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경기권역 미분양 2개월간 107% 증가…비싼 분양가·공급과잉 때문

지난해 11월부터 경기권 미분양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경기 미분양은 지난해 10월말 1만2510가구에서 같은 해 12월 2만5937가구로 2개월만에 무려 107.3%가 늘었다. 미분양 물량은 용인시가 7237가구로 가장 많았고 파주(4285가구), 화성(3617가구), 김포(2708가구), 평택(2360가구) 순이었다. 이처럼 미분양 물량이 급증한 이유는 무엇일까?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이 지난해 11~12월 청약 1순위에서 미달돼 미분양이 발생한 경기권 분양단지 25곳을 집중분석한 결과 우선 미분양이 발생한 단지는 1순위 미달은 물론 2순위에서 실수요자인 해당 지역 우선공급에서 대부분 미달됐다. 고분양가와 공급과잉 때문으로 분석된다. 파주는 지난해 11월 분양한 힐스테이트 운정 2998가구 모든 주택형이 2순위에서 미달됐다. 3.3㎡당 평균 분양가는 1040만원으로 인근 기존아파트 시세가 900만원을 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분양가가 너무 비쌌다. 이에 앞서 10월말 분양한 운정신도시 센트럴 푸르지오 1956가구도 대부분 2순위에서 미달되며 미분양사태가 발생했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1020만원이었다. 내부수요가 부족한 파주에서 공급과잉이 있었던 것도 미분양에 한몫했다. 9월 분양한 운정 롯데캐슬 파크타운 2차 1169가구가 미분양중인 상태에서 운정신도시 센트럴 푸르지오, 파주 해링턴 플레이스, 힐스테이트 운정 등 3개월간 모두 7000여가구가 분양됐다. 용인은 공급과잉으로 미분양이 발생했다. 분양물량이 2014년 2141가구에서 지난해 2만5022가구로 10배 이상 늘었다. 특히 평당 700만원대로 인근 아파트 시세보다 낮게 책정한 용인 한숲시티 6725가구가 대부분 1순위에서 미달되며 대량 미분양사태가 발생했다. 지난 12월 분양한 용인 기흥 우방아이유쉘, 광교상현 꿈에그린도 1순위에서 미달되며 미분양됐다. 화성은 동탄2신도시에서 지난해 11월부터 미분양이 나오기 시작했다. 선호도가 낮은 남동탄인 데다 3.3㎡당 분양가가 1000만원 이상으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또 분양물량(화성시)도 2014년 7894가구에서 2만4858가구로 급증했다. 지난 12월 분양한 동탄2신도시 3차 푸르지오, 동탄2 금호어울림레이크, 신안인스빌 리베라3·4차 등이 모두 1순위에서 미달됐다. 신안인스빌 리베라3차(470가구)와 4차(510가구)는 모두 2순위에서도 미달됐다. 남동탄에 위치한 데다 수요층이 얇은 전용면적 84~96㎡ 중대형에 3.3㎡ 당 분양가가 1030만원대로 높았다. 김포는 지난해 11월 분양한 한강신도시내 김포한강 아이파크(1,230가구)는 대부분 2순위에서도 미달되며 미분양이 발생했다. 역시 높은 분양가가 발목을 잡았다. 김포한강 아이파크 분양가는 3.3㎡당 평균 1025만원이었으며 인근 구래동 아파트 시세는 970만원대였다. 반면 이웃한 한강신도시 Ab-12블록 이랜드타운힐스는 김포도시철도 운양역(예정) 역세권에 신도시 중심에 위치한 데다 적정 분양가 990만원으로 모든 주택형이 1순위 마감됐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대출규제, 공급과잉, 미국 금리인상이라는 3대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11월부터 미분양물량이 급증했다"면서 "올해 경기권 분양물량이 12만가구가 넘어서는 만큼 내집마련 청약자들은 수급, 입지, 분양가를 따져보고 선별청약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2016-02-01 09:30:2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이달 경상권서 1만여가구 공급된다

