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건설사 2016 전략] 포스코건설, '위기경영의 해' 선포…전사적 리스크 관리로 재도약

국내선 안정적인 조합 사업 늘리고 해외선 현지 기업 전략적 제휴 맺어 황태현 포스코건설 사장은 연초 신년사에서 올해를 '위기경영의 해'로 선포했다. 올해 경영 키워드는 리스크 관리다. 국내 주택 시장은 사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주택조합 사업 물량을 지난해보다 소폭 늘렸다. 해외는 사우디 국부펀드를 통해 중동 시장 2의 특수를 노리는 한편 인도네시아 등 새 거점지 찾기에 주력한다. 국내 주택 시장은 지난해 부동산 경기 호조에 힘입어 ▲해운대 LCT(1조4904억원) ▲서부내륙고속도로(4829억원) ▲송도 센트럴시티(4711억원) ▲고양 한류월드(3952억원) 등을 수주하는 등 호조세를 보였다. 올해 국내 주택 시장에서는 전국 1만6803가구 공급에 나선다. 사업별로는 일반 1만4006가구, 조합 2797가구다. 지난해에 비해 일반 물량(1만5317가구)이 줄고 조합 물량(2613가구)이 늘어난 게 특징이다. 내실 성장을 위해 사업이 안정적인 조합 물량에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2204가구가 공급되는 한류월드 M1~3블록이 주력 단지이며 ▲세종 4-1생활권 P3권역 1938가구 ▲광주 오포 공동주택 1400가구 ▲송도 B2블록 1219가구 ▲안양 호계 주공 재건축 1174가구 ▲부산 연산2구역 재개발 1071가구 등에서 1000가구 이상 대규모 물량 공급이 예정돼 있다. 물량이 가장 많은 고양 한류월드는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가 킨텍스와 연계, 문화관광 인프라 시설과 대중문화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으로 한류를 소재로 한 'K컬쳐밸리'를 비롯해 호텔, 방송미디어 단지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여기에 GTX 개통 호재가 잇따른다. 킨텍스∼삼성 노선 건설사업이 오는 6월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민자적격성 심사를 받게 된다. 내년 착공해 2023년 개통을 목표로 3조5788억원이 투입된다. 최근에는 파주시의 요청에 따라 킨텍스에서 운정신도시까지 6.1㎞ 노선을 연장해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해외 건설 시장에서 1281억원 규모의 페루 Las Flores 300MW(메가와트) 화력발전 수주로 2014년 Puerto Bravo 화력발전에 이어 연속으로 수주에 성공했다. 이어 1030억원 규모의 인도네시아 Ciawi-Sukabumi 도로, 1798억원 규모의 호주 Adani CHPP 공사도 수주했다. 광산개발사업 부문에서는 416억원 규모의 호주 Moolaben 광산 2단계 확장공사를 따내기도 했다. 올해는 글로벌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그간 성장의 밑거름이었던 캡티브 마켓(계열사 간 내부 시장)도 급격하게 축소된 점 등을 감안, 현지 진출국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수익성 확보에 나선다. 대표적인 예는 사우디 국부펀드인 퍼블릭인베스트먼트펀드(PIF)를 들 수 있다. PIF는 사우디 제조업과 산업 인프라 투자를 주도하는 국부펀드로 자산 규모는 3000억달러(330조원)에 달한다. 2008년 설립 당시 사우디 재무부 산하였다가 올해 사우디 경제개발을 총괄하는 국왕 직속의 경제개발위원회(CED) 산하로 자리를 옮겼다. 포스코는 지난해 3월 PIF와 전략적 제휴를 맺은 뒤 12월 인천 송도 사옥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PIF가 추천한 사우디 국영기업 아람코의 아흐메드 에이 알-수베이 전무(사진)를 사내이사, 사우디 민간발전회사 아크와 파워(ACWA Power)의 모하메드 에이 아부나얀 회장을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한 뒤 본격적으로 합작 회사인 포스코 E&C 사우디아라비아 출범을 알렸다. 포스코 E&C 사우디아라비아는 앞으로 사우디 정부가 발주하는 철도·호텔 등 현지 주요 건설사업에 참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2016-01-27 15:17:33 박상길 기자
현대건설, 지난해 영업익 9866억…2014년 대비 2.9%↑

