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삼성물산, 지난해 영업익 371억…2.6조원 잠재손실 반영

지난해 9월 1일 합병 후 출범한 통합 삼성물산은 지난해 매출액 13조3446억원, 영업이익 371억원, 당기순이익 2조6856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7조2211억원, 영업손실 891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구(舊) 삼성물산의 잠재손실은 호주 로이힐 마이닝 건설사업, 카자흐스탄 발하쉬 발전소 프로젝트의 예상손실과 우발부채 8500억원과 1500억원이 반영된 탓이다. 호주 로이힐 마이닝 인프라 건설사업은 호주 서부 필바라 지역 철광석 광산 개발 사업 중 플랜트와 철도, 항만 등 인프라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계약규모는 총 56억 호주 달러다. 준공 예정일은 지난해 12월 30일이었지만 해를 넘겨 아직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의 발주처는 준공 지연을 이유로 삼성물산을 상대로 1800억원의 본드콜(계약이행보증금 회수)을 행사했다. 카자흐스탄 발하쉬 발전사업은 카자흐스탄 발하쉬 호수 인근 지역에 1320메가와트(MW) 급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사업이다. 카자흐스탄 최초의 외자 유치 민자발전(IPP)사업이다. 현재 발주처 요청으로 공사 수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상황이다. 이번 결산에는 유가하락에 따른 유전자산의 가치 감소 5600억원, 기타 프로젝트 관련 지급보증과 지체상금 우발부채 4500억원 등도 함께 반영됐다. 사업별로는 건설부문이 1조6000억원, 상사부문이 1조원 규모다. 반면 구(舊)삼성물산 사옥과 캐나다 온타리오 사업권, 부동산 등의 가치는 약 1조1000억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 제일모직과의 합병 과정에서 바이오 사업 등의 평가이익 등이 반영됐다. 삼성물산은 1분기 내 완공을 목표로 현재 잔여공사를 진행 중이며 발주처 클레임(EOT), 공기지연에 따른 지체 상금(L/D) 등의 사안을 협상하고 있다.

2016-01-28 11:42:35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설 이후 6만5천가구 분양 큰 장 선다