이달 경상권(경남, 경북, 부산, 대구, 울산)에서 1만여 가구가 공급된다. 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분양물량(예정 포함)은 1만893가구다. 지난해 분양물량인 1898가구에 비해 82%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 ▲경남 4060가구 ▲경북 2727가구 ▲부산 2281가구 ▲대구 1322가구 ▲울산 503가구가 분양된다. 경상권은 사천과 진주에 항공산업, 밀양에 나노융합, 거제에 해양플랜트 국가산업단지가 각각 들어서는 등 개발 호재가 이어진다. 이 가운데 항공산업 국가산단의 생산유발 효과는 연간 6조1000억원, 부가가치도 1조56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2만2000명의 고용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KTX 진주역, KTX 울산역 등이 복합환승센터로 개발되면서 광역 교통망이 개선되는 등 미래 가치도 기대된다. 개발호재로 인구도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행정자치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상권 인구는 1324만2668명으로 2014년 1323만93명에 비해 1만2575명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남이 336만4702명으로 가장 많고 경북 270만2826명, 울산 117만3534명 순이다. 인구 증가는 우수한 청약경쟁률로 이어졌다. 지난해 신규 분양된 단지의 청약경쟁률 상위권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표적으로는 힐스테이트 황금동을 들 수 있다. 전체 197가구 모집에 청약통장을 사용한 신청자가 12만2563명으로 평균 경쟁률이 622.14대 1이었다. 새 아파트 청약제도가 만들어진 이후 단지별 평균경쟁률로는 최고치였다. 건설사들은 연초부터 경상권 전 지역에서 고루 분양에 나서고 있다. 경남 사천시에서는 '흥한 에르가 사천'이 공급된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15층, 전용면적 59~142㎡ 635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연구개발센터가 단지 바로 앞에 위치하며 사천 제1, 2 일반산업단지 등 10개의 산업단지가 인근에 위치해 배후수요를 갖췄다. 또한 사천시청, 법원, 보건소 등 행정시설이 가까워 이용이 편리하다. 단지 인근에 사천공항, 사천IC 등이 있어 타 지역으로의 이동도 수월하다. 중심상권이 가까워 다양한 편의시설 이용이 가능하며 생태공원과 남해힐튼 골프장도 인접해 있다. 경남 진주시 신진주역세권 도시개발사업지구 C-1블록에서는 '신진주역세권 센트럴 웰가'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단지는 지하 2층, 지상 33층, 10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1152가구로 조성된다. 단지 남측으로 정촌일반산업단지가 있고, 항공국가산업단지, 뿌리산업단지가 추진될 예정으로 향후 미래가치가 높다. 뿐만 아니라 서측에는 남해고속도로, 동측에 국도2호선, 남측에는 KTX진주역과 경전선 복선전철이 다니는 교통의 요충지로 광역 교통망도 갖췄다.

2016-02-01 07:16:20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청약통장 가입자수 2천만명 육박…2014년 대비 240만명 증가

청약통장 가입자 수 2000만명 시대가 열렸다. 지난해 청약제도 간소화와 분양시장 호황이 겹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31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1997만189명으로 2000만명에 육박했다. 매월 통장 가입자가 10만∼20만명씩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이달까지 2000만명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말 1757만6679명이던 청약통장 전체 가입자는 1년 만에 239만3510명(13.6%) 늘었다. 2013년 말 1620만9822명 대비 2014년 통장 가입자 수가 136만 6857명(8.4%) 늘어난 것에 비해 100만명 이상 더 증가했다. 공공·민간 등 모든 아파트에 청약이 가능한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1767만2811명으로 2014년 대비 259만여명(17.2%) 늘어났다. 반면 청약저축과 청약예금, 청약부금 가입자 수가 지난해 각각 9∼13%씩 줄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신규 가입자들이 대거 몰린 때문으로 풀이된다. 청약통장 가입자가 급증은 지난해 청약제도 완화로 서울·수도권의 1순위 자격이 통장 가입 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된 데다 전세난 심화로 일반 주택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신규 분양을 받아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신도시나 지방 등 일부 지역에서는 당첨만 되면 수천만원의 분양권 프리미엄(웃돈)이 붙자 분양권 전매 차익을 노린 투자 수요가 증가한 것도 한몫한 것으로 판단된다. 청약 자격이 완화되면서 청약통장 전체 1순위 통장 가입자 수는 2014년 745만9622명에서 지난해 말 기준 1110만2733명으로 364만 3111명(48.8%) 늘었다.