현대건설은 지난해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19조1221억원, 영업이익 9866억원, 당기순이익 5840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2014년 대비 매출은 10.0%, 영업이익은 2.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0.5%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5조651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0%, 2014년에 비해 10.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7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1%, 2014년에 비해 2.4% 늘어났다. 현대건설은 아랍에미리트 사브(SARB) 해상원유처리시설 공사, 우즈베키스탄 칸딤 가스처리시설 공사 등 해외 대형공사 진행과 지속적인 원가 개선 노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공정위 과징금 등의 영향으로 2014년보다 소폭 감소했다. 해외 대형공사의 마일스톤(계약서에 지정된 공정단계) 충족 등으로 미청구공사를 대폭 줄인 점도 눈에 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3분기말 연결 기준으로 5조4000억원에 달했던 미청구공사를 1조1435억원 줄였다. 지난해 말 현재 미청구공사는 4조2657억원으로 2014년 말보다 8354억원 감소했다. 현대건설은 올해도 외형적인 성장보다는 수익성 중심의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 안정적인 실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수주 물량은 지난해보다 37.9% 증가한 27조 3300억원이다. 매출은 19조2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재개발·재건축과 자체사업 추진 등을 비롯해 이란과 인프라 중심의 대량 발주가 예상되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서 선택과 집중, 시장다변화 전략을 통해 수주를 확대할 방침이다.

2016-01-27 15:16:54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헌집 줄게 새집 다오'…지식산업센터 신규 분양 인기

분양가 싸고 근무 환경 쾌적 시세차익도…웃돈 5천만원 지식산업센터 분양시장이 활기를 띠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새 사옥을 마련할 수 있는 신규 분양 물량에 수요자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존의 공장들은 생산 효율성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협소한 조경면적과 부족한 휴식공간, 노후 설비 등으로 불편을 겪는 사업주가 많았다. 국토교통부 건축물 현황통계(2014년말 기준, 2015년 2월 발표)에 따르면 전국 공업용 건물은 28만3259동이며 이 중 43.4%에 해당하는 12만2824동이 15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이다. 30년 이상 된 노후건물도 3만1668동이나 된다. 업무시설이 포함되는 상업용 건물의 노후도 심각한 상황이다. 전체 117만4891동 중 절반이 넘는 68만971동이 지은 지 15년이 넘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의시설이나 노후화된 설비로 사옥을 옮기고 싶어하는 사업자가 많은 실정이다. 최근 지식산업센터들은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에 최첨단 오피스 빌딩 형태로 변모하면서 건폐율(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 비율)을 낮추는 대신 풍부한 녹지와 조경시설 등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동간 거리도 넓어 채광과 통풍, 단지 개방감도 높아진다. 여기에 설비도 최신화되는 등 근무 환경이 쾌적해져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 사옥 물량 중 대표적인 예로는 2012년 10월 입주한 송도 스마트밸리를 들 수 있다. 연면적 약 29만㎡의 이 지식산업센터는 업무환경과 보육시설, 세미나실, 체력단련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춰 인근 남동공단 등의 사업자에게 많은 관심을 얻은 바 있다. 송도동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송도 스마트밸리는 일반 오피스보다 분양가가 저렴한 데다 일대에서 보기 힘든 새지식산업센터"라며 "현재 전용면적 260㎡ 가량 되는 매물에 웃돈이 약 5000만원 가량 붙어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도심권의 오피스와 비교해도 가격이 저렴해 이동하려는 수요자도 많다. 한국감정원 통계에 따르면 분당권역의 오피스 임대료는 지난해 3분기 기준 ㎡당 1만6100원이다. 약 200㎡의 오피스를 임대한다고 가정하면 매달 320만원가량을 내야 하는 셈이다. 인근 동천동에서 분양한 동천 수지 유타워의 전용면적 225㎡(22층)의 분양금액은 3억8500만원선이다. 10년 정도 사업을 진행한다고 생각하면 임대료만으로도 사옥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양종합건설 인천 남구 주안동 주안국가산업단지에서 분양 중인 '주안 제이타워'는 인근 노후 공장의 이전 수요로 인해 분양한 지 1개월 만에 약 80% 계약이 이뤄졌다. 이 지식산업센터는 지상 최고 12층, 연면적 약 4만㎡로 1층에는 근린생활시설 23개호실이 마련돼 있으며 2~10층은 공장시설, 11~12층은 공장·업무지원시설로 구성된다. 드라이브 인 시스템이 적용돼 작업 차량의 호실 접근성을 높으며 전실 발코니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분양가는 3.3㎡당 350만원 수준이다. 이외에도 현재 분양 중인 지식산업센터의 설비 시설은 우수한 편이다. 현대건설이 서울 송파구 문정지구 7블록에서 분양중인 'H 비즈니스파크'는 지하 4층~지상 15층, 4개동, 연면적만 16만 여㎡의 대규모 지식산업단지다. 각 동 최상층에 입주자를 위한 휴게공간인 하늘정원이 조성되며 각 동 4층에는 옥외 테라스, 저층부에는 옥외 휴게공간이 마련된다. 분양가는 3.3㎡당 약 870만원대로 주변 시세보다 싸다. 포스코엔지니어링은 경기 용인시 기흥구 청덕동 구성택지개발지구에서 '용인테크노밸리'를 분양 중이다. 지하 3층~지상 10층 4개동 연면적 12만4845㎡ 규모로 조성된다. 6m의 높은 층고로 복층사용이 가능하며 드리이브 인 시스템 기능이 적용된다. 주차장과 제조형공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대림산업은 경기 하남 미사강변도시 자족시설용지 7-2, 3블록에서 하남미사지구 '미사센텀비즈'를 분양 중이다. 지하 5층~지상 10층 연면적 13만5000여㎡ 규모로 조성된다. 저층부 6m 이상의 층고를 확보했으며 컨테이너 하역장, 확장형 발코니가 적용된 오피스텔식 기숙사 등이 갖춰진다.

