착공하고 메디컬시티(의생명R&D센터), 가산산업단지, 물금신도시 조성 등 개발호재가 충분해 부동산시장이 활황을 이루던 곳이다. 양산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최근 개발호재 등으로 수요자의 문의가 꾸준했지만 '사드배치 유력후보지' 선정 보도 후 기존계약도 보류하는 일도 발생했다"라며 "방문한 수요자도 사드배치 후보지 등을 먼저 물어보고 망설이는 사례도 늘어나 큰 곤란을 겪고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

2016-07-13 15:51:50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분양시장 각종 악재에 ‘임대주택’으로 관심 이동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중도금대출 규제, 공급과잉 등 부동산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임대아파트로 수요자의 관심이 이동하고 있다. 임대아파트의 경우 집값 하락에 대한 걱정이 없고 큰 목돈이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가계대출 규제시행과 공급과잉 문제가 붉어진 지방의 경우 지난 6월 아파트 값이 0.04% 하락했다. 지난 2월 0.02% 상승 이후 3월 0%, 4월과 5월 각각 -0.05%, -0.02%를 보이며 석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부동산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던 대구의 경우 지난달 0.39% 하락하며 지난해 12월부터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경기도와 인천은 브렉시트와 집단대출규제 발표 등으로 6월 집값 상승률이 각각 0.11%, 0.06%를 기록하며 전달(0.12%, 0.12%)에 비해 상승폭이 줄었다. 집값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 역시 7월 첫째 주 아파트 값 상승률이 전주(6월 24일, 0.31%) 보다 0.24% 오르는데 그쳤다. 분양가 상승에 따른 내집마련 부담도 임대아파트의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 올해(1~6월까지) 전국에서 분양한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1018만원으로 2년 전(2014년, 939만원)에 비해 8.41% 상승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3.3㎡당 2158만원으로 이 기간 동안 14.3% 상승했고,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은 3.3㎡당 3964만원으로 2년 전에 비해 무려 84.72%나 급등했다. 이에 주거안정이 보장되고 주변시세보다 저렴한 뉴스테이, 공공임대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뉴스테이의 경우 8년 동안 임대기간이 보장되고 임대료 상승률도 1년에 최고 5%까지 제한된다. 민간건설사에서 공급하는 만큼 건설사만의 경쟁력을 갖춘 서비스나 상품 등의 질 높은 주거환경에서 거주가 가능하다. LH나 지자체 공사에서 공급하는 공공임대는 임대기간이 5년 또는 10년이며 임대기간 종료 후 분양전환이 가능하다. 임대료도 전용 85㎡ 이하가 시세의 90% 수준, 85㎡ 초과는 시세 수준이기 때문에 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도 서민이나 중산층의 주거안정을 위해서 임대아파트 공급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고 사람들의 인식도 집을 소유의 개념에서 이용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어 임대아파트에 대한 인기는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반기에 LH 뿐만 아니라 대형 건설사도 임대아파트 공급을 예정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경기도 화성시 반월동에 '신동탄 롯데캐슬'을 공급 중이다. 전용면적 59~84㎡ 1185가구 규모로 이뤄졌다. LH는 이달 경기도 양주 옥정신도시와 남양주 별내택지개발지구에서 4000여 가구를 공급한다. 우선 양주 옥정신도시 A8블록에는 전용면적 24~46㎡, 1206가구, A16블록에는 전용면적 26~43㎡ 1384가구를 공급한다. 또 같은 달 남양주 별내택지개발지구 A16-2블록에는 전용면적 24~59㎡, 1058가구, A16-3 블록에는 전용면적 26~46㎡, 368가구 규모를 공급한다. 현대건설은 하반기 경기 수원시 호매실지구 C5블록에서 뉴스테이 '힐스테이트 호매실'을 공급한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74~97㎡로 800가구 규모로 이뤄졌다. 한화건설은 하반기 인천 남동구 서창2지구 13블록에서 뉴스테이 '인천서창2지구 꿈에그린'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74~84㎡로 1212가구 규모로 구성됐다. ㎡

2016-07-13 15:48:47 김형준 기자
기사사진
하반기 수도권 공공택지 분양 ‘봇물’

올 하반기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분양물량이 쏟아진다. 지난 2014년 9.1대책으로 2017년까지 공공택지 지정이 중단됐지만 과거 지정된 물량이 몰렸기 때문이다. 공공택지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민간택지 민영아파트보다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점이 특징이다.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하반기에 수도권에서 분양하는 공공택지 분양아파트는 58개단지, 3만8792가구에 달한다. 이는 뉴스테이 등 임대아파트는 제외한 물량으로 전년(3만6902가구)보다 5.1% 늘어난 수치다. 동탄2신도시에는 13개단지 9706가구가 하반기에 분양될 예정이다. 동탄호수공원 인접지역에서는 부영이 A70블록(641가구), A71블록(520가구), A72블록(706가구) 등 6개단지 4553가구를 분양한다. B9블록에선 테라스하우스(연립주택)인 '남해오네뜨 더 테라스(147가구)'가, C17블록에선 주상복합 아파트인 '우미린스트라우스 더 레이크(956가구)'가 같은 달 분양할 예정이다. 하남 미사강변도시와 함께 청약경쟁이 뜨거운 다산신도시에서는 올 하반기에 9개단지, 8036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별내선(서울지하철 8호선 연장선) 다산역(가칭)이 들어서는 진건지구는 3개단지 1686가구가 분양된다. 진건지구 C1블록에서는 '다산신도시 유승한내들 골든뷰(316가구)'가 이달 분양한다. 진건지구 경기도시공사 공공분양(B3, B5블록) 1370가구는 10월 분양된다. 지금지구 B5블록 '다산신도시 반도유보라 메이플타운 2.0(1261가구)'은 8월에, 지금지구 B3블록 '다산신도시 신안인스빌(1282가구)'은 11월에 분양될 예정이다. 한강신도시에서는 하반기에 7개단지 4159가구가 쏟아진다. 호반건설은 Ab18블록, Ab19블록, Ab21블록, Ac10블록 등 4곳에서 1642가구를 연내 분양한다. 화성 송산그린시티에서는 5개단지 3276가구가 분양된다. 대방건설이 EAA4블록(426가구), EAA5블록(606가구), EAB9블록(872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에선 송파 오금지구 1단지(B1블록, 공공분양) 166가구가 유일하다. 이밖에 서수원 호매실지구에선 수원호매실지구 B2블록 공공분양(999가구), C2블록 'e편한세상 수원호매실(530가구)' 등 2개단지 1529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2016-07-13 11:52:49 김형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