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매매·전세값 상승폭 전주 대비 확대
전국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상승폭이 다소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값도 수도권에서 강세를 보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2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3% 상승했다. 이는 지난주 상승폭(0.12%)보다 0.01%p 확대된 수치다. 수도권(0.15%)은 서울(0.16%)이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보인 가운데 경기와 인천 지역의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0.16%)은 강북권(0.16%)이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강북권(0.16%)은 중소평형단지를 중심으로 실수요자의 매수문의가 꾸준히 이어지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남권(0.15%)은 매도인의 매물회수와 메르스 사태 여파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구별로보면 동대문구(0.34%)가 가장 큰폭으로 상승했다. 이어 금천구(0.32%), 성동구(0.24%), 영등포구(0.24%), 강서구(0.23%), 구로구(0.22%), 강남구(0.22%) 순이었다. 지방은(0.11%)은 대전과 세종 지역은 하락세이나 대구와 제주의 상승폭이 확대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 제주(0.33%), 광주(0.32%), 대구(0.27%), 인천(0.17%), 울산(0.16%), 서울(0.16%), 경기(0.15%), 부산(0.13%), 전남(0.07%) 등은 상승했다. 세종(-0.02%), 대전(-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전주 대비 상승(143→141개) 지역과 하락(21→18개) 지역은 감소했고, 보합(14→19개) 지역은 증가했다. 전세가격은 저금리 기조에 따라 임대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며 전세공급은 축소된 반면, 임차인의 전세 선호로 대기수요가 증가하며 전세 수급불균형이 심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25%)은 서울·경기·인천의 상승폭이 지난주 대비 확대됐다. 서울(0.26%)은 전세매물 부족이 심화된 성동구·노원구·동대문구를 중심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은 확대됐다. 강남권(0.24%)은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구별로 보면 성동구(0.47%)가 가장 많이 올랐으며, 노원구(0.45%), 송파구(0.34%), 강서구(0.32%), 동대문구(0.30%), 성북구(0.29%), 서초구(0.27%) 순이었다. 지방(0.10%)은 주요 상승 지역인 광주, 대구의 상승세가 둔화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광주(0.37%), 인천(0.28%), 제주(0.27%), 서울(0.26%), 경기(0.25%), 대구(0.21%), 강원(0.12%), 전남(0.10%), 충남(0.09%) 등은 상승했다. 세종(-0.02%)은 하락, 대전(0.00%)은 보합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