2016-01-27 15:13:5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강남 재건축 분양권 '실거래가'도 평당 4천만원 육박

지난해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실거래가도 3.3㎡당 4000만원을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강남·서초구에서 거래된 재건축 아파트 분양권 평균 거래가격은 3.3㎡당 3893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강남 재건축 단지 평균 분양가가 3.3㎡당 3492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400만원 가량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서초구의 분양권 거래가격은 3979만원으로 심리적 '마지노선'인 4000만원에 근접했다. 최고가 단지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신반포1차) 전용면적 113㎡다. 24억4100만원에 거래되면서 3.3㎡당 거래금액이 5423만원에 이른다. 강남구 대치동 청실 아파트를 재건축한 래미안대치팰리스는 전용 151㎡가 23억5000만원, 전용 84㎡가 15억2000만원에 각각 거래돼 3.3㎡당 4200만원을 웃돌았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일반 분양가가 3.3㎡당 4000만원을 넘어선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통상 재건축 조합들이 앞서 분양된 분양권에 붙은 웃돈을 반영해 신규 분양가를 매기기 때문에 높은 분양권 시세는 분양가를 밀어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게 부동산 114측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신규분양가는 다시 기존에 공급된 인근 아파트 분양권값을 끌어올려 가격인상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서초·강남구 일대에서는 2013년 말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의 일반 분양가가 3.3㎡당 4040만원에 책정된 이후 고분양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분양한 반포센트럴푸르지오써밋 평균분양가는 4094만원, 11월에 분양한 반포래미안아이파크는 4257만원으로 주상복합을 제외한 일반 아파트 가운데 역대 최고 분양가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자이의 분양가가 4457만원으로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3.3㎡당 4000만원대를 웃도는 분양가는 불안한 거시경제 환경이나 최근 부동산 시장 분위기를 감안하면 지나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월부터 수도권에 주택담보대출 선진화 가이드라인이 본격적으로 적용되면서 매수심리가 얼어붙고 있기 때문이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 팀장은 "신규분양 중도금 집단대출은 이번 가이드라인에 포함돼 있지 않아 청약시장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으나 주택담보대출로 전환되는 입주 시점에는 상환 부담이 커져 자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6-01-27 10:18:51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경주 휴엔하임 퍼스트' 2월 분양

신구건설은 2월 경주 천북면 동산리 일대에 경주 휴엔하임 퍼스트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단지는 지하 1층 지상 15~20층 11개동 659가구 규모다. 전 가구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49㎡, 59㎡, 74㎡의 중소형으로 구성된다. 주택유형별로 ▲49㎡ 171가구 ▲59㎡ 368가구 ▲74㎡ 120가구 등이다. 단지는 용황지구와 보문관광단지 등을 모두 누릴 수 있는 더블 생활권에 있다. 단지 서쪽으로는 용황지구와 중심생활권이 있어 홈플러스·경주시청·예술의 전당·경주역 등 생활문화시설 접근이 용이하다. 단지 동쪽으로는 보문관광단지가 있어 보문호수공원·경주CC·경주신라CC·경주월드 리조트·경주 엑스포공원 등 경주의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다. 직주근접 단지로 출퇴근은 편리하다. 천북일반산업단지, 화산일반산업단지가 직통으로 연결돼 있어 차로 15분 내에 출퇴근이 가능하다. 또한 단지 30m 전방에 있는 7번 국도를 이용하면 경주는 물론 포항과 울산 방면으로의 이동도 수월하다. 교육 여건도 갖춰져 있다. 단지 5분거리 내에 천북초등학교와 천북초교병설유치원, 천북 어린이집이 있어 도보 통학이 가능하다. 단지는 판상형·남향 위주 배치로 통풍과 채광이 우수하다. 또한 건폐율이 13%로 낮아 동간 거리가 확보돼 개방감이 좋다. 전 가구에 4베이 혁신평면을 적용해 중대형 못지않은 공간활용이 가능하며, 입주자를 위한 단지내 운동시설을 비롯해 테마놀이공간, 캠핑공간 등도 마련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천북지구는 경주 최대의 산업단지가 있는 곳으로 배후수요가 풍부하다. 천북지구 내에는 화산일반산업단지를 비롯해 천북일반산업단지, 천북2일반산업단지 등 126개의 업체가 입주해있으며 향우 6개의 업체가 추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포항 철강 산업단지가 인접해 있어 출퇴근을 고려한 수요자도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3.3㎡당 600만원 대의 분양가로 공급될 예정이다. 중도금 무이자에 발코니 무료 확장 혜택이 적용된다. 견본주택은 경북 경주시 용강동 1013-1번지에 마련되며, 입주는 2019년 상반기 예정이다.

