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지난해 SH공사 임대아파트 공용 관리비 '천차만별'…최대 5배 차이

지난해 같은 SH공사 임대아파트라도 공용 관리비가 최대 5배까지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용관리비는 인건비와 제세공과금 등 일반 관리비, 수선유지비, 환경미화원 인건비 등 청소비, 경비비 등을 포함한다. 서울시가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임대주택 관리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1∼6월) SH공사가 관리하는 임대아파트 184개 곳 중 1㎡당 관리비가 가장 비싼 단지는 서울 성동구 '서울숲 2차 푸르지오'로 공용관리비는 1㎡당 1903원에 달했다. SH공사 임대아파트 평균 765원을 훨씬 웃돈다. 가장 싼 서울 동작구 상도동 상도SH-ville 378원에 비해 5배나 비싸다. 서울숲 2차 푸르지오 다음으로 공용관리비가 비싼 곳은 중구 신당동 하왕한진그랑빌이 꼽혔다. 1동짜리 나홀로 아파트 116가구로 공용관리비는 1㎡당 1538원이었다. SH공사 임대아파트 평균의 2배 수준이다. 3위는 동대문구 용두동 용두두산위브, 4위는 서대문구 냉천동 냉천동부, 5위는 서대문구 홍제동 홍제유원 아파트가 차지했다. 상도SH-ville에 이어 공용관리비가 싼 단지는 강서구 방화동 유니트로원룸이었다. 1㎡당 379원 SH공사 임대아파트 평균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 SH공사 임대아파트의 공용관리비 평균 단가가 1㎡당 910원으로 가장 높았다. 강서가 869원으로 뒤를 이었고 성동구 852원 순으로 이어졌다. 강남구에서 개포동 대치1단지의 공용관리비는 1㎡당 1053원으로 가장 비쌌다.

2016-01-18 14:01:0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2016 부동산 시장 엿보기③] 고수익률 보장? 십중팔구 미끼

확정수익·선임대로 투자자 현혹 솔깃해 섣불리 계약했다간 쪽박 수익 보장하는 약정서 확보 관건 수익률을 보장해준다고 광고하는 상가 중에서 실제 분양 후 약속된 금액을 입금하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심지어 필자가 부동산업에 뛰어든 이후 약속을 지키는 업체를 거의 본 적이 없다. 주로 테마상가, 쇼핑몰 등에서 확정 수익 지급을 제시하는데 제대로 상권이 자리 잡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약속된 내용이 입금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수익률 보장을 내세우면서 시행사나 분양대행사 측에서 임대료를 보조 지급해 수익률을 맞춰주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도 주의해야 한다. 분양가가 당초 높게 책정돼 투자자에게 수익률을 맞춰줄 수 없어 일정 기간 임대료를 보조하는 모양새를 취한다. 하지만 임대료 보조 기간(실제로 약속대로 임대료 보조해주는 곳도 거의 없음)이 끝나게 되면 세 들어 있는 임차인이 임대료 수준을 못 맞춰주게 된다. 결과적으로 더 낮은 수준의 임대료를 요구하는 임차인에게 점포를 내주게 되면서 상가 가치가 동시에 하락하게 되는 불운을 맞게 된다. 이처럼 실제 상가의 가치가 고평가된 곳에서 인위적으로 시행사나 분양대행사에서 보조금을 지급해주는 경우 결국 투자자 둘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선분양 상가도 주의해야 한다. 미사지구, 마곡지구와 위례, 동탄, 광교신도시 등 인기 택지지구에서는 분양 승인 전에 계약금을 받고 계약서 대신 약정서나 청약서 등을 제공하는 형태로 편법적인 '선분양'을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건축물 분양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분양 면적 3000㎡ 이상 상가는 사용 승인 전 분양(선분양)을 할 수 없다. 다만 신탁사와 신탁 계약을 맺거나 건축허가를 받고 토지 대금을 완납한 후 착공용 토지사용허가서를 발급받는 경우 등에 한해서만 선분양이 가능하다. 자금력이 약한 사업 시행자가 은행 등에 '분양 신청 계약서'를 보여주고 대출로 사업비를 마련하기 위해 선분양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식 계약서를 쓰기 전에 매수자에게 실질적으로 분양 우선권 또는 소유권을 주고 손 바뀜에 따라 명의 변경을 해주고 웃돈이 거래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편법 분양에 해당된다. 선분양은 시행사가 부도나거나 계약금이 다른 용도로 유용됐을 때 정식 계약서를 받지 못한 투자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을 명시해야 한다. 2003년 3200여 명의 투자자가 3735억 원의 투자금을 날린 '굿모닝시티' 사건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2016-01-18 11:59:28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2~4월 전국서 5만8344가구 집들이 나서