2016-01-31 13:17:58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주택담보대출 규제 앞두고 주택가격 상승폭 주춤

2월 1일 수도권부터 시행되는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의 악재와 계절적 비수기 영향 등으로 이달 주택가격 상승폭이 주춤했다. 3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전국 통합 주택 매매값은 지난해 말 대비 0.04% 상승했다. 지난 12월 상승률 0.15%의 3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친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서울 0.05%, 경기 0.04%, 인천 0.01% 올랐다. 반면 지방은 일제히 내림세를 기록했다. 대구가 -0.14%로 전국 시·도를 통틀어 가장 많이 하락했고 충남 -0.11%, 경북 -0.07%, 대전 -0.06% 등의 순으로 낙폭이 컸다. 제주도는 지난 한달 2.05% 오르며 '나홀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감정원이 이달 처음 발표한 전월세 통합지수는 지난 12월에 비해 0.09% 상승했다. 12월 전월세 통합지수가 11월 비해 0.16% 상승한 것에 비하면 전월세 가격도 지난달보다는 둔화됐다. 전월세 통합지수는 전·월세 시장의 단일화된 지표를 제공하기 위해 전세지수와 월세통합지수, 전·월세 주택재고비율 등을 활용해 산출한다. 한국감정원 조사 주택의 전월세 재고비중은 전세가 47.1%, 월세가 52.9%다. 이 가운데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이달 0.14% 상승하며 지난달 0.26%에 비해 오름폭이 축소됐고, 월세는 지난달 보합에서 이달에는 0.01% 상승했다. 월세 유형별로는 순수 월세가 이달 들어 0.04%, 준월세가 0.01% 각각 하락했으나 준전세는 0.08% 상승했다. 그러나 준전세도 오름폭은 지난달 0.15%에 비해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1월 전국 주택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평균 66.1%로 지난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지난달에 비해 0.2%포인트 오른 73.6%였고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은 지난달과 같은 66.3%, 47.9%를 각각 기록했다.

2016-01-31 12:20:50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현장르포] '삼성맨' 주목하는 천안시티 자이 견본주택 가보니