설 명절 이후 5만5000가구 규모의 대규모 아파트 분양 물량이 쏟아진다. 통상적으로 설 연휴가 끝나고부터 분양시장이 본격 기지개를 켜긴 하지만 올해는 가계대출규제 강화와 금리 인상, 공급과잉 논란 등 불안요인에 4월 선거 정국으로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건설사들이 최대한 많은 물량을 밀어내는 모습이다. 28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2~3월 전국에서는 6만4904가구(임대제외)가 공급된다. 권역별로 일반분양기준 ▲수도권 3만7637가구 ▲광역시 9597가구 ▲지방 1만7670가구다. 지난해 2만9470가구에 비해 2배가 훨씬 넘는 120%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밀어내기 분양이 집중됐던 2008년 2만3600가구에 비해서는 175%나 증가했다. 물량은 수도권이 크게 증가했으며 시기는 봄 이사철을 앞둔 3월에 집중됐다. 수도권 2~3월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계획됐던 9921가구에 비해 2만7716가구가 늘었으며 총 계획된 분양물량 3만7637가구 중 약 85%에 해당하는 3만1297가구가 3월에 나온다. 권일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여러 불안요인으로 부동산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라서 설 연휴가 지난 후 4월 총선 전까지 건설사들이 대거 분양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급과잉 논란이 있는 상황이지만 그만큼 선택할 수 있는 알짜단지가 많아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청약통장 가입자라면 적극적으로 청약할 만하다"고 말했다. 설 이후 2, 3월 두 달 동안 전국에서 공급예정인 주요 알짜 분양단지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 분양물량이 집중된 수도권. 그중 서울에서 가장 눈에 띄는 단지는 삼성물산이 3월 분양 예정인 강남구 개포동 주공2단지를 재건축한 '래미안 블레스티지'다. 단지는 전용면적 49~126㎡, 전체 1957가구 규모며 이 중 396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단지 남쪽으로 대모산이 있으며 동쪽은 개포근린공원이 접하고 있어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개원초, 개일초, 개포중, 개포고, 경기여고 등 학군도 좋다. 올해 개포지구 첫 분양단지로 고급마감재를 적용하고 단지 내 조성되는 대규모 커뮤니티에는 수영이 조성되고 세대별로 생활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지하창고도 제공된다. 강북 재개발 단지 중에도 주목할 물량이 있다. 현대건설이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53번지 녹번1-1재개발 구역에 내달 공급하는 '힐스테이트 녹번'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0층, 13개 동, 전용면적 49~118㎡ 952가구 규모며 이 중 260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서울지하철 3호선 녹번역 역세권으로 광장을 통해 역진입이 가능하며 지하철 3호선, 6호선 환승역인 불광역도 가깝다. 은평초·녹원초(예정) 등과 인접하며, 생활권 내에는 이마트·NC백화점·녹번시장·은평구청 등이 위치해 있다. 방배동 일대에도 2012년 '방배 롯데캐슬 아르떼' 분양 이후 4년 만에 신규분양이 나온다. GS건설이 서울 서초구 방배동 992-1번지 일대 단독주택을 헐고 대형 브랜드 아파트를 짓는 방배3주택재건축 단지로 3월 분양예정이다. 단지는 전용면적 59~128㎡, 352가구 규모며 이 중 97가구가 일반 분양분이다. 서울지하철 2호선 방배역이 가깝고 상문고 등도 인접해 있다. 경기도에서는 GTX, KTX 등 교통호재가 있는 고양시와 동탄2신도시를 주목할 만하다. 경기 고양시 장항동 한류월드 부지 내 M1~3블록에선 GS건설·포스코건설·현대건설 컨소시엄이 3월께 2204가구 규모의 대단지를 선보인다. 킨텍스와 서울 강남구 삼성역을 잇는 GTX가 2022년께 개통될 예정이라 강남 접근성이 대폭 개선된다. 동탄2신도시에서는 GS건설과 포스코건설이 2~3월 분양 대기 중이다. GS건설은 화성시 능동과 A8블록에 2~3월 연이어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2월 경기 화성시 능동 624-2번지 일원에 내놓는 '신동탄 파크자이 2차'는 전용면적 84㎡ 단일 면적에 376가구 규모이며 3월 A8블록에 들어서는 '동탄2신도시 자이(A8블록)'는 전용면적 86~101㎡ 979가구로 구성된다. 포스코건설은 3월에 동탄2신도시 A36블록에 전용면적 59~84㎡의 중소형으로만 구성된 745가구를 내놓는다. 동탄역 인근 상업, 업무시설 이용이 쉽다. ◆지방 청약 열풍이 분 부산광역시를 포함한 지방도 공급이 많다. 지난해 1만9549가구 대비 39.5% 늘어난 2만7267가구가 공급되며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도 있어 주목된다. 가장 눈길을 끄는 단지는 포스코건설이 부산 연제구 연산동 1990번지 일원 연산2구역을 재개발해 3월 선보일 예정인 '연산2구역 더샵'이다. 단지는 전용면적 39~129㎡, 1071가구로 조성된다. 이 중 552가구가 일반분양 분이다. 부산지하철 3호선 물만골역 역세권이며 남쪽으로는 황령산, 금련산 조망이 가능하고 인접해 쾌적하다. 이마트, 연제구청, 연제보건소 등이 가깝고 부산시청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양동초, 양동여중, 양정고, 부산진여고 등과 부산여대, 동의과학대 등이 있어 교육환경이 좋다. 광주에서는 보광건설이 동구지원2-1구역을 새로 개발해 짓는 골드클래스 716가구를 3월경 분양한다. 이 중 341가구가 일반 분양물량이다. 광주 지하철 1호선 학동·증심사 입구역 역세권 단지다. 흥한주택종합건설㈜이 내달 향후 미래가치 높은 신진주역세권 도시개발사업지구에 선보이는 '신진주역세권 센트럴 웰가'도 주목할 만하다. 단지는 지하 2층, 지상 33층, 10개 동, 전용면적 59~84㎡, 1152가구의 대단지다. 아이사랑 컨셉으로 지어져 주부에게 인기가 예상된다. 남해고속도로, 국도2호선 등과 KTX진주역, 경전선 복선전철 등의 교통 여건도 좋다.