2016-01-27 10:08:52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GS건설, 천안시티자이 견본주택 29일 개관

GS건설은 29일 천안 서북구 성성동 성성지구 A1블록에 공급하는 '천안시티자이'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9층 12개 동 전용 59~84㎡ 1646가구 규모이며 이 중 1624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단지는 판상형 타입에 4베이 설계가 적용돼 일조와 채광이 좋다. 고품격 커뮤니티시설도 들어선다. 자이안센터에는 피트니스 센터를 비롯한 실내 골프연습장, GX룸, 샤워실 등이 조성된다. 방과후 교실과 작은 도서관도 계획됐다. 이외에도 중앙잔디마당(캠핑가든)과 엘리시안가든, 힐링가든, 자이펀그라운드 등이 들어서며 약 1km 코스의 단지 내 산책로가 마련돼 조깅과 가벼운 산책을 즐길 수 있다. 교통 여건도 좋다. 경부고속도로 천안IC와 KTX 천안아산역이 차로 10~15 분 거리에 있다.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천안일반산업단지가 인근에 있어 직주근접 배후 수요도 기대된다. 여기에 '이마트 서북점'과 스트리트형 상가몰인 '마치에비뉴'도 단지 인근에 있다. 단지 북측에는 업성저수지, 남측에는 노태산이 있다. 단지 바로 옆에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부지가 계획돼 교육여건도 갖춰진다. GS건설은 SDA삼육어학원과 제휴를 맺어 학원을 근린생활시설 내에 마련할 예정이다. SDA삼육어학원에서는 부대복리시설에 영어리딩프로그램과 영어도서관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 김보인 GS건설 분양소장은 "천안시티자이는 전 가구가 85㎡ 이하인 중소형 대단지로 구성되는 만큼 어린 자녀를 동반한 젊은 수요층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교육에 관심이 높은 수요자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특화 프로그램을 유치했다"고 말했다. 청약은 2월 2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3일 1순위, 4일 2순위가 실시된다. 15일 당첨자 발표 후 계약은 22~24일 진행된다. 견본주택은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정동 1245(서부대로 사거리)에 마련된다. 입주는 2018년 10월 예정이다.

2016-01-27 09:58:37 박상길 기자
기사사진
올해 경기권 12만3천가구 분양…2015년 대비 21%↓

올 한해 경기권에서 12만3000여 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공급된다. 지난해보다 21% 줄어든 물량이지만 최근 5년간 연평균 물량과 비교하면 60%나 많은 수치다. 27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에서 분양예정인 아파트는 12만3629가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분양 물량인 15만6354가구보다 20.9%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 2010~2015년까지 연평균 분양실적 7만4479가구 대비로는 65.9%나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화성시가 2만180가구로 분양 물량이 가장 많다. 동탄2신도시에서 1만2954가구, 송산그린시티에서 3950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반기 개통하는 수서발 KTX 지제역 호재가 있는 평택이 1만6060가구로 뒤를 이었다. 그외 김포 1만2129가구, 용인 9533가구, 남양주 8645가구 순으로 이어졌다. 규모별로는 1000가구 이상 대단지가 6만6155가구에 달한다. 11월 김포에 들어서는 신곡 신동아파밀리에 아파트가 5043가구로 최대 규모인 가운데 ▲평택칠원 동문굿모닝힐(4월·3867가구) ▲평택 소사2지구 효성해링턴 플레이스(3월·3223가구) ▲평택 자이더익스프레스3차(6월·2323가구) ▲일산 한류월드(3월·2204가구) ▲시흥 푸르지오(5월·2051가구) 등으로 분양이 이뤄진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 팀장은 "정부의 정책과 주택 시장 분위기에 따라 추가로 나올 민간택지 분양물량이 적지 않다"며 "집값 움직임에 따라 올해 경기권 분양물량 변동폭이 클 것이다"고 말했다.

2016-01-27 09:41:15 박상길 기자