햇볕·바람 잘 들어와 거실은 넓고 아늑해 역세권·인프라도 갖춰 지난 1월 29일 오전 10시 30분께 도착한 KTX 천안아산역은 쌀쌀한 날씨가 많이 풀린 서울과는 달리 아직 눈으로 덮여 있었다. 역사를 빠져나와 5분 정도 걸어간 뒤 마주한 횡단보도 앞에는 천안시티자이를 비롯해 일대 분양을 알리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다. 분양관계자들이 중간보도블록 나무 사이에 분주하게 플래카드를 거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역주변에는 설 연휴를 앞두고도 견본주택이 여러군데 개관돼 있었다. 차량으로 10분여를 달려 도착한 견본주택은 입장을 기다리는 방문객의 행렬이 이어졌다. 분양 관계자에 따르면 방문객 가운데 두정동 주민 분포율이 32%로 가장 많고 ▲백석동 7.4% ▲성정동 7.3% ▲쌍용동 6.2% 순이다. 인근 두정동과 불당동 등에는 10년 이상된 노후 아파트가 80%를 차지하고 아산탕정지구는 택지지구 조성이 완료된 데다 민간아파트 공급 계획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서울 강남권에서도 알아주는 브랜드 아파트이자 GS건설이 사실상 올해 처음 포문을 여는 단지인 만큼 수요층의 관심은 높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평당 분양가는 880만원으로 일대에 공급된 브랜드 아파트 단지와 비교했을 때 일부 저렴한 편이다. 시세차익도 기대된다. 인근에 먼저 공급된 불당 백석지역 아파트는 2억6000만원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견본주택은 내부는 방문객으로 북적거렸다. 그랜드 오픈이었던 이날 견본주택 2층 유니트 앞에는 방문객을 위한 다트쏘기 이벤트가 열렸다. 견본주택을 둘러보던 방문객들이 삼삼오오 모여 재밌는 시간을 즐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20분간 진행된 사업설명회에서는 천안시의 특장점과 천안시티자이의 경쟁력이 소개됐다. 단지는 성성지구 내에서도 명당 1지구에 위치한다. 반경 500m내에 삼성 디스플레이와 삼성 SDI 등이 가까워 직주근접 수요 확보가 예상된다. 연평균 9300여 명이 유입됐다. 개발 호재도 이어진다. 성성지구는 내년까지 약 8000여가구 규모의 신주거지가 형성된다. 여기에 지난 1월 14일 승인이 난 국가도시첨단산업단지가 4.8㎞ 거리에 있다. 미래먹거리로 부상되고 있는 수소차와 이차전지 생산 관련 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된다. 수도권에서 이전하는 첨단·서비스기업은 우선 공급하는 등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단지는 전용면적 59㎡, 74㎡, 84㎡ 세 가지 타입으로 공급된다. 전체 가구 가운데 76%가 4베이로 설계돼 채광과 통풍이 좋다. 4베이 평면 중 전용 59㎡C, 84㎡C타입에는 3면 발코니 설계가 적용돼 실사용 면적이 넓게 느껴진다. 전용 59㎡타입 주력 판상형은 4베이 설계로 침실 3개소에 넓은 안방 드레스룸을 자랑한다. 거실폭이 3.6m로 높아 아늑하면서도 넓은 느낌이 들었다. 전용 74㎡타입은 넉넉한 수납이 가능한 팬트리(플러스옵션)가 제공돼 청소도구, 주방용품, 계절가전 등 부피가 큰 생활용품들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전용 84㎡타입에는 놀이방이나 서재, 팬트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알파룸이 제공된다. 주방은 렌지후드, 가스쿡탑, 빌트인냉장고, 빌트인 김치냉장고, 컬러티브이폰, 조리대콘센트, 세제 디스펜서, 주방 싱크수전도 설치된다. 거실은 4.5m 더 넓어진 폭이 적용됐다.

2016-01-31 11:53:35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주간분양캘린더] 시흥 '배곧헤리움어반크로스2차' 外