2016-01-28 07:29:42 박상길 기자
국토부, 드론 시범사업 본격화…2020년 상용화 '시동'

정부가 무인비행기(드론) 시범 사업을 본격화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오후 2시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무인비행장치(드론) 시범사업 참여기관과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향후 드론 활성화 지원 로드맵 등 무인항공 정책방향 소개, 업계·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드론 시범사업 대표 사업자로는 국립산림과학원,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유콘시스템, 대한항공과 CJ대한통운, 현대로지스틱스 등이 선정됐다. 이들은 2월부터 항공안전기술원이 배정한 공역에서 단계적으로 시험비행을 진행할 계획이다. 물품수송이나 산림감시 등 부문에서 드론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한다. 시범사업 전용공역은 강원 영월 등 5개 지역(548㎢)에 고도 300∼450m까지 지정됐다. 부산 공역에서 부산대와 에이알웍스, 전주공역에서 현대로지스틱스와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시범사업을 하는 등 공역 특성에 맞게 사업자가 정해졌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국토부는 주간, 근거리 등 드론을 활용한 기초테스트를 진행한다. 내년에는 야간, 원격조정 등 심화테스트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한다. 국토부는 이날 앞서 새해 업무 계획을 통해 산업 육성 차원에서 드론을 띄울 때마다 받아야 하는 비행 승인 기준을 대폭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안전 운항이 확인된 사업자에 한해 비행 승인을 최대 90일까지 통째로 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한 자본금 3000만원을 확보해야만 사업자 기준도 완화한다. 국토부는 자본금 요건 완화로 드론 사업자 등록이 손쉬워지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은 이르면 올해 연말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시범사업자는 안전교육을 이수한 뒤 2월부터 항공안전기술원이 배정한 공역에서 단계적으로 첫 시험비행에 착수하게 된다. 국토부는 드론이 활용될 수 있는 사업모델 발굴을 위해 정부의 시범사업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드론 도입이 가능한 산업은 크게 ▲물품수송 ▲산림보호 ▲해안감시 ▲국토조사 ▲시설물 안전진단 ▲통신망 활용 ▲촬영·레저 ▲농업 지원 등 8개 부문이다. 물품수송이나 산림감시 등 부문에서 드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2018년부터는 저고도(150m↓) 물품수송 등 사업 부문에서 드론을 적용하는 2단계 시범사업도 진행할 방침이다. 이외에 ▲취미용 드론 안전관리 무게 기준 완화 ▲장거리 고성능 드론 도입·운영을 위한 안전성 검증 ▲저고도 교통관리 운영체계 개발 ▲유·무인기 종합비행시험장 구축 등 지원도 병행한다.

2016-01-27 20:01:16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4분기 서울 반전세주택 전월세전환율 6.4%…2014년 대비 0.7%포인트 하락

서울시는 지난해 4분기 서울 반전세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6.4%로 2014년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고 27일 밝혔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을 통해 마련한 전월세전환율 상한선 6%를 웃돈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이율이다. 전월세전환율이 높으면 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며 수치가 낮으면 월세에 비해 전세 부담이 높다는 뜻이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전월세 전환율 상한선을 기준금리의 4배수 또는 1할(10%) 중 낮은 값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지난 6월이후 1.5%로 동결함에 따라 기준금리의 4배수인 6%에 따라야 한다. 자치구별로는 성동구 7.55%, 강북구 7.54%, 중랑구 7.33% 등이 비교적 높았고 구로구 5.70%, 송파구 5.71%, 서대문구 5.77% 등은 낮았다. 권역별로는 도심권(종로·중구·용산)이 6.8%로 가장 높았고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구)이 6.2%로 가장 낮았다. 주택 유형별는 도심권 단독다가구가 8.8%로 가장 높았고 서북권 아파트가 5.33%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세보증금별로는 보증금 1억 이하가 8.0%로 1억을 초과하는 경우보다 약 3%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전세보증금 수준에 따른 전환이율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지난해 4분기 오피스텔 원룸 등 주거용 전월세전환율은 6.5%에 달했다. 여전히 주택유형보다 높은 수준이나 점차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도심권이 7.1%로 높았고 동남권이 6.2%로 낮았다. 관악, 영등포, 강서구 등 서남권의 기타유형 월세 전환이 서울 전체의 절반 이상인 52.5%를 차지했다.