2~4월 안성대덕, 광주화정 등 전국에서 아파트 5만8344가구 입주가 이뤄진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역별로 서울·수도권 2만 530가구, 지방 3만7814가구다. 서울·수도권은 2월 서울 양천구 목동 힐스테이트 1081가구, 경기 안성 대덕면 롯데캐슬 센트럴 2320가구 등 1만 3133가구가 입주한다. 3월에는 인천 송도 캠퍼스타운 M1 1230가구, 인천 청라 청라파크자이 LA1·2 646가구 등 3018가구, 4월에는 서울 성동구 신금호파크자이 1156가구, 하남미사 동원로얄듀크 A22 808가구 등 4379가구가 집들이에 나선다. 지방은 2월 대구테크노폴리스 A1 국민임대 아파트 1390가구와 구미 봉곡 편한세상 1254가구를 비롯한 1만 2174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3월은 대구신서혁신 A2 국민임대 1028가구, 구미 옥계 중흥S-클래스 1220가구 등 1만1900가구, 4월 광주 화정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1·2·3단지 3726가구, 충남 도청이전 중흥S-클래스 RM10 1660가구 등 1만 3740가구가 각각 집주인을 맞이한다. 주택형(전용면적)별로는 ▲60㎡ 이하 1만7798가구 ▲60~85㎡ 3만7132가구 ▲85㎡ 초과 3414가구가 공급된다. 전용 85㎡이하 중소형 주택이 전체 94.1%를 차지한다. 민간 입주물량은 4만 7268가구, 공공은 1만 1076가구로 조사됐다. 공급주체별로는 민간 4만7268가구, 공공 1만1076가구다.

2016-01-18 11:18:13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1분기 전국서 1천가구 이상 대단지 3만가구 공급된다

1분기(1~3월) 전국 21곳에서 대규모 단지(1000가구 이상) 3만3487가구가 공급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 2만606가구에 비해 1만2881가구 늘어났다. 삼성물산, GS건설, 롯데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등 대형건설사 물량이 주를 이룬 가운데 흥한주택종합건설, 동문건설 등 중견건설사들 약진이 돋보인다. 1000가구 이상 단지는 규모에 걸맞게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과 조경을 잘 갖추고 있다. 수요도 풍부해 주변 인프라 형성이 수월하다. 뿐만 아니라 대체적으로 공공관리비도 소규모 단지보다 저렴하다. 이러한 이유로 선호도가 높고, 지역 내에서 시세를 주도하며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대단지 아파트를 축으로 중심 생활권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 지방에서는 분양 전부터 주목을 받는다. 분양성적은 좋다. 지난달 1245가구 규모로 공급된 '수영 SK VIEW(뷰)'는 청약에서 평균 133대 1, 최고 23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에서 마감됐다. 11월 서울 가락시영아파트를 재건축한 '송파 헬리오시티'는 9510가구 중 일반 물량인 1558가구가 34.46대 1의 평균 경쟁률로 마감됐다. 시세도 높다. 1000가구~1500가구 미만의 대단지 아파트 전국 매매가는 3.3㎡당 1049만원선에 거래된다. 300가구 미만 단지가 850만원, 300가구~500가구 미만 단지가 867만원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월등히 높은 매매가를 형성하고 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대단지 아파트는 지역 내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확률이 높은 데다 상대적으로 매물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거래가 활발하고, 거래가격이 시세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아 선호도가 많은편"이라고 말했다. 1분기 알짜물량들이 공급을 앞두고 있다. GS건설은 이달 말 충남 천안 성성지구 A1블록에 '천안시티자이'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9층, 12개 동 전용면적 59~84㎡ 1646가구 규모다. 전 세대가 인기 높은 전용 85㎡ 이하의 중소형으로만 구성된다.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가까워 직주근접이 가능하다. 흥한주택종합건설은 2월 경남 신진주역세권 도시개발사업지구 C-1블록에서 '신진주역세권 센트럴 웰가'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3층, 전용 59~84㎡, 1152가구 규모다. '아이사랑' 컨셉으로 지어지는 단지는 별동학습관과 영어도서관, 워터파크와 키즈스테이션 등 특화설계가 적용된다.

2016-01-18 10:40:56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