2월 첫째 주에는 전국 4개 사업장에서 3931가구를 공급한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시흥시에서 1026실 규모의 '배곧헤리움어반크로스2차' 오피스텔이 공급되며 지방에서는 대구 동구 '이안동대구' 931가구(일반분양 305가구), 충남 천안시 '천안시티자이' 1646가구 등 2905가구가 공급을 앞두고 있다. 구정연휴를 앞두고 있어 문을 여는 견본주택 소식은 없다. 당첨자발표는 10곳에서 있다. 2월 4일 강원 원주시 지정면 '롯데캐슬더퍼스트2차' 당첨자 발표가 이뤄진다. 이 단지는 최근 전용 84㎡A 340가구가 일반 공급됐다. 당해지역 1순위에서 1688가구가 접수해 4.96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외 울산 중구 학산동 '울산학산동동남하이빌', 충남 천안시 신당동 'e편한세상천안부성' 등에서 발표가 예정돼 있다. 계약은 4곳에서 실시된다. 2월 1일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자이' 계약이 진행된다. '신반포자이'는 전용 59㎡A 23가구가 일반 공급됐다. 당해지역 1순위에서 2245가구가 접수해 97.61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외 경북 예천군 예천읍 '예천이테크코아루', 충남 천안시 쌍용동 '천안쌍용역코오롱하늘채' 등이 계약을 앞두고 있다. 2월 첫째주 분양 단지 중에서는 배곧헤리움어반크로스2차를 주목할만하다. 단지 내에 자체적으로 상가, 카페 등 생활 편의시설을 모두 갖춰 '원스톱라이프'를 즐길 수 있으며 지상 1~2층에는 가로·세로 224m 길이의 배곧신도시 내 최대 유럽형 스트리트몰이 조성된다. 테라스형 문화복합 상업시설로 설계되며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가 가능한 단지 내 헤리움 광장도 들어선다. 최상층 스카이가든에서는 탁 트인 조망을 즐기며 운동할 수 있는 스카이 조깅 트랙과 휴식 공간이 조성되며, 지상 3층에도 옥외정원이 설치될 예정이다. 오피스텔은 지하철 4호선·수인선 환승역인 오이도역과 달월역이 인접해 있고 인천국제공항과 KTX광명역, 인천항, 서울대 본교 등을 모두 차량 20분 대 접근할 수 있다. 또 제3경인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제2서해안 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등 무려 4개 고속도로가 만나는 교통 요충지로서의 여건도 갖추고 있다.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배곧대교도 개통을 앞두고 있어 송도국제도시의 다양한 인프라도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올해와 내년에 각각 롯데마트와 신세계 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롯데마트이 완공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서울대의료원과 서울대 부속 초·중·고교, 치의학 병원, 컨벤션센터가 들어서고 대우조선해양이 2018년에 개교하는 서울대 시흥캠퍼스에는 산학 연구개발(R&D) 시설이 조성될 계획이다. 분양가는 3.3㎡당 600만원대로 저렴하며 중도금 60% 무이자 혜택이 적용된다.입주 시까지 계약금 외에는 별도로 들어가는 돈이 없기 때문에 부담 없이 소액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6-01-31 11:53:03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관망세 속에 거래량 뚝↓…서울 아파트 아파트값 상승률 6주째 '0'

지난해 말부터 이어져 오던 아파트 시장 관망세가 올 들어 계속되며 6주째 보합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 전세 거래량은 대폭 감소했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부동산정보광장에서 발표하는 아파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 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일일 평균 매매거래량은 177건으로 2015년 220건 대비 약 20% 감소했으며 전세 역시 243건으로 같은 기간 334건에 비해 약 27% 감소했다. 매수자들이 가격 하락을 예측하며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가운데 매도인들은 희망가를 내리지 않으면서 거래시장은 한산한 모습이다. 서울은 ▲강서·용산 0.05% ▲관악·금천 0.04% ▲노원·서대문 0.03% 순으로 매매값이 상승했다. 반면 ▲양천 -0.04% ▲중랑·강남 -0.3% ▲도봉·송파 -0.01% 등 매매값이 하락했다. 신도시 아파트 매매값은 전주보다 0.01%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변동이 없었다. 신분당선 연장선 개통이라는 교통 호재를 앞두고 광교가 0.07% 올랐고, 일산은 0.01% 내렸다. 경기지역에서는 ▲시흥 0.06% ▲평택·의왕·구리가 0.03% 상승했고 ▲용인 -0.06% ▲군포 -0.05% ▲안산 -0.03% 등 하락했다. 전셋값은 서울 0.09%, 신도시 0.01%, 경기·인천 0.03% 상승했다. 서울은 ▲중구 0.52% ▲관악 0.39% ▲도봉 0.33% ▲성동 0.17% ▲마포 0.15% 순으로 상승했다. 신도시에서는 파주 운정이 일주일 새 0.11% 올랐고, 경기·인천지역에서는 ▲파주 0.11% ▲시흥 0.07% ▲과천 0.06%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2016-01-31 10:22:32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