2016-01-27 16:01:00 박상길 기자
GS건설, 지난해 매출 10조 첫 돌파(종합)

GS건설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했다. 또 7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하며 수익성 부문도 회복세를 보였다. GS건설은 27일 공정 공시를 통해 매출 10조5730억원, 영업이익 1220억원, 세전이익 310억원, 신규 수주 13조3840억원의 2015년 경영 실적(잠정)을 발표했다. 매출은 2014년 대비 11.4%, 영업이익은 138.6% 각각 증가해 7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세전이익은 2014년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고 신규수주도 19.3% 늘어났다. 지난해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은 2조9770억원, 영업이익 530억원, 신규 수주 5조1620억원이다. 2014년에 비해 매출은 7.2%, 영업이익과 신규 수주는 각각 53.7%와 391.6% 늘었다. 매출증가는 플랜트와 건축·주택 부문의 기여도가 높았다는 게 GS건설의 설명이다. 플랜트 부문 매출액은 2014년 대비 16.8%가 증가한 4조9070억원을 기록했다. 건축·주택도 부동산 경기 회복으로 2014년에 비해 17.7% 늘어난 3조331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인프라와 전력부문도 1조원 규모의 꾸준한 매출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매출 중 해외 매출이 6조20억원으로 57%를 차지했다. 영업이익은 건축·주택 부문에서 수익성 개선이 뚜렷해지고 플랜트 부문에서도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영업이익 네 자릿수 달성은 2012년 이후 3년만이다. 신규 수주는 주택부문에서 성과를 올리며 목표인 11조8500억원를 초과 달성했다. 주택은 재개발 재건축에서 수주 경쟁력을 앞세워 6조8700억의 신규 수주를 기록했다. 플랜트는 2조8380억의 수주를 올렸다. 지난해 미청구 공사 금액도 대폭 줄었다. GS건설은 지난 4분기에만 미청구공사 금액을 1조1200억원 가량 줄여 미청구공사 잔액을 3조1740억원에서 2조540억원대로 낮췄다. 한편 GS건설은 매출 11조5900억원, 수주 12조3000억원을 올해 경영목표로 제시했다. GS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전사적으로 추진한 수익성 기반의 지속성장 체계 구축을 통해 성장성과 수익성 모두 개선됐다"며 "올해도 더욱 개선된 경영지표를 시장에서 증명해 기업 신뢰를 회복하고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6-01-27 15:49:09 박상길 기자
대우건설, 지난해 영업익 3346억…2014년 대비 19.5%↓

대우건설은 지난해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별도 기준)한 결과 매출 9조8775억원, 영업이익 3346억원, 당기순이익 1462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간 매출은 9조8775억원으로 2014년 9조8531억원보다 0.2% 증가했다. 국내 매출은 2014년 6조6998억원 대비 1.1% 늘어난 6조7707억원을 기록했다. 해외매출은 3조1068억원으로 2014년 3조1533억원에 비해 1.5% 감소했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활황에 따른 분양 호조로 주택부문이 2014년 2조8909억원 대비 9.9% 증가한 3조1776억원을 기록하며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플랜트 부문은 5448억원으로 2014년 2840억원보다 91.8% 증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건축과 토목 부문은 2014년 대비 각각 20%, 1.5% 감소한 1조8347억원, 1조193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4년 4155억원 대비 19.5% 감소한 3346억원,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8.4% 증가한 1462억원을 올렸다. 순차입금 규모는 2014년 대비 3755억원 감소하고, 부채비율은 2014년에 비해 26% 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신규수주는 2014년 10조9367억원보다 19.5% 증가한 13조736억원을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현재 40조2929억원 규모의 수주잔액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국내에서만 10조166억원을 수주했다. 부동산 시장 호조로 주택과 건축 부문이 전년대비 각각 14.5%, 36.9% 늘어난 4조3384억과 2조6816억원을 수주했다. 토목과 플랜트 부문도 연간 목표를 달성했다. 해외에서는 2조3000억원 규모의 쿠웨이트 AZRP 등을 수주했지만 저유가에 따른 발주지연 등으로 2014년 3조8433억원보다 20.5% 감소한 3조570억원을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올해 매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13.1% 늘어난 11조1700억원으로 설정했다. 신규수주는 같은 기간 6.7% 감소한 12조2000억원을 목표로 세웠다. 대우건설은 올해 해외비중을 확대해 전체 매출의 36.4%를 거둘 예정이다. 해외 신규수주 비율도 43.8%로 늘렸다. 분양사업은 4만2181가구를 공급했던 지난해보다 축소된 2만5264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2016-01-27 15:40:57 박상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